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e review
개요
허혈성 심질환 분류
|
진단

PTP:pretest probabilities
ICA: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SCAD: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1단계 | 검사 전 확률(pretest probability)의 결정: SCAD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가? |
↓ | |
2단계 | 비침습 검사 시행: 중등도 검사 전 확률을 가진 경우 SCAD 혹은 non-obstructive atherosclerosis 진단 확립 위해 |
↓ | |
3단계 | SCAD으로 진단내려지면 optimal medical therapy (OMT) 개시하고, 위험도 계층화 필요 대개 비침습검사 소견에 근거: 침습검사, 재혈관개통이 이득인 환자군을 가려냄 증상의 중증도에 근거해서 비침습, 침습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early nvasive coronary angiography (ICA)를 수행할 수도 있다[significance of a stenosis(FFR) 파악, subsequent revascularization]. |
치료

Practical guide: 진단/평가
- 흉통으로 내원한 환자는 자세한 병력 청취, 중요한 신체 검사, 위험 인자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관상 동맥 질환 정도가 평가되어야 한다.
- 크게 2가지 축이 있다.
- 진단을 위한 측면
- risk stratification → 치료방침 수립
- Coronary artery disease를 진단하고 치료방침을 정하는 데 있어 가장 확실한 방법은 ICA를 시행하는 것이다. ICA를 하는 게 가장 확실하고 속 편한 방법이지만 침습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흉통에는 cardiac chest pain도 있지만 noncardiac chest pain도 많기 때문에 ICA를 언제 시행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게 중요한 이슈인 셈이다. 핵심은 ICA를 최대한 하지 않고 진단을 내리고 치료방침을 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인 것이다. 검사, 치료의 측면에서 비침습적 검사(혹은 치료), 침습적 검사(혹은 치료)라는 용어가 대조적으로 많이 언급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허혈성 흉통이 의심되는 비급성 흉통을 가진 경우 | |
▼ 진단적 이슈 | ▼ 치료적 이슈: risk stratification → 치료방침 수립 |
CAD에 의한 흉통이 맞는가? | CAD에 의한 흉통이 맞다면 MI가 발생할 위험도는? |
▼ | ▼ |
ICA를 가급적 하지 않고 진단을 내릴 수 있을까? | ICA를 가급적 하지 않고 위험도를 평가하고 치료방침을 정할 수 있을까? |
non invasive test vs. invasive test(ICA) | non invasive treatment(optimal medical treatment, OMT) vs invasive treatment(PCI, CABG) |
핵심포인트
검사 전 확률에 따라 달리 접근한다.
- 흉통 등의 증상으로 관상동맥질환(CAD)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접근하는데 이는 미국 가이드라인이나 유럽 가이드라인이나 거의 비슷한 접근방식이다.
|
- 일단 불안정협심증을 배제한 상태에서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가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흉통' 항목에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검사 전 협심증 가능성정도[검사 전 확률, pretest probabilities(PTP)]에 따라 이후 진단 또는 위험도계층화를 위해 필요한 검사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low PTP인 경우 CAD 이외 다른 원인이나 functional coronary disease를 고려하고 high PTP라면 추가적인 평가없이 SCAD로 진단가능하다. by ESC 가이드라인(2013)
- 문제는 PTP가 intermediate인 경우인데 말 그대로 애매한 상황이기 때문에 진단 및 risk stratification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CTA=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MR= cardiac magnetic resonance; ICA=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TP= pre-test probability; SCAD=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intermediate PTP의 경우 stress test 혹은 Coronary CT angiography(CCTA)를 고려할 수 있는데,
- low intermediate(15-50~65%): ① coronary CT 혹은 ② stress testing(LVEF≥50%)
- high intermediate(66-85%)(or LVEF<50% without typical angina): Stress imaging(Echo, CMR, SPECT, PET)이 우선 권고된다.
ICA는 진단이냐 치료 측면에서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다.
야구경기를 생각해보자. 선발투수, 핵심 중간계투요원, 마무리 투수(끝판왕)를 모두 올리면서 결국 승리를 했지만 인터넷 뉴스에서는 "오늘 경기를 이기기 위해 상당한 출혈을 감수해야 했다"는 기사가 올라올지도 모른다.
출혈을 부르는(invasive) 끝판왕 ICA를 올리지 않으면서 게임을 마무리해보자는 게(진단을 내려보자는 게) 전략의 핵심인 것이다.
흔히 사용되는 비침습 검사인 Exercise ECG(treadmill test), Cardiac CT[CT angiography(CTA), CT Coronary angiography(CTCA)], myocardial SPECT, CTCA(CT coronary angiography) 등을 어떤 식으로 활용할 것인지 하나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바로 위 알고리즘이다.
핵심포인트
CT coronary angiography 검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CTCA는 intermediate PTP(pretest probability)를 가지는 경우 유용하다.
국내 가이드라인에서도 아래와 같이 권고하고 있는데 맥락은 동일하다.
허혈성 흉통이 의심되는 비급성 흉통을 가진 경우
|
Practical guide: 치료
후보 약물군 | 약물종류 |
nitrate | short acting: nitroglycerin long acting: isorsorbide dinitrate, isosorbide-5-mononitrate |
BB | Bisoprolol, Carvedilol, Carvedilol CR, metoprolol CR/XL |
CCB | amlodipine, nifedipine |
ACEI | Captopril, Enalapril, Fosinopril, Lisinopril, Perindopril, Quinapril, Ramipril, Trandolapril |
ARB | Candesartan, Losartan, Valsartan |
statin | atorvastatin, fluvastatin, lovastatin, pravastatin, rosuvastatin, simvastatin, pitavastatin |
항혈소판제 | aspirin, clopidogrel |
기타 항협심 약물 | nicorandil, Ivabradine, Trimetazidine |
- SIHD의 mortality와 morbidity를 감소시키는 약제
- low dose aspirin
- ACEI: 당뇨나 LV dysfunction이 있는 경우
- statin
핵심포인트
위험도에 따른 치료전략
일종의 중증도를 매긴다고 보면 된다. 핵심은 CAG(혹은 ICA)를 당장 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폭탄이라고 치면 언제 터질 건지 가늠하는 작업이고, 화산이라고 치면 언제까지 휴화산으로 머물지, 언제 활화산이 되어 폭발할지를 대략 예측해 보는 것이다.
- 위험도가 낮지 않으면 거의 CAG를 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다시 말해 당장 CAG를 하지 않고 OMT를 해볼 만한 대상을 골라내보자는 것이다.
안정형협심증의 위험도에 따른 치료전략
![]() ICA: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OMT: optimal medical therapy; PTP: pre-test probability; SCAD: 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위험도 분류
CAD: coronary artery disease; CMR: cardiac magnetic resonance; CTA: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V: cardiovascular; ECG: electrocardiogram; ICA: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LM: left main; PTP: pre-test probability; 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
핵심포인트
SCAD에서의 optimal medical treatment(OMT)
- low risk에 해당하여 CAG는 일단 유보하고 OMT를 해보기로 결정했다면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 치료는 크게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치료와 증상을 개선시키는 치료로 나눌 수 있는데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치료는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며 증상개선치료를 증상에 따라 선택하면 되겠다.
사망률/심근경색증을 감소시키는 치료(필수) | ± | 증상을 개선시키는 치료(선택) |
|
|
안정형 협심증의 내과적 치료

a:당뇨병에 유용, b:불내성이면 clopidogrel 고려
핵심포인트
증상을 완화시키는 내과적 치료: 항허혈제(antianginal therapy)
- 증상이 있으면 속효성의 sublingual nitroglycerin을 처방한다.
- 1st: 베타차단제를 투여한다(금기가 없는 경우).
- 2nd: 칼슘차단제나 nitrate(long acting) 투여
- 베타차단제에 금기인 경우 베타차단제 대신 투여
- 베타차단제 투여로 불충분한 경우 추가적으로 투여
- 3rd: ranolazine 투여
-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나 nitrate(long acting)에 금기인 경우 1차 혹은 2차 약제로 투여
-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nitrate(long acting)로 불충분한 경우 추가적으로 투여
※ BB보다 CCB를 우선해야 하는 경우 칼슘차단제와 달리 베타차단제는 심근경색 이후 생존율을 향상시키므로 심근 손상이 있는 협심증 환자에서는 베타차단제가 선호되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칼슘차단제가 선호될 수 있다.
|
핵심포인트
사망률/심근경색증을 감소시키는 치료
- 아스피린(ASA) 저용량 투여 75-162mg/일
- 금기 또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 clopidogrel 75mg/일 투여 혹은 ASA 탈감작(desensitization) 시행
- 생활습관 개선: 금연
- 중등도-고용량 스타틴 투여
- 고혈압 조절
- 당뇨 관리
실전 처방 예시
안정형 협심증
처방예시
±
|
이형성협심증 환자의 처방 예시
처방예시
|
참고) 심근경색증 환자의 처방 예시
|
상병명
코드 | 상병명 |
I20 | 협심증 Angina pectoris |
I20.0 | 불안정협심증 Unstable angina, 협심증 Angina: 점증 Crescendo, 신 운동성 De novo effort, 악화되는 운동성 Worsening effort, 중간관상동맥증후군 Intermediate coronary syndrome, 경색전증후군 Preinfarction syndrome |
I20.1 | 연축의 기재가 있는 협심증 Angina pectoris with documented spasm, 협심증 Angina: 혈관연축성 Angiospastic, 프린즈메탈 Prinzmetal, 연축유발 Spasm-induced, 변형 Variant |
I20.8 | 기타 형태의 협심증 Other forms of angina pectoris |
I20.80 | 비정형협심증 Atypical angina |
I20.88 | 기타 형태의 협심증 Other forms of angina pectoris, 운동성 협심증 Angina of effort, 관상동맥혈류속도저하증후군 Coronary slow flow syndrome, 안정협심증 Stable angina, 전형협심증 Typical angina, 협심증 Stenocardia |
I20.9 | 상세불명의 협심증 Angina pectoris, unspecified, 협심증 NOS Angina NOS, 심장성 협심증 Cardiac angina, 협심증증후군 Anginal syndrome, 허혈성 흉통 Ischaemic chest pain |
Case based approach
증례: treadmill test → CAG + PCI
S | C.C: chest dicomfort(10년 전부터)
과거력
| ||||||||||||||||||||||||||||||||||||||||||||||||||||||||
O |
| ||||||||||||||||||||||||||||||||||||||||||||||||||||||||
A |
활동 시 발생하는 양상(exertional chest pain)은 anginal pain을 시사한다. 아울러 관상동맥질환과 연관된 위험인자도 다수 가지고 있다. (1) 고령 남성 (2) ex-smoker (3) 고혈압, old CVA | ||||||||||||||||||||||||||||||||||||||||||||||||||||||||
P |
| ||||||||||||||||||||||||||||||||||||||||||||||||||||||||
▼ | |||||||||||||||||||||||||||||||||||||||||||||||||||||||||
S/O |
![]()
![]()
treadmill test 결과 positive 소견을 보이고 있다. | ||||||||||||||||||||||||||||||||||||||||||||||||||||||||
A |
| ||||||||||||||||||||||||||||||||||||||||||||||||||||||||
P |
=== Isosorbide mononitrate (Isotril-CR Tab. 60mg) 1T#1 Amlodipine (Orodipine tab. 5mg) 1T #1 Bisoprolol (Concor tab 2.5mg) 1T #1
| ||||||||||||||||||||||||||||||||||||||||||||||||||||||||
▼ CAG 시행(입원) | |||||||||||||||||||||||||||||||||||||||||||||||||||||||||
S/O |
| ||||||||||||||||||||||||||||||||||||||||||||||||||||||||
A |
| ||||||||||||||||||||||||||||||||||||||||||||||||||||||||
P |
=== 퇴원처방 Aspirin (Aspirin protect tab.100mg) 1T #1 Clopidogrel (Pregrel tab. 75mg) 1T #1 Amlodipine (Orodipine tab. 5mg) 1T #1 ⅹ 14days Bisoprolol (Concor tab 2.5mg) 1T #1 Isosorbide mononitrate (Isotril-CR Tab. 60mg) 1T #1 Isosorbide dinitrate (Isoket Spray 15ml) 1ea #1 : 흉통 발생시 입 안에 뿌리세요. Ezetimibe (Ezetrol tab. 10mg) 1T #1 Rosuvastatin (Cresnon tab.5mg) 1T #1 Rebamipide (Mucosta tab. 100mg) 2T #2 | ||||||||||||||||||||||||||||||||||||||||||||||||||||||||
▼ 외래 F/U | |||||||||||||||||||||||||||||||||||||||||||||||||||||||||
S/O |
| ||||||||||||||||||||||||||||||||||||||||||||||||||||||||
P | === Aspirin (Aspirin protect tab.100mg) 1T #1 Clopidogrel (Pregrel tab. 75mg) 1T #1 Amlodipine (Orodipine tab. 5mg) 1T #1 Bisoprolol (Concor tab 2.5mg) 1T #1 Ezetimibe/Rosuvastatin (Rosuzet tab. 10/5mg) 1T #1 Rebamipide (Mucosta tab. 100mg) 2T #2 |
증례: pretest probability: Low intermediate PTP → CCTA 시행
S | C.C: 6개월부터 시작된 가슴통증을 주소로 내원.
과거력
| |||||||||||||||||||||||||||||||||||||||||||||||||||||||||||||||
O |
| |||||||||||||||||||||||||||||||||||||||||||||||||||||||||||||||
A |
| |||||||||||||||||||||||||||||||||||||||||||||||||||||||||||||||
P |
|
S/O |
CT coronary angiography에서 의미있는stenosis는 관찰되지 않고 있다. |
A |
|
P |
CTCA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증거는 없는 상태로 일단 위험인자를 조절해주는 선에서 관리하면 될 듯하다. 이상지질혈증에 대해 statin을 투여하기로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