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궤양제: 개요
항궤양제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 우선 궤양 및 위식도 역류 질환 치료제의 약리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다루고자 함
위와 십이지장의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물질들(산, pepsin, bile acids, pancreatic enzymes, drugs, infection)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동시에 점막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전들이 존재하여 점막을 보호하고, 복구합니다. 이 균형에 문제가 생길 때, PUD(Peptic Ulcer Disease)가 발생합니다.
위의 구조(해부학)
위샘(Gastric glands) 분포
- 위의 상피세포는 현미경상의 gastric pits로 이루어진 rugae로 구성되고, 4-5개의 고도로 분화된 세포가 있음
Oxyntic gland area
Pyloric gland area
|
위의 분비기능(Gastric secretion)(위의 산성 환경: 공격인자)
위선(분포세율 %) | 위선구성세포 | 분비 물질 |
분문부 위선(<5%) | 점액 세포 | 점액, 펩시노겐 II |
산분비부 위선(75%) | 벽세포(산분비세포) | 산, 내인자 |
주세포 | 펩시노겐 I/II | |
점액 세포 | 점액, 펩시노겐 I/II | |
장크롬화성 세포 | 세로토닌 | |
전정부 위선(20-25%) | 점액세포 | 점액, 펩시노겐 I/II |
G세포 | 가스트린 | |
D세포 | 소마토스타틴 | |
장크롬화성 세포 | 세로토닌 |
위산분비와 연관된 세포: 4가지 세포
주요 세포 | 분포 부위 | 분비물질 |
주세포(chief cell) | Body, fundus | Pepsinogen |
벽세포(parietal cell) | Body, fundus | 위산, 위내인자(intrinsic factor) |
G cell | Antrum | Gastrin |
Enterochromaffin-like (ECL) cell | corpus/fundus | Histamine |
Cf. 표면점액세포(surface mucous cell, Goblet cell): 점액(mucus), 중탄산(bicarbonate) → 점막방어(mucosal defense)의 1선 담당
위산분비의 조절
위산분비조절에 관여하는 인자
위산분비 자극 인자 | 위산 분비 억제인자 |
|
|
- 위산분비의 주된 자극인자: ① histamine ② Gastrin ③ Ach
- 위산분비의 주된 억제인자: Somatostain
위산분비 조절기전: 위산분비 자극의 조절
- H+ 이온의 발생은 3가지 경로(pathways)를 통해서 매개됨
| ▶︎ | 신경내분비, 주변분비, 내분비 경로 사이의 상호작용이 H+ 이온발생을 촉진시키거나 억제 |
| 신경내분비 경로(Neurocrine pathway) | 주변분비 경로(Paracrine pathway) | 내분비 경로(endocrine pathway) |
전달물질 |
|
|
|
작용기전 |
|
|
|
① 가스트린은 주로 장크롬친화세포(Enterochromaffin-like cells, ECL cells)로부터의 히스타민 방출을 통하여 위산분비를 촉진하기 때문. 이런 이유로 장크롬친화세포는 종종 위산분비과정에서 조절세포('controller' cells)로 불린다.
위산분비 조절기전: 위산분비억제
- 음성되먹임기전을 통해 가스트린방출과 위산분비가 정상수준으로 회복 → 이런 자동조절기전은 식후 위산과다분비를 방지
- 음성되먹임 과정(Negative feedback loop)
- 가스트린(식후 방출) → 위산분비 자극 → 내강 pH (Intraluminal pH) 감소 → 전정부 D세포(antral D cells)로부터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의 분비 자극
- 소마토스타틴은 다음과 같은 기전을 통해 산분비를 억제
- 주변분비(Paracrine) 기전을 통하여 전정부 G세포로부터 가스트린 방출 억제
- 벽세포의 산분비의 직접적인 억제
- 장크롬친화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방출 억제
위/십이지장점막의 방어기전
|
위산이 분비되는 세가지 경로
|
소화성 궤양의 병태생리
- 소화성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의 복용이라고 알려져 있음
- 원인개념의 변화
과거의 원인개념 | ▶︎ | 현재의 원인 개념 |
“no acid, no ulcer" | ‘no Helicobacter, no drug, no ulcer’ | |
위산과 펩신의 공격인자가 방어인자보다 우월할 때 소화성 궤양이 발생한다는 논리 |
| Big 2: 헬리코박터 & 비스테로이드소염제 |
항궤양제의 기전별 분류
- 현재 사용 가능한 약물은 크게 4가지 기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공격인자 약화 | 방어인자 증강 |
|
|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항궤양제
-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항궤양제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음
산 분비를 감소시키는 약물 | 점막방어를 강화시키는 약물 |
|
|
위산을 중화시키는 약물 | 위험인자 교정 |
|
|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약물의 종류
1st generation PPI
2nd generation PPI
|
기전
|
- 작용시간이 느림. 위산분비억제를 빠른 시간에 이루지 못하고, 최대효과를 기대하려면 5일 정도가 필요
- 비가역적으로 작용하지만 새로이 생성되는 양성자펌프를 막을 수는 없음
- 아침 식전 복용
약리 및 특성
흡수/분포
- PPI는 전구약물(prodrug)로 투여
- 위산에 불안정적
- PPI는 모든 제제가 유사한 구조를 가짐
- pKa: 약염기 - 오메프라졸/에소메프라졸/란소프라졸 약 4.0, 판토프라졸 3.9, 라베프라졸 5.0
대사
- 소장에서 흡수 후에 빠르게 대사
- 반감기: 1-1.5시간 정도
PPI의 pharmacokinetic properties
제제 | 생체이용률 | Cmax | AUCO-24 | 배설 | pKa |
Omeprazole | 45% | 0.7 | 2.0 | 콩팥 | 4.0 |
Lansoprazole | 85% | 0.5-1.10 | 2.5 | 담도 | 4.0 |
Rabeprazole | 52% | 0.4 | 0.8 | 콩팥 | 5.0 |
Pantoprazole | 77% | 2.5 | 5.0 | 콩팥 | 3.9 |
Esomeprazole | 64% | 1.5 | 4.3 | 콩팥 | 4.0 |
Cf. ilaprazole은 pKa가 5.1로 알려져 있다.
- cytochrome P450 (CYP) 대사
- CYP 중에서 PPI 대사와 관련이 있는 것은 CYP2C19과 CYP3A4
- CYP2C19의 다형성으로 인해 약물의 효과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종 또는 개인에 따라 대사에 차이를 보임
extensive metabolizer (EM)
poor metabolizer (PM)
|
- CYP2C19에 의해 주로 분해되는 약물: omeprazole, lansoprazole → EM에서 안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못함
- CYP2C19의 영향을 적게 받는 약물: rabeprazole → PM 및 EM에서 모두 안정적인 위산 억제 효과를 나타냄
- omeprazole이나 lansoprazole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 rabeprazole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
작용
PPI의 활성화
- PPI는 벽세포 내부 환경의 산성환경에 의해 활성화됨
- 벽세포가 활성화되지 않은 공복 시 또는 다른 위산 억제제를 투여하는 경우 PPI의 활성도는 감소
- 벽세포가 활성화되는 식사 시점의 직전에 하는 것이 최대 효과 → 일반적으로 아침 첫 식사 전 또는 식사와 함께 하는 것이 원칙
- 1회 투여 시 억제되는 양성자 펌프는 충분치 않으며 5일간의 투여 후 약 80%의 양성자 펌프를 억제할 수 있음
- 적절한 수준의 위산억제에 도달하기 위하여 투약 시작 시점 2-3일간 하루 2회 투여를 하거나 또는 H2 수용체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됨
- PPI는 초회 투여 후 약효가 나타나기까지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요
- PPI는 산성 조건에서 활성화돼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으로 양성자 펌프에 결합해 이를 억제
omeprazole, lansoprazole 등 | ↔ | Rabeprazole |
|
|
|
❶ 위샘의 바깥쪽, 상부에 위치한 벽세포는 낮은 pH의 위액을 분비하고 위샘의 안쪽에 위치한 벽세포는 상대적으로 높은 pH의 위액을 분비한다.
약물 상호 작용
- 흔하지 않음
- Digoxin, ketoconazole: 위산이 억제된 상태에서 경구 투여 후 흡수율이 저하하므로 digoxin level의 강하 및 ketoconazole의 혈중 농도 불충분에 대한 주의가 필요
- PPI의 약물의 대사 간의 cytochrome p450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통된 대사과정을 가지는 warfarin, diazepam, phenytoin의 투여 시 약물의 대사 감소로 인한 혈중 농도 상승에 유의하여야 함
- 최근의 연구에서 항혈소판 제제인 clopidogrel과 PPI 간의 cytochrome p450에 의해 서로 경쟁적으로 대사됨에 따라 clopidogrel의 효과가 PPI의 투여에 의해 저하되는 것에 대한 주의가 필요
내성과 반동
- 약물 투여 후 발생하는 내성에 대한 보고는 없음
- 약물의 투여 중단 후 고가스트린 혈증과 유도된 위산 분비 샘의 증가에 따른 위산 분비의 증가는 약 2주간 지속되고 이후 정상화
- PPI에 대한 내성은 관찰되지 않으며 약제를 중단한 후 2일까지 위산 억제 효과가 지속된 후 중단 후 14일에 기저 위산 분비와 최대 위산 분비는 모두 증가하여 약 2개월간 지속
이상반응
- PPI에 의한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지만 설사와 두통은 비교적 흔히 발생됨
고가스트린혈증
- PPI에 의한 고가스트린 혈증은 동물 실험과는 달리 사람에서 유암종의 발생이 증명된 바는 없음
- 다만 위저샘의 증식 용종증이 드물게 발생하지만 투약을 중단한 뒤 소실
- 고가스트린 혈증은 약물의 중단 후 4주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옴
골다공증/골절
- PPI를 장기간 사용할 때 골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
-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율↓ → 골밀도↓
- PPI에 의해 파골세포(osteoclast)의 프로톤 펌프의 억제로 골대사에 영향
- 비타민 B12이 부족하여 조골세포(osteoblast)의 활성도에 영향
- PPI에 의한 고가스트린혈증 → 부갑상샘 과형성 → 부갑상샘호르몬↑ → 골밀도↓
- 미국FDA(2010년): PPI를 장기간 사용할 때 고관절의 골절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환자에게 설명할 것을 권고
- 현재까지는 장기간 PPI 투여 시, 고령이나, 스테로이드 투여, 만성 음주/흡연, 골다공증의 고위험군에서는 PPI의 장기간 사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증상을 조절할 최소량의 PPI를 사용하고 필요시 골밀도 검사 등을 시행하여 수용성 칼슘제제나 비타민 D 등을 같이 투여하는 것도 고려해봄
- 젊고 건강한 일반인에서는 장기간의 PPI 사용이 골절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아직 명확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음
비타민/미네랄 흡수장애
비타민 B12
- PPI에 의한 장기간 저산증 → 음식물에 포함된 비타민 B12가 단백질에서 분리되는 과정 저해; 소장 내 세균 과증식 등에 의한 비타민 B12 흡수 저하
- 비타민 B12의 부족으로 인해 빈혈이나 신경병증 등의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없음
저마그네슘혈증
- 드물지만 심각한 증상(근육경련, 감각저하, 전신쇠약감, 정신혼란 등)
- PPI 중단 시 1-2주 내에 회복; 대개 경구 마그네슘염 보충으로 회복
- 미국 FDA (2011년): 안정성 경고
- 다음과 같은 경우 장기간 PPI를 사용하는 경우 마그네슘 측정 고려
- 임상적으로 고령, 이뇨제 복용자, digoxin 복용자,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이전에 장절제술을 받은 경우 등
위장관계 감염 증가
- C. difficile 관련 위장관 감염: 지속적인 저산증에 의해 Clostridium difficile은 발육형태로 보다 쉽게 위장관 내에서 증식
- 세균성 장염: Salmonella, Campylobacter
투여방법
Acid-related disorders의 치료에 있어서 권장되는 PPI용량
| peptic ulcer의 치료/유지요법 | NSAID-induced ulcers의 예방 | Erosive or non-erosive GERD의 치료 |
omeprazole | 20 mg |
| 20 mg daily or 20 mg twice daily |
lansoprazole | 30 mg | 30 mg daily or 20 mg twice daily | |
rabeprazole | 20 mg | 20 mg daily or 20 mg twice daily | |
Pantoprazole | 40 mg | 40 mg daily or 20 mg twice daily | |
Esomeprazole | 40 mg | 20 mg or 40 mg daily | |
비고 |
|
|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란?
- 동의어: acid pump antagonists (APA), reversible PPI
- H+/K+-ATPase에 작용하는 또다른 계열의 약물(PPI와는 다른 특징)
- 활성화된 벽세포에 존재하는 H+/K+- ATPase의 K+ 결합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 → H+의 교환과정 방해 → 위산분비↓
- 약제가 가역적이고 경쟁적이므로, 위산분비를 빠르게 억제하고, 오랫동안 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
종류
- revaprazan: 국내에서 개발된 약제
- vonoprazan: 일본에서 개발된 약제
- tegoprazan: 국내에서 개발된 약제
Cf. linaprazan, Soraprazan: 개발 진행 중 간독성 등의 이유로 개발 중단
| Revaprazan | vonoprazan | Tegoprazan |
Derivatives | Pyrimidine | Sulfonyl Pyrrole | Benzimidazole Carboxamide |
pKa | 6.68 | 9.37 | 5.2 |
T max | 1.4-2.2h | 1.5h (0.75-3h) | 1.25h (0.5-4.0h) |
Half life | 14.8-26h | 6.1-7h | 3.7-7.1h |
Indications | GU, DU | EE, GU, DU, HP | EE, NERD, GU, HP |
EE: Erosive Esophagitis, NERD: Non-Erosive Reflux Disease, GU: Gastric Ulcer, DU: Duodenal Ulcer, HP: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NDA: new drug application
PPI와의 비교
PPI 제제가 proton pump의 cysteine group부위에 공유결합해서 비가역적으로 proton pump의 활성을 억제하여 위산분비를 억제하던 것과는 달리, PCAB는 K+가 이동 시 결합하는 부위에 가역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가역적인 위산분비 차단효과를 나타냅니다.
PPI와는 다르게 효과 지속시간은 반감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PPI 계열: Covalent inhibitor | ↔ |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 |
|
|
|
|
|
|
|
|
|
PPI에 비해 효과적인 약동학, 약역학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임상연구에서 기존의 PPI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Benefits of P-CAB compared to PPI
|
PPI의 unmet needs, 그렇다면 PCAB는?
PPI의 unmet needs | → | 그렇다면 PCAB는? |
|
|
|
참고: PPI와 P-CAB의 대결이 볼만하다.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는 과연 PPI의 아성을 넘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H2 receptor blocker (H2RA)
도입
- 1970년대까지 H2 수용체 길항제는 위산 억제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음
- H2RA는 다음의 치료에서 여전히 중요하게 사용
- 소화성 궤양의 치료 및 유지요법
- 위식도 역류 질환의 치료
- 소화불량(Dyspepsia)의 치료
- 장점: 가격이 싸고, 부작용이 비교적 적음
기전
- 벽세포의 H2 수용체에 히스타민과 경쟁적으로 결합 → 위산 분비 억제
- 벽세포의 위산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미주신경 말단에서 분비되어 무스카린 M3 수용체(muscarinic M3 receptor)에 작용하는 아세틸콜린
- 전정부 G 세포에서 분비된 가스트린
- 벽세포 근처의 장크롬친화세포에서 분비되어 벽세포의 기저측면에 존재하는 H2 수용체에 작용하는 히스타민
- 이 중 히스타민이 가스트린에 의한 위산 분비 기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
- 최근에는 간접적인 G세포 억제와 H2 수용제 차단을 기전으로 하는 약제도 개발되어 사용이 가능
참조 위산 분비에 대한 자세한 기전은 "항궤양제(anti-ulcer): 개요" 참조
약리 및 특성
흡수/분포(Absorption & distribution)
- 경구 투여 시 신속히 흡수되고 1-3시간에 혈중 농도는 최고치에 이름
- 음식에 의해 영향 받지 않음. 동시에 투여한 제산제에 의해 10-20% 흡수 저해 가능
- 뇌혈류장벽과 태반 통과. 수유 중 모유를 통해 분비
대사(metabolism)
- 생체이용률: ① cimetidine, famotidine, ranitidine: 간대사를 거치므로 35-60% 정도 ② nizatidine: 간대사를 거치지 않으므로 생체이용률 거의 100%. 90%가 소변으로 배출되어 청소율이 신부전에 영향을 받지만 간부전에 영향을 받지는 않음
- 약물 제거 경로: 간대사, 신배설
간대사
신배설
|
- 다음과 같은 경우 투여 용량을 50%로 감량
- cimetidine, famotidine: 사구체 여과율이 15-30 mL/min으로 감소한 경우
- nizatidine, ranitidine: 사구체 여과율이 50 mL/min 이하로 감소한 경우
- 복막 투석이나 혈액 투석이 H2 수용체 길항제의 청소율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아 용량 조절은 하지 않음
- 영아와 75세 이상의 고령에서는 신청소율이 감소하므로 용량을 감량
이상반응
- H2 수용체 길항제는 임상적으로 매우 안전하며 이상반응의 빈도는 매우 드묾
- H2 수용체 길항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들도 있고, 각 H2 수용체 길항제 대사과정 등에 따라 각각 다른 부작용들도 있음
여성형유방/발기부전
- cimetidine: 약한 항남성호르몬 작용 → 고용량 장기간 투여 시 여성형유방/발기부전 발생 가능
- 여성형유방: 26주 이상 시메티딘을 사용하는 경우 약 0.2% 약물의 중단이나 교체로 회복 가능
- 다른 H2 수용체 길항제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음
중추신경계 부작용
- ranitidine: 두통
- cimetidine: 혼동, 안절부절못함, 흥분, 기면, 어지러움 등
면역/혈액학적 부작용
- ranitidine: 골수억제(특이반응으로 발생)
- 기타: 다핵구감소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범혈구감소증 등
- 장기간 위산의 억제에 따라 비타민 B12의 흡수 장애 및 결핍이 발생 가능
약물상호작용
- 간 cytochrome P450에 의해 매개
- cimetidine, ranitidine: theophylline, phenytoin, lidocaine, quinidine, warfarin의 악물 대사 저하 → 혈중 농도 상승 가능
- famotidine, nizatidine: cytochrome P450과의 낮은 친화도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은 없음
기타: 내성과 반동
- 2주 이상 장기간 투여 시 장크롬친화세포의 상향 조정에 따른 고가스트린 혈증 발생 → 약물 내성 발생(위산 억제 효과 상쇄)
- 약물의 중단 후 유도된 고가스트린 혈증에 의한 위산 분비 증가는 약 9일간 유지된 후 소실
각 약제별 특징 비교
- 산분비억제 및 소화성궤양의 치유에 있어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가짐
- Potency
- 비교: cimetidine < ranitidine ≈ lafutidine < famotidine
- 이런 차이는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음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Lafutidine
nizatidine
|
약물 | 상대적 효능 | PUD | GERD | Stress-induced bleeding |
Cimetidine | 1 | 800 mg HS or 400 mg BID | 800 mg BID | 50 mg/hr continuous infusion |
Ranitidine | 4-10 | 300 mg HS or 150 mg BID | 150 mg BID | 6.25 mg/hr continuous infusion or 50 mg IV q 6-8 hr |
Nizatidine | 4-10 | 300 mg HS or 150 mg BID | 150 mg BID | Not available |
Famotidine | 20-50 | 40 mg HS or 20 mg BID | 20 mg BID | 20 mg IV q 12 hours |
제산제
종류
성분에 따른 분류
- 알루미늄류: 인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등
- 마그네슘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등
- 변비약으로도 사용됨
- 칼슘류: 침강탄산칼슘 성분
- 몸 안에 흡수되기 때문에 칼슘보급제로 사용됨
- 탄산수소나트륨 등
- 제산제로써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복합제에 혼합되어 사용됨
단일성분 제제 외에도 제산력이나 작용시간이 다른 여러 종류의 제산제를 혼합한 제제, 제산제와 다른 작용을 하는 약물을 혼합한 제제가 있습니다.
제형에 따른 분류
- 산제, 과립제, 현탁액제, 정제 등
약리와 특성
- 위산 중화, 화학 손상에 대한 점막의 보호 작용, 헬리코박터 억제 → 궤양 치유 촉진
- 점막 보호작용: 손상된 점막에서 성장인자를 촉진시키고 신생혈관의 생성을 촉진하며 담즙과 결합하여 담즙에 의한 소화작용을 억제
이상반응
- 이상반응의 발생은 제산제의 사용기간과 양에 따라 결정
제제에 따른 부작용
마그네슘 제제 | 알루미늄 제제 |
|
|
칼슘 제제 | 구연산 제제 |
|
|
기타 중요 부작용
- 장기간의 NSAIDs 사용자에서 궤양 및 위장 장애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병용 투여하는 제산제는 상부위장관 증상을 차폐함으로써 NSAIDs를 단독 투여하는 경우에 비하여 궤양 합병증의 빈도를 2배 증가시킴
- 일괄적인 NSAIDs와 제산제의 병용투여는 지양되어야 함
Alginate-antacid
- Gaviscon Double Action (Gaviscon DA; Reckitt Benckiser, Slough, UK)
- 기전
- 위산과 반응하여 젤과 같은 방어층을 생성한 후 acid pocket을 둘러쌈
- 위식도 접합부에서부터 원위부로 acid pocket을 하강시키는 작용을 힘 → 식후 발생하는 역류를 감소시킴
점막보호제(coating agents)]/기타 방어인자 증강약제
- 궤양의 치료에서 위산 억제제와 더불어 투여되는 점막 보호제는 점막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산을 촉진하고 성장인자 분비를 유도하여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주된 기전으로 하고 있음
- 현재까지 점막 보호제의 역할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치 않음
- 위산과 펩신(pepsin)의 분비를 저해하지 않음
- 종류: rebamipide, teprenone, ecabet sodium, misoprostol, eupatilin, cetraxace,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sucralfate, troxipide, benexate betadex HCl 등
단일제제
| 개요 | 특징/부작용 |
수크랄페이트(Sucralfate) |
|
<부작용>
참조 "제산제(antacid)"
|
Bismuth 제제 |
<기전>
|
신부전이 있는 경우 주의를 요합니다.
<부작용>
|
프로스타글란딘 E 유사체: Misoprostol |
|
<부작용>
|
Sulglycotid |
| <기전>
<부작용>
|
Troxipide | <기전>
|
<부작용>
|
Teprenone | <기전>
|
|
Rebamipide |
<기전>
|
|
Ecabet sodium |
<기전>
|
|
※ 참고: Prostaglandin analog (misoprostol)은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기전도 있기에 위산분비억제제로 분류해도 무방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점막방어(mucosal barrier)를 보호하는 역할도 중요하므로 “방어인자를 증강시키는 약제”편에서 다루었다.
[참고] 복합제제
Albis
개요
- 약물 구성: 150 mg ranitidine + 300 mg sucralfate + 100 mg bismuth subcitrate
기전
- gastroprotective effect
- histamine-2 receptor antagonist (H2RA):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 mucosa-coating
- production of prostaglandin
- H2RAs prevent peptic ulcer in patients taking low-dose ASA
-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sucralfate and bismuth is well-tolerated and beneficial for the improvement of symptoms
효과
- low-dose ASA 장기 복용자에서 궤양 예방에 대한 국내 RCT
- The incidence of gastritis was lower in the group that received low-dose aspirin and Albis
- The development of peptic ulcer due to long-term use of aspirin might be prevented with concomitant use of Albis
참고자료
[항궤양제: 개요]
- 해리슨 20/e(2018). 317장
- Wolfe MM, Sachs G. Acid suppression: optimizing therapy for gastroduodenal ulcer heal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stress-related erosive syndrome. Gastroenterology-Orlando 2000;118(2):9.
- Malfertheiner P, Chan FKL, McColl KEL. Peptic ulcer disease. Lancet 2009;374(9699):1449–61.
- Schubert ML, Peura DA. Control of gastric acid secretion in health and disease. Gastroenterology 2008;134(7):1842–60.
- Kim JS, Kim B-W. Epidemiology of Peptic Ulcer Diseas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2014;14(1):1.
- Kim SK, Kim JG, Shin SK, et al. Guidelines of Diagnosis for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279-284
[양성자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
- Cheung DY, Jung H-Y, Song HJ, et al. 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285.
- Oh JW. Pharmacological Therapy of Peptic Ulcer.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4;14:13-17
- Ryu HS, Chei SC. Drug therap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ood treatment strategies in Korea and recently developed drugs. Korean J Med 78:155-162, 2010
- Jo YJ. Proton Pump Inhibitor for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telligent Prescription. Korean J Med 2013;84:186-195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 일원내시경교실 바른내시경연구소 이준행. http://endotoday.com/endotoday/pcab.html
- Kim HK, Park SH, Cheung DY, et al. Clinical trial: Inhibitory effect of revaprazan on gastric acid secretion in healthy male subjects.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 Oh JW. Pharmacological Therapy of Peptic Ulcer.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4;14:13-17
[H2 receptor blocker (H2RA)]
- Cheung DY, Jung H-Y, Song HJ, et al. 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285.
- Shim YK, Kim N. The Effect of H 2 Receptor Antagonist in Acid Inhibition and Its Clinical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7;70(1):4.
- Wolfe MM, Sachs G. Acid suppression: optimizing therapy for gastroduodenal ulcer healing,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stress-related erosive syndrome. Gastroenterology-Orlando 2000;118(2):9.
- Savarino V, Mela GS, Celle G. Histamine 2-Receptor Antagonists—Standard Therapy for Acid-Peptic Diseases. N Engl J Med 1991;1991(324):1289–90.
[제산제]
- Cheung DY, Jung H-Y, Song HJ, et al. 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285.
- Kim SE, Park MI. Can Acid Pocket-targeting Alginate-antacid (Gaviscon Double Action) Relieve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63(6):386.
[점막보호제(coating agents)]/기타 방어인자 증강약제]
- Cheung DY, Jung H-Y, Song HJ, et al. Guidelines of Treatment for Non-bleeding Peptic Ulcer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285.
- Chen MC, Amirian DA, Toomey M, Sanders MJ, Soll AH. Prostanoid inhibition of canine parietal cells: mediation by the inhibitory guanosine triphosphate-binding protein of adenylate cyclase. Gastroenterology 1988;94(5 Pt 1):1121.
- Bianchi PG, Parente F. Side effects of anti-ulcer prostaglandins: an overview of the worldwide clinical experience.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Supplement 1989;164:224.
- Gorbach SL. Bismuth therapy in gastrointestinal diseases. Gastroenterology 1990;99(3):863.
- Lee JH, Lee YC, Jeon SW, et al. Guideline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NSAID-related Peptic Ulcer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309.
- Moon JS, Park SH, Park JJ,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Gliptide (Sulglycotide 200 mg): A Double Blinded, Randomized, Active Drug Comparative, Multicenter Study.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13;13:173-181
- https://en.wikipedia.org/wiki/Troxipide
- Dewan B, Balasubramanian A. Troxipide in the Management of Gastritis: A Randomized Comparative Trial in General Practice. Gastroenter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10;2010:e758397.
- Howden CW. PPI vs. teprenone in preventing recurrence of ulcers during low-dose aspirin. Aliment Pharmacol Ther 2014;40(11–12):1367.
- Takeuchi T, Ota K, Harada S, et al. Comparison of teprenone and famotidine against gastroduodenal mucosal damage in patients taking low-dose aspirin. J Gastroenterol Hepatol 2014;29 Suppl 4:11–5.
- Kim SM et al. Bioequivalence Test of Rebamipide 100 mg Tablets. Kor. J. Clin. Pharm. 2008;18(1):38-43
- Seo IY, Park SH, Min DJ, et al. Effects of Rebamipide Against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nduced Gastroduodenal Mucosal Injury.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2001; 8(2
- Tkach S, Onischuk L, Balabantseva A. Efficacy and Safety of Rebamipide in Prevention of NSAID-Gastropathy. Int J Biomed. 2017; 7(1):57-59
- Kim J, Kim K, Lee JS, et al. The Efficacy of Rebamipide or Ecabet Sodium Supplementation fo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Compared with Quadruple (Concomitant) Regimen].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4):204–212
- So S, Yong Ahn J, Na H, et al. Efficacy of Ecabet Sodium fo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with Sequential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Helicobacte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esearch 2018;18:180.
- Seo JY, Kim MJ, Ko KH, Kim DH, Lim DS, Chon HR. Efficacy of Ecabet Sodium fo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Combined with Lansoprazole-Based Triple Regimen: A Prospective Study.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1;80(5):546–52.
- Kim SG, Kim N, Shin SK, Sung IK, Hong SJ, Park H-J. Efficacy of Albis for the Prevention of Gastric Mucosal Injury Concomitant with the Use of Low-Dose Aspirin: A Prospective,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Clin Endosc 2017;50(2):17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