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참고자료
김일봉선생님 관련자료
온라인 자료
오프라인 강좌
초음파스캔법 동영상 DVD
복부초음파 표준검사법: 대한영상의학회/대한초음파의학회(2014년 초음파검사 실행가이드라인)
복부초음파를 위한 준비
전처치
자세/positioning
탐촉자 잡는 법
복부초음파검사의 장기별 검사법
간담도계
우늑골밑스캔(right subcostal scan)
횡단스캔(transverse scan)
종단스캔(longitudinal scan)
우늑간스캔(right intercostal scan)/우계늑부사스캔(right oblique scan)
간
담낭
담도
간내 담관
간외 담관
췌장/신장/비장
췌장
신장
비장
참고자료
김일봉선생님 관련자료
- 국내 초음파 분야의 대가이자 교육에 대한 열정도 대단하신 김일봉선생님이 제공하는 자료를 적극 활용하시기를 권합니다.
- 김일봉선생님은 비단 복부초음파 뿐만 아니라 갑상샘, 경정맥 초음파 등 일차의료에서 주로 활용하는 초음파 관련 방대한 자료를 온오프라인으로 활발하게 공유하고 있습니다.
- 초음파 입문 혹은 심화학습을 원한다면 맨 먼저 김일봉선생님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온라인 자료
- 유튜브에 1000개 이상의 강의/교육 동영상 자료가 올라와 있습니다.
- 실제 강의에서 사용된 파워포인트 원본 파일도 학회(예. 대한일차의학회) 게시판, SNS 등을 통해서 공유하고 있으니 이를 적극 활용하시기를 권합니다.
오프라인 강좌
- 용초사
- 주기적으로 소수정예 회원을 모집해서 용산에 있는 강의실에서 정기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단기간에 초음파의 기초를 잡고 싶을 때 오프라인 강좌를 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초음파스캔법 동영상 DVD
- 김일봉 원장이 해설하는 복부, 갑상선, 경동맥 초음파 스캔법 전 7장 Set
복부초음파 표준검사법: 대한영상의학회/대한초음파의학회(2014년 초음파검사 실행가이드라인)
- 2014년에 개정발표한 초음파검사 실행가이드라인 또한 유용한 자료입니다.
- 본 책에서는 복부초음파의 기본적인 내용만을 다루고자 하며, 자세한 내용은 위에서 소개한 자료 등을 포함한 다른 참고자료를 활용하길 바랍니다.
복부초음파를 위한 준비
전처치
- 일반적으로 8시간 이상의 공복이 필요[음식물 섭취 시 담낭이 수축되어 관찰이 어려우며, 위장관 내에 잔존하는 음식물과 공기들이 췌장(특히 체부와 미부)의 관찰을 방해하기 때문]
- 호흡에 대한 설명: 복식 호흡 유도(늑골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함)
“숨을 들이마시고 배를 불룩하게 내미세요” “숨을 참으세요,” “숨을 내쉬고 편안하게 호흡하세요”
자세/positioning
수검자 | 검사자 |
|
|
탐촉자 잡는 법
- 탐촉자(probe, transducer, scanner)
- 탐촉자의 종류: 굴곡형(curved), 선형(linear), 구역형(sector) 등
- 복부초음파의 기본 탐촉자: 굴곡형 탐촉자(curved probe)
- 검사자는 오른손을 이용해 탐촉자를 잡게 되는데, 이 때 탐촉자의 좌우가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튀어나온 부분을 항상 오른쪽 방향으로 두는 것이 중요
- 오른손의 엄지로 탐촉자의 좌측 끝, 검지와 중지로 탐촉자의 우측 끝을 감싸듯이 잡고, 약지와 소지는 탐촉자의 후면을 받쳐 주는 형태
Tip: 소화관 가스의 방해를 줄이는 방법
|
복부초음파검사의 장기별 검사법
검사순서
|
① 췌장의 경우 처음 관찰 시에 복강 내 공기로 인해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든 장기를 다 관찰한 후 마지막으로 보는 게 좋을 수 있다.
간담도계
우늑골밑스캔(right subcostal scan)
- 늑골 밑을 따라서 검사하는 방법
탐촉자의 각도를 두부측에서 미부쪽으로 향하도록 부채살모양으로 스캔 | ▶ | 3가닥의 간정맥의 주행과 일치하는 단면상: 우간정맥에 의해 우엽의 전구역(S5, S8)과 후구역(S6, S7) 구분가능, 중간정맥에 의해 우엽과 좌엽내측구역(S4)의 구분가능 |
탐촉자의 각도를 미부로 움직이며 약간 회전 | ▶ | 간문부에서 문맥이 좌우로 나뉘는 단면상 |
횡단스캔(transverse scan)
- 주로 심와부 중앙에서 간좌엽을 관찰할 목적으로 시행; 간의 외측구역 스캔
- 복벽측에 문맥의 외측하구역지(S3)가, 배측에 외측상구역지(S2)가 수평으로 나란히 주행하는 영상
종단스캔(longitudinal scan)
- 심와부 종스캔으로 간좌엽을 관찰함
- 복부대동맥 앞쪽으로 복부식도, 간좌엽의 후면이 관찰됨.
우늑간스캔(right intercostal scan)/우계늑부사스캔(right oblique scan)
- 담낭의 두측에서 배측으로 문맥이 주행하며, 그 복측으로 우간관 및 총간관(common hepatic duct)이 주행하는 영상
- 담낭이 간 내에 파묻히듯 위치한 경우, 장내 가스가 많이 차 있는 경우, 간 및 담낭이 위에 위치하여 우늑골궁하스캔으로 담낭이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 유용
간
- 검사 방법: 종단스캔(longitudinal scan), 횡단스캔(transverse scan), 우늑골밑스캔(right subcostal scan), 우늑간스캔(right intercostal scan)
- 환자는 심호흡을 하고 배를 불룩하게 하여 간을 최대한 늑골의 아래로 빠져 나오게 할 것
횡단스캔/종단스캔
우늑골밑 스캔
우늑골간 스캔
|
담낭
- 검사 방법: 우늑간스캔/우늑골궁하스캔
- 우늑간스캔: 담낭이 간 내에 파묻히듯 위치한 경우, 장내 가스가 많이 차 있는 경우, 간 및 담낭이 위에 위치하여 우늑골궁하스캔으로 담낭이 잘 관찰되지 않는 경우 유용
- 우늑골궁하스캔
- 앙와위 좌측 와위(담낭의 기저부가 중력에 의해 늑골에서 내측으로 하강하게 되어 다른 구조물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담낭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
- 종단스캔(담낭이 가장 길게 보이는 영상 획득) → 횡단스캔
- 담낭벽 비후: ① 정상두께: 담낭벽 두께: 3 mm 미만 ② 비후된 경우: 식후상태, 복수, 간염, 간경변증, 만성 담낭염 등
담도
- 우늑간스캔(right intercostal scan)/우계늑부사스캔(right oblique scan)
간내 담관
- 주로 간을 관찰할 때 각 구역별로 관찰
- 일반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것이 정상이나 중심부의 간내 담관은 간문맥 앞에서 흔히 관찰됨
- ‘double-track sign’ 또는 ‘shot-gun sign’: 간내 담관의 확장을 의미
간외 담관
- 좌측 와위로 종단스캔법을 이용해 담낭을 관찰하고 담낭의 경부에서 조금 더 탐측자를 옆으로 돌려 파고들듯이 관찰하면 경부에서 이어지는 총담관과 간외 담관 관찰가능
- 총담관 크기: 5-6 mm 이하, 고령의 경우 ≤8 mm,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 10 mm
- 담관확장: 총담관의 직경이 7 mm가 넘는 경우
췌장/신장/비장
췌장
- 췌장위치: 복부를 가로질러 십이지장(duodenum)에서 비장 문(hilum of spleen)까지 위치. 전방 신장주위강(anterior pararenal space)에 위치
- 해부학적 분류: ①두부(head) ② 경부(neck) ③ 체부(body) ④ 미부(tail)(대표적인 사각지대)
- 췌장 에코: 간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강함. 췌장 전반에 걸쳐 균일
- 췌장관(pancreatic duct):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거나 가느다란 선으로 관찰되는 경우가 대부분. 2 mm 이상인 경우 췌장관 확장 시사
- 비장정맥(splenic vein)을 혈관 지표점(vascular landmark)으로 활용할 것
신장
- 위치: 좌, 우 후복막강
- 크기: 10 cm 정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
- 우측신장: 좌측 와위, 종단스캔/횡단스캔
- 종단스캔: 신장 장축 길이 측정가능. 신장의 피질/수질 관찰(간과 신장의 피질이 동시에 보이는 영상을 잡아 지방간 유무 확인)
- 횡단스캔: 상극(upper pole)-하극(lower pole)
- 좌측 신장: 앙와위, 좌측 후액와선에서의 종단스캔(관찰되지 않는 경우 우측 와위에서 시도)
비장
- 크기: 9-10 cm. 나이가 들면서 크기 감소. 12 cm 이상 비장비대
- 위치: 좌상복부의 후외측(posterolateral portion)
- 검사자세: 바로 누운 자세에서 좌측 9-11번째 늑간스캔을 통해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