수면 관련 운동장애(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s)
개요
수면관련운동장애란?
- 단순하고, 흔히 전형화된 운동증상이 수면과 관련되어 나타나며, 수면을 방해하는 질환
분류
Sleep related movement disorders
|
주기성 사지 운동 장애(Periodic limb movements disorder, PLMD)
개요
- 개념: 반복적인 사지 근육 운동이 수면 중 나타나는 질환
- 역학: 나이에 따라 유병률 증가. 요독증, 대사질환, 빈혈, 당뇨 등의 질환과 TCA, MAOi, 리튬 등의 약제와도 관련이 있음
임상양상/진단
- 확진: 수면다원검사(심각성 평가에도 이용)
- 주기성 사지 운동: 0.5-5초간 지속하는 전경골근의 근전도 증가가 4-90초 간격으로 연속 4회 이상 나타날 때
치료
- 비약물치료: 수면위생 개선, 카페인, 알코올
- 약물치료: RLS의 약물치료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약물치료에 대한 증거는 불충분
- Benzodiazepine(Clonazepam, nitrzepam, lorazepam, temazepam)
- dopamine 제제
- dopamine agonist: pramipexole, ropinirole, rotigotine
- L-dopa/carbidopa
- α2δ 리간드(pregabalin, gabapentine, gabapentine enacarbil)
- opioids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개요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이란?
- 다리에 매우 괴로운 불편감이나 근질거리는 이상한 느낌. 가만히 있을 때 심하게 느껴지며, 계속 다리를 움직거려야 좀 나아지는 것 느낌. 저녁이나 밤에 강해져 잠을 잘 못 잠
- 다리속에 불쾌한 이상감각,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 다리를 움직이거나 주무르면 일시적으로 호전되지만 움직이지 않으면 다시 악화되는 증상을 보이며, 저녁이나 밤에 심해지는 수면장애
- 1672년 Willis가 이 현상을 처음 기술하였고, Karl Ekbom이 1945년에 임상적 실체를 보고함
증상은 다리 뿐만 아니라 팔이나 몸통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RLS라는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제기에 따라 최근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이하 IRLSSG)에서는 Willis-Ekbom disease라는 병명을 제시하였다. RLS/WED (restless leg syndrome/Willis Ekbom disease) 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역학
- 젊은 나이(10-20대)에 경험 시작, 60세까지는 나이 들면서 증가하는 경향
원인
- 환자의 60%에서 가족력 등 유전적 요인 발견
- 신체질환
- 임신, 철분결핍 및 vitamine B12 결핍의 빈혈, 신장질환
- 채식주의자, ADHD 환자, 파킨슨병 환자, 알코올 남용자 등
- SSRI, TCA, 항정신병 약물, Lithium, 항히스타민제, 흡연 등이 장애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음
발생기전
- 중추신경계의 dopamine과 철대사 장애
임상양상/진단
- 진단에 도움이 되는 생물표지자(biomarker)가 아직까지 없는 실정으로,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증상에 의존하여 진단
진단기준
- 세 가지 기준: IRLSSG 진단기준(2014년), 국제수면장애진단분류 3판(3rd edition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3), DSM-5 진단기준
5가지 핵심기준
|
- 5가지 특징을 'URGED'로 표현하기도 함
URGED
U: Urge to move legs often paired with unpleasant or uncomfortable sensations(다리에 불쾌한 감각을 동반한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 R: Rest or inactivity increases urge to move and accompanying sensations(다리를 움직이지 않을 때 발생하고 움직임에 의해 일시적으로 완화) G: Getting up and moving improves symptoms(일어나서 움직이면 증상완화) E: Evening worsening or nighttime appearance of symptoms(저녁이나 밤에 나타나거나 심해짐) D: Differential diagnosis does not sufficiently explain symptoms(증상을 일으킬 만한 다른 원인이 없음) |
주요 진단기준 비교
Feature | IRLSSG | ICSD-3 | DSM-5 |
5 essential features | Same | Same | Same |
Frequency | Chronic persistent or Intermittent | NA | 3 times per week |
Duration | Persistent or intermittent over 1 year | NA | 3 months |
Clinical significance | Can cause impairment but impairment is not required | Requires impairment with exception of genetic and epidemiological studies | Requires impairment |
Waivers | Frequency and duration may be waivered in childhood, pregnancy, and drug induced RLS | Impairment requirement can be waived in genetic and epidemiological studies | NA |
Recognizes drug induced RLS | Yes | Yes | No |
RLS mimics must be excluded | Yes | Yes | Yes |
Children/adolescent must describe symptoms in own words | Required | Required | Required |
- ICSD-3 필수 진단기준은 IRLSSG 진단기준과 거의 유사하나, 진단기준 C에 RLS 증상으로 인한 근심, 고통, 수면장애, 기능의 장애 등을 유발한다는 기준이 있다는 점이 다름
- DSM-5 진단기준은 ICSD-3 진단기준에 추가로 ‘주 3회이상’, ‘3개월 이상 지속’이라는 빈도와 증상 지속 기간을 명시하고 있음
치료
- 첫 단계는 빈혈치료(철결핍 빈혈 확인 및 교정)
비약물치료: 증상이 경미하거나, 드물게 발생하는 환자들은 비약물 치료 우선
- 수면 위생 개선
- 증상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약물 가능하다면 중지: 항도파민제제, 항히스타민제, 항우울제
- 물리 치료(온열치료, 월풀, 마사지, 전기자극치료 등): 일시적인 효과
- 적당한 운동, 맨손체조, 마사지, 정신적인 활동(예. 퍼즐게임, 비디오게임) → 증상 완화에 도움
- 다리에 진동자극을 주는 Relaxis 패드 장비(2014년 미국 FDA 승인)
약물치료: 대부분 증상완화를 위한 대증적 치료
- 항뇌전증제
- Alpha-2-delta (α2δ) ligands 항경련제: gabapentin, pregabalin
- Dopamine 제제
- dopamine agonist: pramipexole, ropinirole, rotigotine
- L-dopa/carbidopa, bromocriptine, pergolide
- Opiates 등
- Benzodiazepine계: clonazepam
이전에는 Dopamine 제제를 기본으로 해서 다른 제제를 병용하여 처방하는 방식이었지만 최근에는 Alpha-2-delta (α2δ) ligands 항뇌전증제가 RLS의 1차적 치료제로 변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약물치료
Intervention | Medication | Dosage |
1st | Alpha-2-delta ligands
|
|
2nd or 1st | Dopamine agonists
|
|
3rd | Levodopa (could be used as needed)
|
|
Nest | Iron (could be considered concomitantly with 1st to 3rd line medications or earlier when ferritin levels are <75 μg/L
Opiates
Benzodiazepines
|
|
참고자료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 Min YS.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6; 9: 25-30
- Kang SG. Update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1):13-19
- Jang KY.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Hanyang Med Rev 2013;33:216-220
- Kang SG. Updates on the Treatment of Restless Legs Syndrom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825(1):5-8
- Gonzalez-Latapi P, Malkani R. Update on Restless Legs Syndrome: from Mechanisms to Treatment. Curr Neurol Neurosci Rep 2019;19(8):54.
- Trenkwalder C, Allen R, Högl B, et al. Comorbidities, treatment, and pathophysiology in restless legs syndrome. Lancet Neurol 2018;17(11):994–1005.
- Stubbs PH, Walters AS. Tools for the Assessment of Pediatric Restless Legs Syndrome. Front Psychiatry 2020;11:356.
- Allen RP, Picchietti DL, Garcia-Borreguero D, et al. Restless legs syndrome/Willis-Ekbom disease diagnostic criteria: updated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 (IRLSSG) consensus criteria--history, rationale, description, and significance. Sleep Med 2014;15(8):86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