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방접종
참조 "디프테리아"
환자관리/접촉자 관리
원칙
- 표준주의 지침에 따라 환자 관리(격리 필요 없음)
- (상처 치료 시 파상풍 예방) 백신 접종, 면역글로불린 투여: 예방접종 여부와 상처 오염정도에 따라 결정
- 외상을 입은 환자의 능동면역 여부를 알아보아야 하며 파상풍 항독소를 예방목적으로 사용
- 개방성, 삼출성 병소가 없는 경우에는 격리시킬 필요가 없으나 개방성 병소가 있는 환자는 격리 수용
- 병소 분비물 속에는 아포를 가진 파상풍균이 많이 있으므로 오염된 모든 물건은 즉시 고압멸균 실시. 접촉자에 대한 격리 불필요
상처의 처치
- 예방접종 완료 여부와 상처의 오염정도에 따라 처치방법 결정
- 예방접종이 완료된 경우에는 최종 접종시기에 따라 Td 접종만 필요
- 예방접종이 안 되었거나 불완전한 경우에는 Td와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음
상처 치료 시 파상풍 예방처치
과거 파상풍 접종횟수 | 깨끗하고 작은 상처 | 기타 다른 상처① | ||
TT 또는 Td② | TIG③ | TT 또는 Td② | TIG③ | |
미상 또는 3회 미만 | 접종 필요 | 접종 불필요 | 접종 필요 | 접종 필요 |
3회 이상 | 접종 불필요④ | 접종 불필요 | 접종 불필요⑤ | 접종 불필요 |
- TT: 파상풍 단독 백신, Td: 성인형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신, TIG: 파상풍 인간면역글로불린
① 토양, 분변, 오물, 타액 등에 오염된 상처 및 천자, 화상, 동상, 총상 등에 의한 상처가 포함
② 7세 이상의 경우에는 TT 또는 Td(파상풍 단독 백신보다는 Td를 우선적으로 사용. 단, Tdap을 맞지 않은 청소년과 성인의 경우 Td 보다 Tdap을 추천)를, 6세까지의 소아는 DTaP를 접종
③ TIG가 없을 경우에는 TAT (tetanus anti-toxin) 사용가능
④ 마지막 접종을 한 후 10년 이상이 경과하였으면 Td를 1회 접종
⑤ 마지막 접종을 한 후 5년 이상이 경과하였으면 Td를 1회 접종, 단 필요한 추가접종은 이상반응 발생률을 높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