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염: 개요
담낭염이란?
- 증상이 있는 담낭 담석 환자의 약 15~30%에서 발생
원인
담석
- 담낭 결석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흔하다.(전체의 90-95% 차지)
- 발생기전: 담즙정체, 염증매개물질의 활성화, 점막손상
위험인자
- ‘‘4Fs’’ (forties, female, fat, fair), ‘‘5Fs’’ (4Fs + fecund or fertile)
원인병원체
- 급성 담낭염(담관염도 마찬가지)에서 흔히 분리되는 균은 장내 정상세균이다.
- 흔한 원인균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
혐기균
|
병태생리
- 기전: 담낭관을 막고 있는 담석이 빠져 나오지 않고 염증이 발생하며 담낭관 폐쇄가 진행되어 담낭의 압력이 비가역적으로 증가하여 급성 담낭염을 유발
담낭경부~담낭관(cystic duct) 내 담석이 걸린다.(감돈) → 담낭 안에서 세균 증가, 염증반응 증가 → 담낭이 붓는다. → 혈관을 압박을 받아 짓눌린다.(순환장애) → 괴사 → 담낭 천공(perforation) |
담낭이 천공될 때 담낭이 소화관과 붙어있는 상태라면 소화관과의 누공(fistula)을 형성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담낭염은 천공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담관염과는 다르게 위험한 상태는 아닙니다.
급성 담낭염의 다양한 임상양상/합병증
급성 비결석 담낭염(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AC)
급성 비결석 담낭염이란?
- 말 그대로 담석이 없이 발생하는 담낭염
- 임상양상은 calculous cholecystitis과 같으나 보다 합병증 발생률이 높고 예후가 나쁘다.
위험인자: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기저질환이 있거나 중증질환 환자에서 주로 발생
- 심한 중증환자의 경우 기저질환이나 병변의 진행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고 담낭 괴사, 천공이 흔히 발생한다.
흔한 원인 | 드문 원인 |
|
|
그러나 50% 이상에서는 원인이 분명하지 않다.
담낭염의 주요 합병증
| 임상양상 | 치료 |
담낭 축농(empyema) |
|
|
담낭 수종(hydrops) |
|
|
담낭괴저(necrosis)/담낭천공(perforation) |
|
|
급성 기종성 담낭염(acute emphysematous cholecystitis) |
| 중증 담낭염에 준하여 치료한다. |
담낭염: 진단
- 병력 청취, 임상 증상, 신체 검사, 말초백혈구 증가, CRP 증가, 간기능 이상, 영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 혈액배양과, 채취 가능하다면 담즙배양을 권장합니다.
- 영상검사로 초음파, CT, 간담도 주사검사를 권장합니다.
담낭염의 임상양상
- 결석으로 인해 담낭관 폐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발열
- 복통
초기 |
|
▼ 담낭 염증이 담낭 주위 복막으로 파급되는 경우 |
|
진행 |
|
급성충수염에서 살펴봤듯이 복통의 경우 내장통증(visceral pain)에서 시작하고 염증이 진행되고 복막쪽으로 파급되면 체성통증(somatic pain)의 양상을 보입니다. 진동이나 깊은 호흡으로 통증이 증가되는 것 같은 peritoneal sign이 분명할 때도 있습니다.
환자는 식욕이 감퇴되고 종종 구역질을 동반합니다.
- 황달: 초기에 황달은 드물다. 부종성 염증 변화가 bile duct와 주변 LNs에 있을 때는 발생할 수도 있다.
진단적 검사
신체검사
- Murphy's sign(특징적) ☞ 급성 담낭염에서 특징적인 소견
- 검사자가 환자의 우상복부에 손을 대고 환자에게 깊은 들숨을 쉬게 하면 통증이 심해지거나 통증으로 인해 호흡을 중단하게 되는 것을 의미
- 민감도 50-70%, 특이도 79-96%
검사실 검사
- 혈액검사
- 말초혈 백혈구 증가(leukocytosis), CRP 증가
- 빌리루빈치가 4 mg/dL 이상 상승하는 경우도 있으나 뚜렷한 황달은 대부분 흔하지 않다.
- 괴저성 또는 기종성 담낭염같은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장기 부전으로 인한 증후가 나타난다.
- 미생물학적 검사(혈액배양, 담즙배양): 혈액배양, 채취 가능하다면 담즙배양 시행
acute cholecystitis의 triad로 1) RUQ pain 2) fever 3) leukocytosis를 들 수 있습니다. acute cholangitis와는 다르게 jaundice는 대개 나타나지 않는데요. 담낭에 국한된 염증상태로 bile duct(담즙의 흐름에 영향을 주거나) 혹은 간세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영상검사
- 초음파, CT, 간담도 주사검사를 권장한다.
초음파 검사
- 1차적으로 시행하는 영상검사
- 소견:담낭벽 비후( ≥5 mm), 담낭주위 체액 저류, 초음파적 담낭 확장( >7 cm), 검사 시행시의 Murphy’s sign이 급성 담낭염에서 나타난다.
CT
- 담낭벽 비후, 담낭 주위 체액 저류, 담낭 확장 소견
간담도 주사검사(간쓸개관 99mTc-DISIDA scan)
- iminodiacetic acid의 technetium-labeled analogue를 정주한 후 60분내 담낭이 조영되지 않으면 담낭관 폐쇄 의심
- 민감도 80-90%
- 간의 대사능력과 담도계 폐쇄 여부, 담낭 기능 확인
진단 기준 및 중증도 분류
- 2018년 개정발표된 도쿄 가이드라인(Tokyo guidelines)(TG18)에서는 2013년 가이드라인(TG13)의 진단기준과 중증도 분류에 변화를 주지 않고 그대로 채택하였다.
도쿄 가이드라인(Tokyo guidelines)에 따른 급성 담낭염의 진단기준(TG18/TG13)
A. 염증의 국소 징후 |
|
B. 염증의 전신적 징후 |
|
C. 영상검사소견 |
|
확정적 진단(definite diagnosis)
|
도쿄 가이드라인(Tokyo guidelines)에 따른 급성담낭염의 중증도 등급 분류(TG18/TG13)
중증도 등급 | 소견 |
Severe (grade 3) |
|
Moderate (grade 2) |
|
Mild (grade 1) |
|
① 급성 담낭염에서 복강경 수술은 증상발생 96시간 내에 시행되어야 한다.
담낭염: 치료
치료방침
항생제 요법
참조 "담도감염의 항생제 치료" 참조
참고자료
[담낭염: 개요]
- Kyo-Sang Yoo. Diagnosis of gallston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8;75(6):616–23.
- Kimura Y, Takada T, Strasberg SM, et al. TG13 current terminology,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3;20(1):8–23.
-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0;42(6):323.
- Huffman JL, Schenker S. 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 review.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0;8(1):15–22.
- Balmadrid B. Recent advances in management of acalculous cholecystitis. F1000Res 2018;7.
[담낭염: 진단]
-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Clinical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10;42(6):323.
- Yokoe M, Takada T, Strasberg SM, et al. New diagnostic criteria and severity assessment of acute cholecystitis in revised Tokyo guideline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2;19(5):578–85.
- Yokoe M, Takada T, Strasberg SM, et al. TG13 diagnostic criteria and severity grading of acute cholecystitis (with video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3;20:35-46
- Yokoe M, Hata J, Takada T, et al. Tokyo Guidelines 2018: diagnostic criteria and severity grading of acute cholecystitis (with video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8;25:41-54.
[담낭염: 치료]
- Miura F, Takada T, Strasberg SM, et al. TG13 flowchart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holangitis and cholecystitis. J Hepatobiliary Pancreat Sci 2013;20(1):47–54.
- Lee SO, Yim SK. Management of Acute Cholecyst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64-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