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
접종대상/시기
- 고위험 직업군에 속한 사람(수의사와 동물병원 근무자, 사냥터 관리인, 사냥꾼, 삼림감시원, 도축업 종사자, 동물탐험가, 박제사, 공수병 연구자와 동물실험실 근무자)
- 공수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는 포유류와 흔히 접촉 활동을 하는 사람
- 적절한 의료시설이 없고 공수병의 발생률이 높은 지역으로의 해외여행자
- 공수병이 의심되는 동물에 물리거나 심한 비교상(non-bite) 상처를 입은 사람
접종용량/방법
노출 전 예방조치 | 노출 후 예방조치 |
|
|
① 면역력이 있는 교상 환자: 과거 노출 전 예방요법을 받았고 정기적으로 추가 접종을 받아 중화항체가가 0.5 IU/mL 이상 유지될 경우와 과거에 교상 후 치료를 적절히 받고 5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만 해당
이상반응
- 국소반응: 주사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또는 가려움증(30-74%)
- 전신반응
- 두통, 구역, 복통, 근육통, 어지러움증(5-40%)
- 두드러기, 관절통, 발열(추가 접종의 약 6%)
금기사항
- 백신 성분에 심한 알레르기 반응
- 중등증 또는 중증 급성 질환
접촉자 관리: 노출 후 예방조치(Post-exposure Prophylaxis)
- 대상: 광견병이 의심되는 동물에 물리거나 심한 비교상(non-bite) 상처를 입은 사람
면역력이 없는 교상환자
- 해당하는 경우
- 사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 중 교상을 유발한 동물이 야생동물이거나 유기동물 등 관찰할 수 없는 경우 노출 후 치료(Post-Exposure Prophylaxis, PEP)를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단, 동물의 상태를 평가하기 어려운 경우 역학적, 임상적 필요에 따라 노출 후 치료 여부를 결정하여야 함
- 투여 방법
- 면역글로불린과 백신을 투여함
- 백신 접종 후 면역글로불린 투여 시 백신의 효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면역글로불린을 먼저 투여함
면역글로불린, 백신 투여 방법
구분 | 면역글로불린① | 백신 |
투여일 |
|
|
투여량 |
|
|
투여방법 |
|
|
① 피동면역형성을 위한 면역글로불린(Rabies Immuno Globulin, RIG)은 백신에 의해 항체가 형성될 때까지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해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들에게만 필수적
② 면역글로불린 투여가 지연된 경우, 초회 백신을 접종한지 일주일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교상을 당한 시점에 관계없이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고 일주일이 경과하였으면 투여해서는 안 됨(면역글로불린의 인체 내 반감기가 약 21일로 과량 투여 시 백신이 면역 반응에 간섭할 수 있음)
③ 국내 시판중인 면역글로불린인 KamRAB의 경우 300 IU가 포함된 체중 15 kg 소아용 포장 단위이므로 성인 교상환자에게 1vial만을 접종하지 않도록 주의
④ 심하게 오염된 상처나 교상부위가 다수일 때 면역글로불린을 교상부위에 주사하고 잔량을 대퇴, 둔부 등에 주사하며, 조직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백신 반대쪽 혹은 다른 부위에 나누어 근주할 수 있으며 부위는 둔부, 삼각근, 대퇴에 주사 가능
백신 접종 부위(청소년 및 성인)
교상 후 치료 순서도
면역력이 있는 교상환자
- 해당하는 경우
- 과거 예방접종을 받았고 정기적으로 추가접종을 받아 중화항체가가 0.5 IU/mL 이상 유지되고 있는 경우
- 과거 교상 후 치료를 적절히 받고 5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 이외의 경우에는 면역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1) 면역력이 없는 교상환자’에 준하여 치료함
- 투여 방법
구분 | 면역글로불린 | 백신 |
투여일 |
|
|
투여량 |
| |
투여 방법 |
|
비(非)교상 접촉자에 대한 치료 원칙
- 국내에서는 비교상에 의한 공수병 발생 사례가 확인된 바 없으나, 비교상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WHO에서는 비교상 접촉자에 대해 치료를 권고하고 있음
노출 등급 | 노출 상황 | 노출 후 치료 방법 |
I |
|
|
II |
|
|
III |
|
|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
- 질병관리본부. 2018년도 공수병 관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