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이 협심증이란?
병태생리
Vasospasm이 주된 기전: Right coronary artery에서 호발
위험인자
임상양상
진단
Resting pain + transient ST-elevation
관상동맥조영술
치료: Nitrates + CCBs
변이 협심증이란?
- 1959년 Prinzmetal 등이 발견한 증후군으로 Prinzmetal’s variant angina로도 불림
- 변이협심증은 임상적으로 다음 두 가지로 의심
- 활동 시에는 증상이 없고 휴식 시에만 발생하는 심한 흉통
- 통증 발생 시 ST분절의 일시적인 상승
병태생리
Vasospasm이 주된 기전: Right coronary artery에서 호발
- Epicardial coronary artery의 focal spasm에 의한 severe myocardial ischemia
-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vasoconstrictor mitogens, leukotrienes, serotonin 등에 의한 smooth muscle의 hypercontractility와 관련
위험인자
- Smoking, Alcohol
임상양상
- 대부분의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허혈성 심질환을 앓는 환자들보다 젊고, 흡연 이외의 다른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는 편
- 안정 시, 한밤중/새벽/이른 아침에 흉통 발생(특히 술 마신 다음 날 새벽에 잘 발생): 운동과는 상관이 없는 경우가 많음
- 흉통 시 ST-elevation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일부에서는 ST-depression도 발생 가능)
진단
Resting pain + transient ST-elevation
- 증상이 주로 수면 중에 발생하므로 24시간 Holter monitoring이 유용
- Exercise stress EKG는 진단적 가치가 떨어짐(limited value)
(∵반응이 다양; 1/3 ST depression, 1/3 ST elevation, 1/3 변화 없음)
관상동맥조영술
- 확진방법
- 소견: 관상동맥의 일시적인 연축소견(coronary spasm)
- Focal spasm이 가장 흔한 부위: 우관상동맥(Rt. Coronary artery, RCA)
- 연축부위 1 cm 이내에 죽상판(plaque)이 있는 경우가 많음
- 혈관의 여러 부위 또는 여러 혈관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
- Provocation: 관상동맥 조영술을 하면서 진단을 위해 연축을 유발하는 방법으로는 다음 세 가지가 있음
- 에르고노빈(ergonovine)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과호흡(hyperventilation)
치료: Nitrates + CCBs
- 변이협심증의 치료약제 두 가지는 다음과 같음
- 질산염
- 칼슘채널저해제
참고자료
- 해리슨 20/e(2018). 268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