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약물요법


목차

5-ASA (Aminosalicylates) Agents

  •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제로 30년 이상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약제
  • 5-ASA는 궤양성 대장염 특히 경도 및 중등도 활성도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효과적이면서 저렴하고, 동시에 합병증이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할 것을 권유

 

종류: 제형에 따라 다양한 종류 존재

크게 sulfa를 포함한 제제와 sulfa를 포함하지 않은 제제(sulfa-free)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Sulfasalazine 
    • Anti-bacterial (Sulfapyridine) + Anti-inflammatory (5-ASA): azo bond로 결합
    • 소장에서 거의 흡수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대장의 세균에 의해서 Sulfa와 5-ASA로 분해가 되어서 작용(∴ 대장에 병변이 있을 때 주로 이용하는 약제)
  2. Sulfa-free 5-ASA: azo 결합 운반체, 5-ASA 이합체, pH- 의존적 정제, 서방형 정제 등
    • Delayed release type으로 약제가 작용하는 부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부위별로 치료가 가능
    • 전신부작용 감소, 활동성 병변 부위에 Sulfasalazine의 유효성분(5-ASA, mesalazine)을 더 많이 공급할 수 있음


  1. 5-ASA dimer: olsalazine
  2. 4-amino-benzoyl-β-alanine이 결합된 형태: balsalazide (Colazal®) 
  3. Mesalamine제제: pH-dependent coated mesalamine (Asacol®, Salofalk®), time-controlled mesalamine (Pentasa®), multi matrix system 기술을 이용한 multi matrix system mesalamine (Mezavant®)

 

Delivery System and Site of 5-ASA Release

Formulations

Name

Mode of delivery

Site of drug release

Azo-bonded prodrugs

Sulfasalazine (Salazopyrin®)

Sulfapyridine carrier

Colon

Balsalazide (Colazal®)

4-amino-benzoyl-β-alanine

Colon

pH-dependent

Mesalamine (Asacol®)

Eudragit-S coating, dissolves at pH 7

Terminal ileum, colon

Time dependent, controlled release

Mesalamine (Pentasa®)

Ethylcellulose coated microgranules

Duodenum to colon

Composite (multimatrix)

MMX Mesalamine (Mezavant®)

Enteric coating, MMX of lipophilic and hydrophilic excipients

Terminal ileum to colon

5-ASA, 5-aminosalicylate; MMX, multi matrix system.

 

Mesalamine은 sulfasalazine과 효과는 거의 대등하고 안전성은 보다 유리한 면이 있어 최근에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sulfasalazine 사용은 점차 감소하고 대부분 mesalamine을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작용기전

Mechanism of action

  • Not related to COX inhibition
  • Its various mechanisms are
    1. Inhibiting IL-1 and TNF-α production
    2. Inhibiting Lipo-oxygenase pathway
    3. Scavenging of free radicals
    4. Inhibiting of NF-kB via PPAR-γ


  • 5-ASA제제가 방출되어 작용하는 부위

이미지

 

염증성 장질환에서의 5-ASA 투여

  • Efficacy: 관해 유도 > 유지
  • 적응증: UC > CD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관해유도

경증-중등도 UC

제한적 역할

유지요법

경증-중등도 UC

역할 불분명

 

부작용

  • 흔한 부작용: 두통, 구역, 탈모, 복통
  • 드문 부작용: 콩팥장애, 혈뇨, 췌장염, 대장염 악화

 

 

 

스테로이드(Glucocorticoid)

  • 중등도 및 중증 궤양성 대장염, 중등도 및 중증 크론병 환자에서 관해 유도를 위해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약제
  • 1960년대 초반 스테로이드 사용이 도입되면서 궤양성 대장염 환자 사망률 급격한 감소
  • 경구/주사/국소 제형 사용 가능

 

염증성 장질환에서의 투여

  • 적응증: 관해 유도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관해유도

중등도-중증 UC

중등도-중증 CD

유지요법

역할(-)

역할(-)

 

용법

  1. 용량: 하루 0.5-1.0 mg/kg
    • 중등증: 경구 스테로이드 사용(40-60 mg/d prednisolone)
    • 중증: 입원하여 정주 치료(300-400 mg/d hydrocortisone)
      = 스테로이드 사용 시 처음 치료로 하루 prednisolone 15 mg 미만은 치료 효과가 없음을 유념해야 합니다.
  2. 투여 기간
    1. 최대 용량 사용 기간 1-2주 → 임상적 호전 시 매주 5-10 mg씩 감량 → 총 12주를 넘지 말 것
    2.  3주 미만의 스테로이드 단기 투여는 조기 재발 위험(+)

 

부작용

참조 "스테로이드" 참조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사용은 절대적으로 금기이며, 빈번한 스테로이드 사용이 필요한 경우 조기에 면역조절제 또는 생물학적 제제 사용이 권유됩니다.

 

 

 

항생제

  • Metronidazole, Ciprofloxacin
  • 적응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음
  • 단, Colectomy나 IPAA (Ileal Pouch Anal Anastomosis)로 인해 Pouchitis가 생긴 경우에는 효과가 있음
  •  활동성 염증, 누공, 항문주위 병변이 있는 CD의 치료에 효과적
  • 활동성 염증, 누공, 항문주위 병변이 있는 CD의 초기에 1차치료제로 단기간 사용할 수 있음

 

 

 

면역억제제(Immunosuppressive agents)

 

기전

적응증

부작용

Azathioprine/6-Mercaptopurine

  • Azathioprine은 흡수되어 6-MP로 전환, 대사 과정을 거쳐 퓨린 리보핵산의 합성과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thioinosinic acid 로 활성화
  • 스테로이드 의존성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
  • 유지요법: UC, CD
  • 누공이나 항문주위 병변이 있는 CD의 치료
  • 췌장염
  • 구역, 발열
  • 발진
  • 간염
  • 골수억제

Methotrexate

  • dihydrofolate reductase 억제 → DNA 합성 방해
  • 관해유도 및 스테로이드 감량
  • 활동성 CD의 관해유지
  • 백혈구 감소증
  • 간섬유화

Cyclosporine

  • 보조 T세포에서 IL-2 합성 억제 → 세포질 내 인산분해효소인 calcineurin과 결합하여 보조 T세포의 활성화 억제
  • 보조 T세포 억제 → 이차적으로 B세포의 기능 억제
  • 스테로이드 정주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의 UC에서 IV CSA 이용
  • Colectomy를 대체해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 유지요법: Azathioprine & 6-MP와 병합해서 사용 가능

 

  • 고혈압
  • 잇몸비대
  • 다모증
  • 감각이상, 진전, 두통

Tacrolimus

  • macrolide계 항생제
  • cyclosporine과 비슷한 면역조절 특성
  • 소장을 광범위하게 침범한 경우
  • 스테로이드 의존성 혹은 불응성 UC, CD, 불응성 누공형 CD

 

① 약물 사용할 시에 신장기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제제

IBD에서 주로 사용되는 제제는 현재 항TNF제제와 항인테그린제제가 있습니다.

 

 

기전

적응증

Anti-TNF α antibody

infliximab, Adalimumab

  • Infliximab: chimeric IgG1 항-TNF 단클론 항체
  • Adalimumab: 전 인간형(fully human) 항-TNF 제제
  • Refractory CD, Perianal/Fistulous CD에 효과적인 약물이며 일부 UC에도 효과적

Anti-adhesion molecules (Anti-Integrin제제)

Vedolizumab

  • Integrin α4β7에 특이적으로 결합 → IBD와 관련 있는 α4β7Integrin 발현 T림프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억제

 

  1. TNF-α 억제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반응이 없어지거나, 또는 내약성이 없는 성인 환자에서 중등도에서 중증의 활성 UC의 치료
  2. TNF-α 억제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반응이 없어지거나, 또는 내약성이 없는 성인 환자에서 중등도에서 중증의 활성 CD의 치료

Cf. FDA승인(2014년)

Blockad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Ustekinumab

  • Monoclonal Ab
  •  IL-12와 IL-23의 p-40 subunit에 대한 인간 단백질로 재조합된 IgG1-κ 단클론항체
  • p-40이 세포 표면의 IL-12, IL-23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T-세포 활성화를 감소시킴
  1. CD
    • Corticosteroid, 면역억제제 또는 TNF-α 저해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경우 또는 이러한 치료방법이 금기인 중등증에서 중증의 활성 CD
  2. UC
    • Corticosteroid, 면역억제제 또는 생물의약품(TNF-α 저해제 또는 인테그린 저해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거나, 내약성이 없는 경우 또는 이러한 치료방법이 금기인 중등도에서 중증의 활성 UC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319장
  • Choi CH, Kim Y-H, Kim YS,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Ulcerative Colitis.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2;59(2):118.
  • Ye BD, Yang S-K, Shin SJ,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rohn’s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2;59(2):141.
  • Kim YS. How to Optimally Use Currently Available Drugs in a Therapeutic Algorithm?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74.
  • Na S-Y, Moon W. Evolving Therapeutic Strategies in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61.
  • Seo GS, Lee SH. Emerging Therapies: What Are Promising in the Near Futur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8;71(2):81–8.
  • Lee HS, Park S-K, Park DI. Novel treatment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Korean J Intern Med 2018;33(1):20–7.
  • Narula N, Rubin DT, Sands BE. Novel therapie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 evaluation of the evidence. Am J Gastroenterol Suppl 2016;3:38-44.
  • Lee KJ. Pharmacologic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Korean Med Assoc 2015;58(1):57.
PC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