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간기능 검사(Liver function test)


목차

간기능의 평가: 개요

간기능을 평가하는 간기능검사(liver function test)에는 여러 가지 검사항목이 존재한다.

주된 평가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해볼 수 있다.

  • 간의 독소제거 및 배설능력 평가: bilirubin, ammonia
  • 간세포 괴사 정도 평가: aminotransferase(AST, ALT), LDH
  • 간담도 폐쇄 평가: alkaline phosphatase(ALP), γ-glutamyl transpeptidase(GGT)
  • 간의 생합성능 평가: albumin, coagulation factor(prothrombin time)

 

간기능검사

이미지

 

 간의 독소제거 및 배설능력 측정

혈청 빌리루빈(Bilirubin)

  • 정상 수치: total (< 1.0~1.5 mg/dL), direct(< 0.2 mg/dL, < 25% of total)

 Isolated un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vs.

 Conjugated hyperbilirubinemia

  • 대부분 간 이외의 질환이 원인(용혈 질환)
  • 간질환: 드묾
    • 예: Crigler-Najjar syndrome, Gilbert syndrome 

 

  • 대부분 간 질환, 담도 질환
  •  urine bilirubin (+) in urine dipstick test → conjugated bilirubin의 증가

Ammonia

  1. 간은 ammonia를 urea로 전환시켜 소변으로 배출 → detoxification (간질환시 장애)
  2. 간경변증, 전격성 간염 등 심한 간기능 장애시 상승 → 간성 뇌증(hepatic encephalopathy) 유발

 

혈청 효소

  • 혈청 효소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
    1. 간세포 손상 시 증가하는 효소
    2. 담즙정체 시 증가하는 효소
    3. 양쪽 형태에 꼭 맞지 않는 경우

간세포 손상을 반영하는 효소

vs.

담즙정체를 반영하는 효소

amino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ALP), 5'-nucleotidase(5'-NT), γ-glutamyl transferase (GGT)

  • 담즙정체란? 다양한 간담도계 질환에서 나타나는 담즙 흐름의 장애를 일컫는 용어

 

간의 생합성능을 측정하는 검사 

간의 합성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간에서만 합성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를 알고 각각의 인자들이 만성, 급성 간질환을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 간에서만 합성되는 단백질: albumin, prothrombin, fibrinogen
  • 간의 합성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중요한 인자: albumin, coagulation factors(→ prothrombin time)

 

간기능검사 유형별 임상 양상

간기능검사 유형에 따른 원인 질환

Hepatocellular (ALT, AST)

Cholestatic (ALP, GGT, bilirubin)

Infiltrative (ALP, GGT) 

  • Viral 
  • Toxin, Drug-induced 
  • Ischemic 
  • Alcoholic, NASH 
  • Autoimmune 
  • Hemochromatosis 
  • Alpha-1 antitrypsin 
  • Wilson's disease 
  • Biliary obstruction 
  • Primary biliary cholangitis 
  • 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 Drug-induced 
  • Tb
  • Lymphoma 
  • Granuloma
  • Malignancy

 

간세포 손상형

답즙정체형

  • 주로 아미노전달효소가 상승하고 알칼리성 포스파타제는 3배 미만
  • 간세포 손상형의 간기능 검사 이상을 보일 때에는 아미노전달효소의 상승 정도 및 속도, AST/ALT 비, 다른 검사실 소견의 이상 및 임상 소견을 종합하여 판단 

 

 

  •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및 빌리루빈의 상승, 황달, 가려움증 
  • 담즙정체형 간질환
    • 간외 담관 폐색이 대표적
    • 여러가지 다양한 간질환: 알코올 간질환, A형 간염, 말기 간질환, 약물
  • 담즙정체형 간기능 검사 이상의 평가
    • 우선 간내 담즙정체인지 간외 담즙정체인지 구별하는 것이 중요
    • 병력 및 신체검사로 진단의 단서를 확보하고 영상 검사를 통하여 간외 담즙 정체 확인

 

간기능검사 유형에 따른 검사소견 비교

 

Hepatocellular

Cholestatic

Infiltrative

Bilirubin (total/direct)

N ~▲▲▲

N~▲▲▲

N~▲

Aminotransferase

▲▲~▲▲▲

AST < ALT 

Acute > 500 IU

Chronic < 300 IU 

(AST/ALT > 2 in ALD)

N~▲

N~▲

ALP, GGT

N ~▲

(< 3 x Normal)

▲▲~▲▲▲

(>4 x Normal)

▲▲~▲▲▲

Albumin

▼in chronic

N unless chronic

N

prothromin time

N~▲

(Not Correctable by Vitamin K in severe)

N~▲

(Correctable by Vitamin K)

N

 

간기능검사 유형에 따른 추가 진단 검사

이미지

 

 


간기능검사: AST/ALT

혈청 아미노전달효소(aminotransferase)

분포

  • AST와 ALT는 전신의 세포에 분포

AST

vs.

ALT

심장, 간, 횡문근, 신장, 적혈구의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분포

 

주로 간세포의 세포질에 존재

  • AST와 ALT는 간내에 각각 혈청의 7,000 및 3,000배 많이 존재
  • 간 손상 시 혈청 내로 흘러나오며, ALT가 AST보다 간 손상에 더 특이적
  • 아미노전달효소는 체질량 지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높음

 

아미노전달효소의 상승

원인

AST(and/or ALT) 상승의 원인

Hepatic: ALT-predominant(ALT>AST)

Hepatic: AST-predominant(AST>ALT)

Nonhepatic

  • NAFLD: Steatosis, NASH
  • 만성 바이러스간염, 급성 바이러스 간염
  • 약물 유발 간손상: 처방약, Herbal products/ supplements, OTC 약물
  • 독성 간염, Hemochromatosis, 자가면역 간염, Wilson’s disease, Alpha-1-antitrypsin 결핍, Celiac disease
  • 급성 담도 폐쇄, 간 외상, 간 수술 후
  • Veno-occlusive disease/sinusoidal obstruction syndrome
  • 간 내 암의 미만성 침윤
  • HELLP syndrome, Acute fatty liver of pregnancy, Sepsis
  •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 알코올 간질환
  • 간경변
  • 허혈 간염
  • Congestive hepatopathy
  • Acute Budd-Chiari syndrome
  • 간동맥 손상/혈전/폐쇄
  • TPN
  • 골격근 손상/횡문근융해증
  • 심근 손상
  • 갑상선 질환
  • Macro-AST
  • 과도한 운동
  • 열사병(Heat stroke)
  • 용혈
  • 부신피질기능저하증

 

바이러스 간염

  • 우리나라에서 흔한 A, B,C형 간염에 대한 검사 즉, IgM anti-HAV, HBsAg, IgM anti-HBc, anti-HCV 필요
    (참고: 자세한 내용은 ”급성 간염”편 참고할 것)


알코올

  • AST/ALT
    • AST/AST> 2: 알코올에 의한 상승을 암시하는 단서(알코올 간질환에서 ALT가 억제되기 때문)
    • 알코올 간질환에서 AST 또는 ALT의 상승은 경미한 편. 심한 알코올 간질환에서 ALT가 정상인 경우도 있다.
    • 아미노전달효소가 300 IU/L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바이러스 또는 약물에 의한 간 손상이 동반되지 않았는지 의심할 것
  • r-GT: 정상 상한의 2배 이상 상승 → 알코올 남용 의심가능하나, 다른 가능성도 생각할 것


약물

  •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NSAID), 항생제, 고지혈증 치료제, 항경련제, 항결핵제
  • 한약제(herbal medication), 건강보조식품(nutritional supplements) 


지방간(hepatic steatosis)/비알코올 지방간질환

  •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아미노전달효소 상승 + r-GT가 정상 상한치의 약 3배에 이르는 상승(약 50%)
  • 비알코올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간 섬유화 (hepatic fibrosis) 발생가능. 섬유화 진행시 AST/ALT>1인 경향
  • 진단: 비알코올지방간 질환을 암시하는 특이 혈청 표지자(-). 다른 질환을 모두 배제한 후에 진단가능. 비알코올 지방간염은 간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가능


허혈성 간염

  • 병력: 가장 중요. 어떠한 원인의 혈압 저하나 혈장량 부족
  • 허혈 상태 → 아미노전달효소의 갑작스런 현저한 상승(2000 U/L 이상)→ 5~7일 후 정상화 → 프로트롬빈 시간, 빌리루빈의 가벼운 상승
  • 특징적으로 LDH가 5,000 IU/L 이상 현저히 상승하고 신부전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cf. 바이러스 간염에서 LDH의 현저한 상승은 드물다.)


독성 간염

  • 허혈성 간염에 비하여 아미노전달효소 상승이 지속된다.
  • 자세한 병력 청취로써 배제가능
  • acetaminophen, halothane


간질환 외의 원인에 의한 상승

  • AST의 지속적인 단독: 근육 질환 가능성[예: 다발성 근염(polymyositits)] 고려(AST는 간세포 외에 근육 세포에도 존재)
  • 기타 원인: 간으로 전이된 악성 종양 또는 간내 결핵, 유육종증(saicoidosis), 아밀로이드 침착증(amyloidosis) 등

 

  • 모든 종류의 간세포 손상에서 어느 정도 상승가능
  • 300 U/L 수준까지는 비특이적으로 모든 간질환에서 증가 가능
  • 경미한 아미노전달효소 상승의 가장 흔한 원인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 상승 정도에 따라 기저 질환 추정 가능
    • 아미노전달효소가 매우 높게 상승한 경우(20배 혹은 1,000 U/L 이상) → 광범위한 간세포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
      1. 바이러스간염
      2. 허혈 간손상(저혈압이 오래 지속된 경우나 급성 심부전)
      3. 독성 또는 약물 유발 간손상

 

Cf. 폐쇄황달의 경우: 아미노전달효소는 대체로 아주 높게 증가하지는 않는다.

① 예외: 담석이 총담관으로 빠져나오면서 발생하는 담도 폐쇄의 급성기 → 아미노전달효소가 일시적으로 1,000~2,000 U/L 상승 가능, 그러나 아미노전달효소치는 급속히 감소하면서 곧 담즙정체의 전형적인 검사소견을 보인다.

 

아미노전달효소의 증가양상: 상승 정도

2017 ACG guideline에서는 AST and.or ASL 상승의 정도를 다음과 같이 나눠 접근하고 있다. 

  1. Borderline elevation <2x ULN
  2. Mild elevation 2-5x ULN
  3. Moderate elevation 5-15x ULN
  4. Severe elevation >15x ULN
  5. Massive elevation ALT >10,000 U/L

Borderline/Mild

vs.

Moderate/Severe/Massive

참조: 표. AST(and/or ALT) 상승의 원인 참조

 

  • acute hepatitis
    1. acute hepatitis A, B, C, D, E
    2. acute reactivation of chronic hepatitis B
    3. acute hepatitis from non-hepatotropic viruses: herpes simplex, Epstein–Barr virus, Cytomegalovirus
  • idiosyncratic drug reactions, direct hepatotoxin exposure(e.g. acetaminophen), ischemic hepatopathy, Acute autoimmune liver disease 
  • sinusoidal obstruction syndrome (veno-occlusive disease), Budd–Chiari syndrome

 

아미노전달효소의 증가 양상: AST/ALT 비

AST는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내 주로 존재하며, 간, 심근, 횡문근, 신장, 뇌, 췌장, 폐, 백혈구, 적혈구 순서로 많이 존재하고 ALT는 간내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간질환에서 ALT가 AST보다 간손상 여부를 더욱 특이적으로 반영합니다. 아울러 ALT는 AST보다 더 많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AST/ALT 비는 1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예외적으로 간의 zone 3에는 ALT보다 AST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독성(toxic) 또는 허혈 간염에서 zone 3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AST가 ALT보다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 기저 질환을 추정하는데 유용
  • AST/ALT<1 ☞ 바이러스 간염, 비알코올 지방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간질환
    • 대부분의 급성 간세포 질환: ALT≥AST → AST/ALT<1
    • 만성바이러스간염/비알코올지방간: AST:ALT<1,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경우 ≥1 
  • AST/ALT비가 상승하는 경우
    1. 알코올 간질환의 경우
  • 아미노전이효소가 300U/L을 넘는 경우는 드묾. AST가 ALT보다 높음(ALT는 정상인 경우가 많음)
  • AST/ALT비가 2:1 보다 크면 알코올 간질환 시사
  • ALT가 낮은 이유: 영양 결핍으로 인하여 아미노전이효소의 보조 효소인 피리독신 인산효소(pyridoxine 5-phosphatase)가 부족하여 혈청 ALT 활성도가 낮기 때문
  • 피리독신을 보충하면 ALT 상승
    1. 간경변증
    2. 허혈 간염, 간을 침범하는 악성질환
    3. 간질환 이외에 근육손상, 심근 경색, 용혈 질환 등

aminotransferase는 간세포 손상, 현재의 질환 활성도(activity)를 반영하긴 하지만 AST, ALT의 상승정도가 severity나 prognosis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알아두세요. 급성 A형 간염에서 AST, ALT가 무지막지하게 상승해도 대부분은 문제없이 회복되거든요.

 

AST/ALT ratio

<1

1-2

>2

(AST < 300)

>3

(AST > 500)

Majorities of liver disease

Advanced fibrosis/cirrhosis

Alcoholic liver disease

Ischemic hepatitis

 

Alcoholic liver disease

 

Malignant disease involving liver

 

진단적 접근

이미지

 이미지

  • 병력
    • 알코올 섭취의 빈도와 양, 한약과 보조 식품을 포함한 약물 복용력
    • 만성 간질환의 가족력
    • 수술, 수혈력, 정맥 주사 남용
  • 단독으로 AST가 상승한 경우에는, 간 외의 다른 원인으로 인한 상승이 아닌지를 의심해야 한다. 

첫 검사에서 경미한 아미노전달효소 상승이 발견된 경우

전략 (1): 재검사를 통해 일회성 상승 혹은 지속적 상승 여부를 감별

전략 (2): 만성간질환의 유병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간염 바이러스 표지자등을 선별 검사(screening test)의 목적으로 시행(재검사한 결과가 정상이라고 해서 아무 이상이 없다고 결론을 짓는 것이 어렵기 때문)

  • 혈청학적 또는 영상학적 검사로 아미노전달효소 상승의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면 간 조직 생검 시행


 

 

간기능검사: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란?

  • 세포막을 통한 대사물(metabolite)의 운송에 관여하는 효소
  • 분포: 담관 상피세포(bile duct epithelium) 표면, 뼈, 태반, 신장, 장, 백혈구 등 → ALP 상승이 항상 간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혈청 내 ALP 대부분은 간과 뼈에서 유래
  • 비교적 반감기가 길기 때문에(약 1주) 담도폐쇄의 후반기에 상승하고, 폐쇄가 해결되고 난 후에도 서서히 감소
  • ALP는 기름진 식사 후에 증가할 수 있으므로 공복 상태에서 측정해야 함
  • 간 내에서는 간세포의 소관(canaliculi)쪽 세포막과 담관 상피세포의 내강 쪽 세포막에 존재하며, 담즙 정체 시 ALP 증가는 합성 증가에 의한 것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상승의 원인

  • 간에서 유래한 알칼리인산분해효소가 증가하는 경우: 전적으로 담즙정체에 특이적인 소견은 아님. 정상 상한치 3배 이내 상승은 대부분의 간질환에서 발생 가능
  •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가 정상 상한치의 4 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
    1. 담즙정체 간 질환
    2. 침윤 간질환: 암, 아밀로이드증
    3. 골대사가 증가하는 질환: Paget 병
  • 혈청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의 상승 정도는 간내 및 간외 담즙정체를 구분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않음
  • 가장 흔한 병적 ALP의 상승 원인은 간 또는 골질환
  • 담즙 정체(cholestasis): 담관 세포에서 ALP의 합성/분비↑

 

Serum Alkaline Phosphatase 상승의 원인

Hepatobiliary

Nonhepatic

  • 담도폐쇄(Bile duct obstruction): Choledocholithiasis, Malignant obstruction, Bile duct flukes
  • Bile duct stricture
  • Ductopenia
  • AIDS cholangiopathy
  • Cholestatic liver diseases: Primary biliary cirrhosis, PSC
  • Medications and drug-induced liver injury
  • Infi ltrative diseases of the liver: Sarcoid, Granulomatous hepatitis, Tuberculosis, Amyloid, Metastatic cancer, Lymphoma
  • Hepatic abscess
  • Hepatocellular carcinoma
  • Viral hepatitis
  • Cirrhosis
  • Vanishing bile duct syndrome
  • Ischemic cholangiopathy
  • Benign recurrent cholestasis
  • Sarcoidosis
  • Alcoholic liver disease
  • Intrahepatic cholestasis of pregnancy
  • Benign post-operative jaundice
  • ICU jaundice or multifactorial jaundice
  • TPN
  • Liver allograft rejection
  • Acute alcoholic hepatitis
  • Sickle cell liver crisis
  • Sepsis
  • Congestive heart failure
  • Hemophagocytic lymphohistiocytosis
  • Bone disease: Osteomalacia, Paget’s disease
  • Primary bony malignancy
  • Bony metastases
  • Hyperthyroidism
  • Hyerparathyroidism
  • Pregnancy (third trimester)
  • Chronic renal failure
  • Lymphoma
  • Extra-hepatic malignancy
  • Congestive heart failure
  • Childhood growth
  • Infection
  • Inflammation
  • Influx of alkaline phosphatase after a fatty meal
  • Blood type O and B
  • Myeloid metaplasia
  • Peritonitis
  • Diabetes mellitus
  • Gastric ulcer
  • Increasing age, especially women

 

 

약인 간손상

  • 담즙 정체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다양한 정도의 ALP 상승, 고빌리루빈혈증 동반
  • 항고혈압약물(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호르몬(에스트로젠)


원발 경화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 염증 장질환(특히, 궤양 대장염) 환자에서 다양한 정도의 ALP 상승 → 원발 경화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의 병발 가능성


원발 담도성 경변증(primary biliary cirrhosis)

  • 중년의 여성에서 소양증과 함께 ALP 상승된 경우


총담관 결석

  • 간전이 효소의 상승, 복통 등의 증상, 결합형 빌리루빈의 상승이 먼저 발현
  • 결석이 총담관을 밸브식으로 폐쇄하는 경우: 빌리루빈 상승(-). ALP 수치의 상승과 감소가 반복되는 양상


침윤 질환

  • 악성 종양의 간전이, 악성 림프종, 유육종증(sarcoidosis)
  • 특이한 증상이 없는 경우, 의심하기가 어려움 → 복부 초음파 시행, 필요시 간 조직 생검

ALP 상승 정도와 특정 질환과의 관련성은 없으나, 경한 ALP 상승시 여러 검사에도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ALP가 경미하게 증가하는 경우
  • 성장기/청소년기, 임산부(정상적으로 3배까지 증가가능): 
  • 일부 종양
  • 모든 종류의 간질환(간염이나 간경화증): 2~3배 정도의 상승가능

 

ALP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우
  • 크게 부분 담관폐색, 침윤 질환을 감별해야 함

담관폐색/담즙정체

침윤 간질환

  • 간내 담관의 협착이나 간내 담석
  • 한쪽 담관만 침범한 Klatskin 종양
  • 원발 담즙 경화증
  • 간외 담관 폐색 
  • 약물: 동화성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 에스트로겐, 정신병 치료제
  • 원발 또는 전이 간암
  • 결핵, 육아종 질환 

① 부분 담관 폐색, 침윤 질환에서 알칼리성 포스파타제가 현저히 상승하나 빌리루빈은 정상이거나 약간 상승한다

 

진단적 접근: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상승에 대한 접근

  • ALP가 의미있게 증가하면 우선 간에서 기인한 것인지 혹은 간외에서 기인한 것이지 감별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골 생성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 동종효소(isoenzyme) 검사를 하면 감별할 수 있으나 실용적이지 않아 실제 임상에서 잘 사용되지 않음
    • 간세포와 담관 상피세포에서 유래하는 효소인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GGT)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유용

 

이미지

ANA: anti-nuclear antibody; AMA: antimito-chondria antibody; SMA: anti-smooth muscle antibody


  • 철저한 병력 청취를 통하여 의심되는 모든 약제 중단
  • ALP 상승의 정도나 속도로 특정 질환을 유추하기는 어려우며, 동반된 증상이나 과거력, 동반 질환 등이 진단적 접근에 도움이 됨. 복부 초음파 검사로 담도의 확장이나, 간경변증을 포함한 만성 간질환, 간 종괴 등의 유무 확인

 

알칼리성 포스파타제가 단독으로 상승한 경우의 접근법

  • 우선 GGT를 검사하여 간에서 유래한 것이지 확인
    • GGT도 상승해 있는 경우 →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 촬영 시행(간외 담관폐색 및 간내 종괴 배제), AMA/ANA/SMA(→ 원발 담즙 경화증 배제)
    • GGT가 정상인 경우 → non-hepatobiliary 원인 평가
  • 담도확장이 규명된 경우 → ERCP, MRCP
  • AMA(+) → primary biliary cirrhosis/cholangitis 평가 
  • 침윤 질환이 의심되면 조직 검사 시행
  • 이상의 검사에서도 원인을 찾지 못한 경우
    • 평가결과 특이소견 없고 ALP > 2 x ULN → 간생검 고려
    • 평가결과 특이소견 없고, ALP 1-2 x ULN → 경과관찰 고려 

 

  • 생화학 검사에서 ALP가 상승되어 있을 때, 어느 장기에서 분비된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담즙 정체와 관련이 있는지, 즉 담관 세포에서 분비된 것인지를 감별)(2가지 방법)
    1. 혈청 GGT 농도
    2. ALP isoenzyme(전기영동법)

 

 

 

간기능검사: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 간세포, 담관 세포, 신장 세뇨관, 췌장, 장 등에 분포하는 효소
  • 혈중에서의 상승 기전은 ALP와 유사
  • 유용성
    • 간질환에서의 특이도↓, 민감도↑ → ALP 상승 감별에 유용한 표지자
    • 알코올 간질환 진단에 유용: 아미노 전이 효소 상승(AST/ALT > 2) + GGT 상승 
  • GGT는 간 외에도 신장, 비장, 심장, 폐, 뇌 등의 여러 기관에 분포하지만 혈청 GGT의 대부분은 간과 담관 상피세포에서 유래
  • GGT는 미세소체(microsome) 효소이기 때문에 알코올이나 warfarin, 항경련제(anticonvulsalnt) 등의 약물에 의해 유도됨
  • GGT는 ALP처럼 담즙정체 시 주로 증가하여 ALP 증가가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는데 유용

 

GGT가 상승하는 경우

GGT 상승의 흔한 원인

  • Hepatobiliary diseases
  • Pancreatic diseases
  • Alcohol consumption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 Renal failure
  • Diabetes mellitus
  • Myocardial infarction
  • Drugs (carbamazepine, phenytoin, barbiturate, warfarin)

 

  • 약물(warfarin, 항경련제, 경구 피임약), 간 질환 외(만성 폐쇄성 폐질환, 신부전, 심근 경색 후)
  • 원인에 관계 없이, 모든 간질환에서 GGT 상승가능
  • 알코올 간질환: ALP는 정상 혹은 경미한 상승. GGT는 정상 상한의 10배 이상 상승가능(GGT의 합성 유도가 활발해지는 반면 배출이 감소되기 때문)
  •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 알코올 남용자에게 특히 많이 증가
    • GGT/ALP 비가 2.5 이상이면 알코올 남용 시사
    • GGT 측정이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는 주장이 존재하지만 특이도가 낮아서 유용성은 의문 

알칼리인산분해효소

  • 담세관을 이루는 간세포막이나 그 주변부에 존재 

5'-뉴클레오티드분해효소

GGT

  • 간세포의 세포질세망(endoplasmic reticulum) 과 담관 상피세포에 존재
  • 간내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서 담즙정체에 대한 진단특이도↓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의 단독 상승의 접근

  • 해석시 주의점
    • 단독으로 상승해 있을 경우에는 병력 청취를 통해 약물복용과의 관련성 배제할 것
    • 체질량 지수에 따라 증가하고 BMI가 30 이상이면 50% 증가하므로 결과 해석 시 체질량 지수를 고려할 것

 

 

 

간기능검사: 간의 생합성능을 측정하는 검사

Serum albumin 

  • 반감기: 약 20일 
    1. 급성 간질환: 반감기가 너무 길기 때문에 급성 간기능 이상(acute hepatic dysfunction)의 지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
    2. 만성 간질환: 예후인자로써 유용 → severity와 prognosis의 지표
  • 감소 원인
    1. 간에서의 생산 저하: 간기능 부전이 있는 환자에서는 알부민 합성이 감소하여 저알부민혈증 초래
    2. 특이도는 떨어지기 때문에 간이 아닌 다른 질환에서도 알부민 감소 가능
      • 영양결핍
      • 장이나 신장으로 알부민이 소실되는 경우: Protein-losing enteropathy, 신증후군
  • 만성 간질환 시
    • 정상치 3.5~5.0 g/dL, 3 g/dL 이하이면 만성 간질환의 가능성 시사
    • albumin ↓ , α/β-globulin ↓ , γ-globulin ↑ (∵만성염증으로 인한 Ab 합성증가) → A/G ratio 감소

 

Serum globulin

  • α, β-globulin: hepatocyte에서 생성하며 만성 간질환시 수치 감소
  •  γ-globulin: B lymphocyte에서 생성하며 만성 간질환에서 증가한다. 간경변의 경우, 장내 세균에 대한 Ab의 합성이 증가하여 수치 상승
  • Isotypes와 연관된 간질환
    • IgG 증가: autoimmune hepatitis
    • IgM 증가: primary biliary cirrhosis, A형 간염
    • IgA 증가: alcoholic hepatitis

 

응고 인자(Coagulation factors)[→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 간세포는 응고인자, 항응고인자, 섬유소용해관련인자 합성의 주된 부위이다.
    • Fibrinogen(I), prothrombin(II), factor V, VII, IX, X, XI, XII 
    • Vitamin K 의존성 응고인자: II, VII, IX, X, protein C, S
    • 예외: vWF, tPA, thrombomodulin, TFPI 등 (endothelial cell에서 합성됨)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이란?

  • 혈액에 조직인자(tissue factor)와 인지질(phospholipid)을 첨가한 후 혈액 응고 시간, 즉 프로트롬빈이 트롬빈으로 전환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것
  • 혈액 응고 인자 I (fibrinogen), II, V, VII, X에 영향을 받는다. 이 중 II, VII, X의 합성에는 비타민 K가 필요함 
  • prothrombin time은 알부민과 달리 급성 간질환의 간합성능 평가에도 유용
    • factor VIII을 제외한 대부분의 응고인자들이 간에서만 생성됨
    • 혈액 응고 인자의 반감기는 알부민에 비해 훨씬 짧다.(예: factor VII 6시간 ~ fibrinogen 5일) → 간 손상의 early indicator
  • 간기능을 평가할 때에는 프로트롬빈 시간을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보다는 초나 %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


비정상적으로 PT가 연장되는 경우

  •  간질환: PT는 albumin과는 다르게 간 손상의 초기 지표로 유용
    • 비타민 K 결핍
    • 항응고제 치료(warfarin)
    • 파종성 혈관내 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 혈액 응고 인자의 선천성 결핍 등

PT 연장 소견은 급성 간질환에서 간 손상의 정도, 예후 평가에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 급성 간염을 치료할 때 AST, ALT가 떨어지는 것보다는 연장된 PT가 조금씩 정상화되는 소견이 환자의 순조로운 회복을 알리는 good sign입니다.

 

 비타민 K 결핍

  • 원인: 영양결핍, 흡수 장애, 항생제 치료 등에 의해 초래 가능
  • 비타민 K 결핍과 간질환에 의한 PT 연장의 감별
  • 비타민 K를 주사하거나 혈액 응고 인자 V를 측정하면 감별 가능

 

비타민 K결핍

간질환

비타민 K 주사 

주사 후 24시간 내에 PT가 적어도 30% 호전

 

혈액응고 인자 V 

정상

감소

 

Serum cholesterol

  • 만성적 간세포 장애: cholesterol 합성 장애, LCAT가 감소해 cholesterol 저하
  • 급성 간실질 병변: cholesterol ester 감소, TG 증가 


참고자료

[간기능의 평가: 개요]

  • Kwo PY, Cohen SM, Lim JK.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Am J Gastroenterol 2017;112(1):18–35.
  • 김도영. 간 기능 검사. 2014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 Kim SE. Optimal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Med 2019;94:89-95

 

[간기능검사: AST/ALT]

  • Kwo PY, Cohen SM, Lim JK.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Am J Gastroenterol 2017;112(1):18–35.
  • Burke MD. Liver function: test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Clin Lab Med 2002;22(2):377–90. 
  • Kim KA.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6(2):163–8. 
  • Kim YJ. Interpret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219–24. 
  •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position statement: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4–6. 
  • Green RM, Flamm S. AGA technical review on the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7–84. 
  • 김도영. 간 기능 검사. 2014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 Giannini EG, Testa R, Savarino V. Liver enzyme alteration: a guide for clinicians. CMAJ 2005;172(3):367–79.
  • Kim SE. Optimal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Med 2019;94:89-95

 

[간기능검사: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 Kwo PY, Cohen SM, Lim JK.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Am J Gastroenterol 2017;112(1):18–35.
  • Burke MD. Liver function: test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Clin Lab Med 2002;22(2):377–90. 
  • Kim KA.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6(2):163–8. 
  • Kim YJ. Interpret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219–24. 
  •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position statement: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4–6. 
  • Green RM, Flamm S. AGA technical review on the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7–84. 
  • 김도영. 간 기능 검사. 2014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 Kim SE. Optimal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Med 2019;94:89-95

 

[간기능검사: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 Kim SE. Optimal Evaluation of the Results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Med 2019;94:89-95
  • Kwo PY, Cohen SM, Lim JK.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Am J Gastroenterol 217;112(1):18–35.
  • Burke MD. Liver function: test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Clin Lab Med 2002;22(2):377–90. 
  • Kim KA.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6(2):163–8. 
  • Kim YJ. Interpretation of Liver Function Tests. Korean J Gastroenterol 2008;51:219–24. 
  •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medical position statement: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4–6. 
  • Green RM, Flamm S. AGA technical review on the evaluation of liver chemistry tests. Gastroenterology 2002;123(4):1367–84. 
  • 김도영. 간 기능 검사. 2014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