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
접종대상/접종시기
-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단백결합 백신>
- 생후 2-59개월의 소아: 10가, 13가
- 생후 2, 4, 6개월에 3회 접종하며, 생후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
- 이전 접종력이 없는 5세 이상 고위험군의 13가 백신 접종
19세 미만 소아청소년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위험군 | 질 환 |
정상면역 소아청소년 |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청소년 |
|
면역저하 소아청소년 |
|
① 특히 선천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
②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로 복용하는 천식환자도 포함함
③ B세포(체액면역) 또는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 질환은 제외)
- 만성질환, 인공와우 이식, 뇌척수액 누출, 무비증 및 면역저하 상태의 생후 60-71개월 소아
- 인공와우 이식, 뇌척수액 누출, 무비증 및 면역저하 상태의 6-18세 소아청소년
<다당 백신>
- 2세 이상 고위험군
- 19-64세 성인
- 정상면역 상태인 만성질환자: 다당 백신 접종
-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
- 이전 접종력이 없는 경우: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먼저 접종하고, 최소 8주가 지난 후에 다당 백신을 접종
- 다당 백신 접종력이 있는 경우: 마지막 다당 백신 접종 후 최소 1년이 지난 후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
- 면역저하자와 무비증 환자는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 후 최소 8주 이상 경과하였고, 이전 다당 백신 접종 후 5년 이상 경과한 시점에 다당 백신을 1회 재접종
19-64세 성인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
위험군 | 질 환 |
정상면역 성인 |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을 가진 자③ |
|
면역저하자 |
|
① 심부전, 심근증 포함
②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및 천식 포함
③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나 면역저하자는 1차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2차 다당 백신 접종이 권장됨
④ B세포(체액면역) 또는 T세포 결핍증, 보체결핍증(특히, C1, C2, C3 및 C4 결핍증), 탐식구 질환(만성 육아종 질환은 제외)
- 65세 이상 노인
- 이전 접종력이 없는 정상면역 상태: 다당 백신 1회 접종만으로 완료
- 이전 접종력이 없는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 후 8주가 지난 후 다당 백신 1회 접종
- 이전 접종력이 있는 경우: 본문을 참조하여 접종
- 다당 백신의 재접종: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첫 번째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 경과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단, 65세 이후에 첫 번째 접종한 경우 더 이상 접종권고 안 함)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 면역기능이 저하된 질환을 가진 소아청소년과 성인
- 65세 미만에서 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이 되었을 경우
- 국가예방접종사업의 범위
- 5세 미만 소아의 10가,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
- 5-12세 고위험군 소아청소년의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
- 2-12세 고위험군 소아청소년의 다당 백신 접종
- 65세 이상 노인의 다당 백신 접종
접종용량/방법
- 단백결합 백신: 0.5 mL 근육주사
- 다당 백신: 0.5 mL 피하 또는 근육주사
이상반응
- 국소반응: 접종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 전신반응: 발열
금기/주의사항
- 백신에 대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
- 중등도 이상의 급성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접촉자 관리
집단발생이 의심되는 경우 추가환자 발생 감시
- 보육시설, 의료기관 등 집단시설에서 유행이 가능
- 사례별 해당 시점까지 추가환자 발생 감시
- 개별사례: 마지막 노출 후 최대 잠복기까지
- 유행사례: 최종 확진 환자 보고일로부터 6주간 유지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