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욕기 관리
산욕기란?
- 분만 후부터 6주①까지 생식기가 정상적인 비임신 상태로 회복되는 시기를 말함
① '산육(6주)기'로 암기
산욕기의 변화
자궁 복구
- 분만직후 자궁기저부(fundus)은 배꼽아래 위치
- 분만 2주 후 true pelvis내로 들어감
- 분만 3주 후 자궁내막 완전 재생
- 분만 4주 후 분만 전 크기로 돌아옴
- 분만 6주 후 태반 착상 부위 완전 퇴축
배란과 월경
- 모유수유를 하지 않을 경우 생리는 6-8주 이내,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 생리는 2-18개월 이내(개인차 존재) 돌아옴
산욕기 산모의 관리
조기운동의 장점
- 상쾌한 기분과 건강함을 느낌
- 방광기능을 촉진하고 변비예방
- 혈전증(Venous thrombosis)과 pulmonary embolism을 감소시킴
산후 우울증 관리
- 분만 후에는 통증, 피로감, 불안감 등의 여러 감정으로 많은 산모가 우울증을 앓게 됨
- 초기 진단 중요②
② 경미한 경우는 2-3일 이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 심한 경우 자살 시도, 신생아 살해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
방광기능
- 분만 후 4시간 내에 자연배뇨 못하면 도뇨관 삽입하여 잔뇨를 확인
- 잔뇨량 >200 mL이면 indwelling catheter을 삽입
Follow-up care
- 산모는 퇴원을 하면 모든 일상적인 행동이 가능
- 분만 3주 후에 외래를 방문하여 산욕기 이상이 있는지를 진찰받고 피임에 관한 상담을 받도록 함
모유 수유
초유 및 모유
초유
- 분만 후 처음으로 분비되는 모유, 산후 5일까지 분비
- 무기질, 단백질, 글로불린(globulin) 함량↑
- 당, 지방함량↓
- 신생아 방어기전에 중요한 역할
모유
- 엄마의 음식섭취와 관계없이 아기에게 적합하도록 분비됨. 주로 지방과 단백질로 구성
- 유즙분비와 관련된 호르몬: prolactin, cortisol, oxytocin, insulin
- Progesterone은 유즙분비를 억제함
모유 수유 합병증
유방울혈
- 원인: 젖이 생길 때, 여분의 혈액과 림프액이 유방으로 유입, 젖의 양이 급속도로 증가하거나 적당한 수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울혈이 발생할 수 있음
- 증상
- 유방: 화끈거림, 단단해짐, 통증
- 산욕열: 체온 37.8-39℃, 4-16시간 이상 지속됨
- 치료: ① 동반된 감염확인 ② 유방 찜질 및 마사지(나선형) ③ 자주 수유
젖샘관 막힘과 젖낭종
- 젖샘관이 막히면 유방이 부분적으로 부풀고 붉게 변색되고 젖을 빨리고 난 다음에도 부풀기가 줄어들지 않음
- 출산 초기에 많이 나타남
유방염
- 유방 실질 감염 시 압통과 국소발열 발생
- 감기몸살과 유사한 전신증상 발생
- 원인균: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과 대장균이 흔하고 드물게는 사슬알균(Streptococcus viridans)
산욕기 이상: 산욕기 감염
산욕열
정의
- 하루에 적어도 4번 이상 측정한 구강 체온이 38℃ 이상이며, 분만 이후 10일 이내에 발열이 시작되어 2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단, 분만 후 첫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발열은 진단기준에서 제외됨
산욕열의 원인 및 감별진단
- 대부분은 생식기 감염
- 호흡기 합병증에 의한 발열: 분만 후 24시간 내에 발생, 대개 제왕절개 분만 후 발생
산후 자궁감염
- 탈락막 뿐만 아니라 자궁근층 및 자궁주위 결합조직을 포함하기 때문에 통칭하여 골반연조직염(pelvic cellulitis)을 동반한 자궁염 (metritis) 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
전구인자
- 분만방식: 제왕절개분만
- 자궁내 태아감시장치 장착
- 사산
- 저체중아
- 조산
- 신생아 합병증을 보인 경우
임상양상
- 가장 중요한 특징은 발열
- 복통, 산후통, 내진과 복부촉진 시 복부와 자궁주위 조직 부위의 압통
치료
- 광범위 항생제 IV 투여
산욕기 골반감염에 사용되는 항생제(제왕절개술 후에 발생한 경우)
항생제 | 비고 |
Clindamycin + gentamicin | “Gold standard,” 90-97% efficacy, once-daily gentamicin dosing acceptable PLUS Ampicillin added to regimen with sepsis syndrome or suspected enterococcal infection |
Clindamycin + aztreonam | Gentamicin substitute for renal insufficiency |
Extended-spectrum penicillins | Piperacillin, piperacillin tazobactam, ampicillin/sulbactam, ticarcillin/clavulanate |
Cephalosporins | Cefotetan, cefoxitin, cefotaxime |
Vancomycin | Added to other regimens for suspecte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
Metronidazole + ampicillin + gentamicin | Metronidazole has excellent anaerobic coverage |
Carbapenems | Imipenem/cilastatin, meropenem, ertapenem reserved for special indications |
Gold standard 인 clindamycin + gentamicin IV 를 기억하자
골반 감염의 합병증
- 자궁감염에 대한 적절한 치료 이후에도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다른 합병증이 동반되어 있을 경우가 많음
창상감염
괴사성 근막염
복막염
자궁주위 광범위연조직염(parametrial phlegmon)
골반 농양
패혈성 골반 혈전성 정맥염(septic pelvic thrombophlebitis)
|
참고자료
[산욕기 관리]
- 대한산부인과학회.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4판(2015). P245-250
[산욕기 이상: 산욕기 감염]
- Williams Obstetrics, 25/e(2018). 37장
- 대한산부인과학회.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4판(2015). P250-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