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호르몬 피임법(Non-hormonal method)
- 피임 실패확률: 어떤 피임 방법을 사용한 첫 해에 100명 중 몇 명이나 임신 경험이 있는지를 뜻함(완벽하게 그 피임 방법을 사용했을 때 기준)
질외사정
- 실패확률 4%
- HIV 등 STD 전파예방에 어느 정도 효과 있을 것으로 생각됨
주기법
- 수정 가능 주기에는 성관계 피함
- calendar method: 날짜 계산하여 금욕, 실패확률 9%
- mucus method: 미끈거리는 점액이 촉지됨 ~ 점액 최고조에 달한 후 4일까지 금욕, 실패확률 3%
- 기초 체온법: 배란 후 황체호르몬(progesterone) 분비되면 기초 체온 상승하는 것 이용
- Symptothermal method: calendar method, mucus method, 기초체온법을 종합하여 예측, 실패확률 2%
주기법은 방법이 복잡하고 실패확률이 높은 편입니다.
차단물 사용
Cf. 피임약 금기 있을 때 유용(예. 당뇨 → progesterone이 혈당 올리므로 Oral pill보다는 차단물 사용이 추천됨)
- 남성형 콘돔: STD 위험 감소, HPV 전파(자궁경부암 위험인자)도 감소시킴, 실패확률 2%
- 여성형 콘돔: Diaphragm, Cervical cap 등, 실패확률 5%
자궁내 장치(IUD, intrauterine device)
종류
자궁내 장치는 흔히 루프라고도 불립니다. 크게 호르몬(약물방출형) IUD와 구리(copper) IUD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구리(copper) IUD: Copper T380
- 호르몬(약물방출형) IUD (Levonorgestrel-releasing T): Mirena
| 구리(copper) IUD: Copper T380 | 호르몬(약물방출형) IUD: Levonorgestrel-releasing T |
기전 |
|
|
유효기간 |
|
|
특징 |
|
|
- 호르몬(약물방출형) IUD 종류별 비교
| mirena | jaydess | kyleena |
용량 | levonorgestrel 52 mg ![]() | levonorgestrel 13.5 mg ![]() | levonorgestrel 19.5 mg ![]() |
지속기간 | 5년간 | 3년간 | 5년간 |
삽입 시 통증 | 삽입 시 통증 있음 | 삽입 시 통증 덜 함 | 삽입 시 통증 덜 함 |
비고 | 월경통 및 월경과다 치료 가능, 월경통 및 월경과다시에는 보험 가능, 피임 목적으로는 비급여 | 비보험 | 비보험 |
세 가지 제제 모두 같은 회사에서 출시된 제품입니다. 세 가지 모두 99%에 가까운 우수한 피임율을 보입니다. mirena의 크기 및 삽입기 굵기가 굵어서 삽입 시에 환자(특히 출산 경험이 없는 환자)들이 삽입 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jaydess라는 상품이 출시되었습니다. 그런데 삽입기가 얇아 통증은 덜하지만 지속기간이 3년으로 짧은 탓에 통증은 덜하면서 지속기간은 mirena와 같이 5년으로 보다 긴 kyleena가 출시된 것입니다.
시술방법
- 생리 중 또는 생리 시작일 7일 이내에 삽입하는 것이 좋음
- 자궁 내로 관을 집어넣어 장치를 주입하므로 자궁입구를 넓히는 과정이 필요. 이때 뻐근한 정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음
- 나중에 이 장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낚싯줄 정도의 얇은 실을 자궁경부 끝까지 남겨둠
IUD 착용 상태에서 임신한 경우
- 임신 상태에서 IUD가 계속 자궁내에 위치해 있는 경우(retained IUD) 여러가지 위험 증가: spontaneous abortion (48-77%), preterm delivery (7-25%),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chorioamnionitis, septic abortion, placental abruption
2016년 ACOG (Reaffirmed 2019)에서 제시한 committee opinion을 토대로 정리해봤습니다.
IUD 착용 상태에서 임신한 경우 | ▶ 임신을 원하지 않았던 경우(undesired pregnancy): 수술적 유산시에 혹은 약물유산 전 IUD 제거 | ||
▼ | ▼ |
|
|
실이 보이는 경우 | 실이 보이지 않는 경우: IUD의 존재 및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USG 시행 | ||
▼ | ▼ | ▼ | ▼ |
IUD 제거: 실을 조심스럽게 제거 | 보이지 않는 경우 | Cervix 내에 IUD가 위치한 경우(IUD within cervix) | Cervix 위에 IUD가 위치한 경우(IUD above cervix) |
| ▼ | ▼ | ▼ |
| 복부/골반 X선 시행 후 조치 | USG guide 하에 IUD 제거 | 제거를 시도하지 말 것. 환자에게 IUD 남겨두고 임신 지속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충분히 설명 |
호르몬 피임법(Hormonal method)
호르몬 피임법은 크게 경구로 투여하는 호르몬 피임법(경구피임약)과 다른 경로로 투여하는 호르몬 피임법(임플라논: 피하 이식장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경구피임약(Oral contraceptive, OCs): 금기 없는 정상 여성에게 가장 좋은 피임법
경구로 투여하는 경구피임제는 사전피임제와 응급 시 투여하는 응급피임제로 나누기도 합니다.
응급피임제는 응급피임법으로 따로 분류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여기서는 사전피임제에 대해 기술하겠습니다.
경구피임약에 대한 고찰
종류
크게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복합 또는 프로게스틴 단독 피임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복합피임약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유된 호르몬 종류
- combined oral pill: estrogen + progesterone
- progestin only pill
| Combined oral pill | Progestin only pill |
기전 |
|
|
투여 방법 |
|
|
- 에스트로겐 용량에 따른 종류: 저용량(0.03 mg), 초저용량(0.02 mg)
- 프로게스틴의 종류: 1-4세대 피임제
기간별로 함유된 호르몬의 용량에 따른 종류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21일 또는 24일간 일정하게 함유된 단상성(monophasic) 제제
- 함량이 기간별로 다르게 조합이 된 2상성, 3상성, 4상성 제제
복용방법에 따른 종류
- 21/7일 제제, 28일 제제, 24/4일 제제 등
피임 외 이점(Noncontraceptive benefits)
월경 관련
난소 관련
기타 산부인과적 이점
혈액
피부
암 예방
|
경구피임약과 연관된 안전성 이슈
합병증
흔한 부작용 | 심각한 부작용 |
|
|
암과의 관계
위험도 증가 | 위험도 감소 |
Cf. 자궁경부암의 대표적 risk factor는 HPV, 첫 성관계 나이, multiple sexual partner 등 → 함께 해석해야 함 Cf. 간샘종(hepatic adenoma): 장기 복용과 관련, 피임제 복용 중단하면 사라지기도 함 Cf. 급, 만성 간염이나 간경화의 진행, 간부전과는 연관 없음 |
|
투여 실제
복용 전 확인 사항
- 우선 임신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고, 출산과 수유 기간, 나이, 흡연 여부, 비만 등 여부를 확인할 것
- 사전피임제 복용이 금기인 질환이나 상태는 아닌지 확인할 것
금기 질환: 유방암, 혈전성 질환,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중증 고혈압, 간·담낭질환,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 20년 이상 지속된 당뇨 또는 합병증이 있는 당뇨, 전신 홍반 루푸스 등 |
- 병용 약물을 확인할 것: 상호작용으로 피임제의 피임 효과가 감소하거나 병용약물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
투여방법
21/7 일 제제
- 매일 정해진 시간에 1정씩 21일간 복용하고 7일간 중단한 후(휴약기) 8일째부터 새 포장을 다시 복용 시작
28일 제제
- 21개의 호르몬 피임제와 7개의 위약(placebo)으로 구성 → 매일 순서대로 복용하고 휴약기 없이 새 포장을 연달아 복용
24/4일 제제
- 24일간 호르몬제와 4개의 위약으로 구성 → 매일 순서대로 복용하고 휴약기 없이 새 포장을 연달아 복용
투여시기 놓쳤을 때
복용 중인 피임제 종류와 복용을 잊은 시간, 복용을 잊은 것이 총 몇 알이었는지, 당시 복용 몇 주차였는지에 따라 대처법이 달라집니다.
여기에서는 21일 제제만 언급하기로 합니다. 28일(24/4일) 제제: 야즈정, 28/일(26/2일) 제제: 클래라정은 참고자료를 참조해주세요.
- 투여 시기 놓쳤을 때의 대처방법: 21일 제제의 경우
|
피임 시술(Surgical sterilization)
종류
Pomeroy technique, Modified Pomeroy technique
- partial salpingectomy → 수술 실패율 irving method나 bipolar electrocoagulation보다는 높은 편
- 복원 성공률이 가장 높음
Irving methods
- 난관 중간 부위를 절단, 거의 완벽하게 피임
Bipolar electrocoagulation
- 피임 실패 시 ectopic pregnancy 많음(∵ tuboperitonela fistula), mechanical sterilization보다 복원 성공률 낮음
Falope ring for tubal sterilization
- bipolar coagulation과 달리 salpingitis 과거력 있으면 금기, 복원 성공률 중간 정도
- 10년 추적 관찰 했을 때 1,000명당 임신 확률
Unipolar coagulation | 7.5 |
Postpartum partial salpingectomy | 7.5 |
Interval partial salpingectomy | 20.1 |
Bipolar coagulation | 24.8 |
Hulka-Clemens clip | 36.5 |
전체: 모든 방법 | 18.5 |
참고자료
[비호르몬 피임법(Non-hormonal method)]
- 연구공동체 건강과 대안 젠더건강팀 지음. 우리가 만드는 피임사전. 2017
- Owen C, Sober S, Schreiber CA. Controversies in family planning: desired pregnancy, IUD in situ and no strings visible. Contraception 2013;88(3):330–3.
- Sanders AP, Sanders BH. Retained intrauterine devices in pregnancy. CMAJ 2018;190(14):E440.
-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Committee on Gynecologic Practice,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ve Expert Work Group. Committee Opinion No 672: Clinical Challenges of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ve Methods. Obstet Gynecol 2016;128(3):e69-77.
[호르몬 피임법(Hormonal method)]
- 연구공동체 건강과 대안 젠더건강팀 지음. 우리가 만드는 피임사전. 2017
-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안전나라-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안전사용 정보>피임제 정보. https://nedrug.mfds.go.kr/index
- Powell A. Choosing the Right Oral Contraceptive Pill for Teens. Pediatr Clin North Am 2017;64(2):343–58.
- Stewart M, Black K. Choosing a combined oral contraceptive pill. Aust Prescr 2015;38(1):6–11.
[피임 시술(Surgical sterilization)]
- Peterson HB, Xia X, Hughes JM, et al. The risk of pregnancy after tubal sterilization: findings from the U.S. Collaborative Review of Sterilization. Am J Obstet Gynecol 1996;174:1164 [Table II], with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