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
접종대상/시기
모든 신생아 및 영유아, 과거 B형간염의 감염 증거와 백신 접종력이 없는 소아청소년 및 성인
- 모든 신생아
- 산모가 HBsAg 양성인 경우: 출생 직후(12시간 이내)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HBIG, 0.5 mL)과 함께 부위를 달리하여 B형간염 백신을 접종. 2, 3차 백신은 생후 1, 6개월에 접종
- 산모가 HBsAg 음성인 경우: 출생 24시간 이내에 1차 접종. 2, 3차 백신은 생후 1, 6개월에 접종
- 산모의 HBsAg 상태를 알지 못하는 경우: 출생 직후(12시간 이내) 백신을 접종. 산모가 HBsAg 양성으로 판명되면 HBIG을 가능한 빨리(늦어도 7일 이내) 주사. 2, 3차 백신은 생후 1, 6개월에 접종
- 그 외의 연령
- 0, 1, 6개월 일정으로 3회 접종
접종용량
- 10세 이하: 0.5 mL (HBsAg 10 μg) 근육주사
- 11세 이상: 1.0 mL (HBsAg 20 μg) 근육주사
접종방법
- 영유아는 대퇴부 전외측, 소아나 성인은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
- 엉덩이 근육은 백신 효과가 떨어지므로 접종 부위로 사용하지 말아야 함
이상반응
- 국소반응: 접종부위의 통증, 종창, 경결
- 전신반응: 발열, 권태, 구토, 관절통, 피부발진
금기사항
- 이전 접종에서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였을 때
접촉자 관리
주산기 감염 이외의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의 예방
- HBV가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체액에 경피(주사바늘에 찔린 것, 열상, 물림) 또는 점막을 통한 노출이 있는 경우
→ 감염원의 HBsAg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염원의 혈액을 채취해야 함
→ 감염원의 HBsAg 상태와 노출된 사람의 백신 접종력, 표면항체(anti-HBs)의 상태에 따라 면역글로불린 및 예방접종 실시
B형간염 바이러스의 경피 또는 점막 노출 후의 권장 예방조치법
노출된 사람의 상태① | 감염원의 상태 | |||
HBsAg(+) | HBsAg(-) | HBsAg 미상 | ||
백신 미접종자 | HBIG② 1회 + 백신접종 3회 | 백신접종 3회 | 백신접종 3회 | |
백신 과거 접종자 | 항체형성③ | 조치 필요 없음 | 조치 필요 없음 | 조치 필요 없음 |
항체미형성④ | HBIG 1회 + 백신접종 3회 혹은 HBIG 2회(1달 간격)⑤ | 조치 필요 없음 | 고위험군(HBsAg 양성일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되면 HBsAg 양성인 경우에 준해 처치 | |
항체형성 미상 | anti-HBs 실시하여 결과에 따름
| 조치 필요 없음 | anti-HBs 실시하여 결과에 따름
|
① 과거에 HBV 감염이 이미 있었던 경우는 재감염에 대한 면역이 존재하기에 노출 후 예방조치가 필요 없음
② HBIG와 백신의 동시접종 시 서로 다른 부위에 접종, HBIG 0.06 mL/kg 근육주사(노출 후 가능한 빨리, 최대 7일 이내)
③ 백신 접종 후 anti-HBs ≥10 mlU/mL로 확인된 경우
④ 백신 접종 후 anti-HBs <10 mlU/mL로 확인된 경우
⑤ 과거에 첫 백신 3회 접종으로 anti-HBs <10 mlU/mL로 확인된 후 2번째 3회 백신 접종을 미완료한 경우는 ‘HBIG 1회와 백신 접종 3회’를 시행하고, 2번째 3회 백신 접종을 2차례(총 6회) 실시했는데도 anti-HBs <10 mlU/mL로 확인된 경우는 ‘HBIG 2회’로 시행함
⑥ 만약 anti-HBs <10 mlU/mL인 경우는 백신을 2회 더 접종하여 총 3회 접종을 완료해야 함
※ 주의: 시험 기기별로 판독 기준(10 mlU/mL)가 다를 수 있어 판독 주의
주산기 감염의 예방
- HBsAg 양성 산모로부터 출생된 신생아에게서의 B형간염 주산기 감염 예방 효과
- B형간염 백신과 HBIG을 출생 후 24시간 이내 투여 → 예방 효과 85-95%
- HBIG 없이 B형간염 백신만을 출생 후 24시간 이내 투여 → 예방 효과 70-95%
출생 시의 HBIG 투여는 생후 2개월에 접종받는 다른 백신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습니다.
신생아 상태 | 만삭아 | 미숙아 | ||
산모상태 | HBsAg(+) | HBsAg 상태 미상 | HBsAg(+) | HBsAg 상태 미상 |
노출 후 예방 원칙 |
|
|
|
|
HBIG |
|
|
|
|
B형간염 백신 | 3회 근육주사
|
|
|
|
① 2 kg 미만의 미숙아는 B형간염 백신의 면역반응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HBIG 투여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