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
참조 “홍역"
접촉자 관리
풍진 접촉자 관리 대상 및 방법
접촉자 관리 대상 | 접촉자 관리 방법 |
|
|
|
|
|
|
임신부가 풍진에 노출된 경우
- 풍진에 대한 면역 상태가 불확실한 상태에서 임신 초기에 풍진에 노출된 경우 즉시 풍진 항체검사(IgG와 IgM) 실시
- 추후 항체가 비교를 위해 가능하면 혈액을 따로 보관
- 풍진 특이 IgG만 양성이면 임신을 계속 지속
- 풍진 특이 IgM과 IgG가 모두 음성이면 2-3주 후에 2번째 검사를 실시하며, 2번째 검사에서도 음성으로 판정되면 노출 후 6주에 3번째 검사를 실시
- 두 번째, 세 번째 검사 시 보관된 첫 번째 검체와 동시에 검사
- 두 번째와 세 번째 검사가 모두 음성인 경우에는 감염을 배제
- 임신부가 임상적으로 증상을 나타내거나 풍진 특이 IgM 항체가 양성이거나, IgG가 첫 번째 검사에서 음성이었으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검사에서 양성으로 판정되면 임신부가 최근에 감염되었음을 시사
- 감염 시기에 따른 태아 감염 및 기형이 동반될 위험성을 설명하고 임신 중절 등 치료에 대한 상담
- 임신 중절이 어려운 경우 노출된 지 72시간 이내이면 근육용 면역글로불린(0.55 mL/kg) 투여를 고려할 수 있으나 효과는 불확실하며, 면역글로불린 투여로 풍진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데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투여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
임신부 풍진 노출 후 관리방법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