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
접종대상
- 생후 2개월부터 5세 미만의 모든 소아
- 5세 이상으로서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겸상적혈구증, 비장 절제술 후), HIV 감염(성인 제외), 조혈모세포이식 등
접종시기
- 정기접종: 생후 2, 4, 6개월에 접종하며, 생후 12-15개월에 추가접종(생후 6주 전에는 접종하지 않음)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종류에 따른 권장 접종일정
Vaccine 종류 | 기초접종 | 추가접종 | ||
2개월 | 4개월 | 6개월 | 12-15개월 | |
PRP-T 또는 HbOC | 1차 | 2차 | 3차 | 4차 |
DTaP-IPV/Hib | 1차 | 2차 | 3차 | 4차(Hib 단독백신 사용) |
- 따라잡기 접종
- 7개월 이후에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 연령에 따라 1-3회 접종
백신의 종류 | 초회 접종 연령(개월) | 기초 접종 횟수 및 간격 | 추가 접종 시기 |
PRP-T 또는 HbOC | 2-6 | 3회, 2개월 간격 | 12-15개월① |
7-11 | 2회, 2개월 간격 | 12-15개월① | |
12-14 | 1회 | 2개월 후 | |
15-59 | 1회 | - |
① 이전 접종 후 최소한 2개월 후
- 고위험군①
- 12개월 미만: 정기접종에 준함
- 12-59개월의 고위험군 중 12개월 미만에 1회 이하 접종 받은 경우에는 8주 간격으로 2회, 12개월 미만에 2회 이상 접종받은 경우는 1회 접종
- 60개월 미만 소아 중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 중에 또는 치료 14일 이내에 접종받은 경우: 치료 종료 최소 3개월 후에 재접종
- 조혈모세포이식 후에는 과거 접종력과 관계없이 6-12개월 후부터 4주 이상 간격으로 3회 접종
- 비장적출술이 계획된 15개월 이상 소아 및 성인으로서 접종력이 없는 경우, 최소한 수술 14일 전에 1회 접종
-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겸상적혈구 빈혈 포함)을 가진 5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 5-18세의 HIV 감염아로서 접종력이 없으면 1회 접종
① 고위험군: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겸상적혈구증, 비장 절제술 후), 면역결핍질환(특히 IgG2 아형 결핍증), 초기 요소 보체결핍증, 항암치료 또는 방사선요법에 따른 면역저하, HIV 감염
접종용량/방법
- 0.5 mL 근육주사
이상반응
- 5-30%에서 주사부위에 국소적인 종창 및 발적, 통증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12-24시간 내에 소실됨
- 발열과 보챔 등의 전신증상은 흔하지 않고 심각한 이상반응은 아직 보고된 바 없음
금기사항
- 백신 접종의 일반적인 금기사항에 따름
- 생후 6주 미만의 영아나 이전 백신 접종 시에 아나필락시스를 보인 경우는 금기
접촉자 관리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접촉자 관리 대상 및 방법
접촉자 관리 대상 | 접촉자 관리 방법 |
다음 상황에서의 모든 가족 내 접촉자①
|
|
① 환자와 같이 거주하거나, 같이 거주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자가 입원하기 전날까지 1주간의 7일 중 5일 이상 환자와 4시간 이상 같이 지낸 경우로 정의함
② 완전 접종은 15개월 이후에 적어도 1회 이상의 백신을 접종 받은 경우, 12-14개월에 2회의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 12개월 이전에 백신 종류에 따라 2회 또는 3회의 기초 접종을 받고 12개월 이후에 1회의 추가접종을 받은 경우
참고자료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