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감염: Overview
- 사람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
병원체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에 속하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 니도바이러스목(nidovirus family) >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 >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 >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CoV)
※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코로나바이러스 속(genus)
- 서열분석 및 항원성 연구에 따라 초기에는 세 군으로 나뉘다가, 현재는 4개 속으로 분류
- 알파코로나바이러스
- 베타코로나바이러스(SARS-CoV, MERS-CoV 포함)
- 감마코로나바이러스
- 델타코로나바이러스
이 중 알파 및 베타 코로나바이러스군에 사람을 감염시키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HCoV)들이 속해 있습니다.
속(genus) | 사람-코로나바이러스(HCoV) | 사람 이외에 감염하는 코로나바이러스 |
알파-코로나바이러스(alphacoronavirus) | HCoV-229E, HCoV-NL63 |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 개 코로나바이러스(Canine coronavirus, CCoV),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eline coronavirus, FCoV), Miniopterus bat(박쥐) coronavirus 1, Miniopterus bat(박쥐) coronavirus HKU8, Rhinolophus bat(박쥐) coronavirus HKU2, Scotophilus bat(박쥐) coronavirus 512 |
베타-코로나바이러스(betacoronavirus) | HCoV-HKU1, SARS-CoV, MERS-CoV | 돼지 혈구 응집성뇌척수염 바이러스(Porcine hemagglutinating encephalomyelitis virus, PHEV), 우 코로나바이러스(Bovine coronavirus, BCoV), 말 코로나바이러스(Equine coronavirus, EqCoV), 쥐 코로나바이러스(Murine coronavirus, MuCoV), Tylonycteris bat(박쥐) coronavirus HKU4, Pipistrellus bat(박쥐) coronavirus HKU5, Rousettus bat(박쥐) coronavirus HKU9 |
감마-코로나바이러스(gammacoronavirus) | 없음 | 새 코로나바이러스(Avian coronavirus), 흰색 돌고래(Beluga whale)-코로나바이러스 SW1 |
델타-코로나바이러스(deltacoronavirus) | 없음 | 제주직박구리(Bulbul)-코로나바이러스 HKU11, 개똥지빠귀(Thrush)-코로나바이러스 HKU12, 킨바라(Munia)-코로나바이러스 HKU13 |
주로 호흡기 감염을 유발하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까지 229E, NL63, OC43, HKU1, SARS-CoV, MERS-CoV, 2019-nCoV 이렇게 7종이 인체에서 병원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229E, NL63, OC43, HKU1는 상기도 감염의 10–30% 정도를 차지하며 치명률이 거의 없는 병독성이 약한 바이러스입니다.
지역사회 감염 호흡기 사람 코로나바이러스(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HCoV, CAR HCoV) | vs. | 위험성이 높은 바이러스 |
|
|
|
- CAR CoV 감염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발생하고 있으며, 온도 및 기후 측면에서 종종 여름, 가을보다 겨울, 봄에 빈번하게 발생
- 모든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일차적으로 호흡기 감염균으로 전 세계적으로 풍토병성(endemic, 사람에서 존재하나 사망률이 낮고 임상적으로 드문 질환)이며 성인의 상기도 감염의 10-30%의 원인을 차지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예. SARS-CoV, MERS-CoV)의 경우, 동물-사람 종 간 감염을 일으키면서 인간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신종 병원균의 출현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다른 RNA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증식 과정에서 돌연변이 및 빈번한 유전자 재조합 현상이 일어나며, 특히 결손 돌연변이가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구조
- 대략적인 크기는 27–34 kilobases로 현존하는 RNA 바이러스 중에서는 제일 큰 것으로 알려져 있음
외피(구조단백질): 5개 | + | RNA |
|
|
|
- 구조단백질
- spike glycoprotein (S protein)
- 숙주 세포 수용체와 결합 시 필수적으로 작용하며, 감염시키는 숙주의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
- 전자현미경상에서 마치 왕관(crown)이나 후광(halo)이 있는 것처럼 관찰됨
- =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는 라틴어 ‘corona’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 hemagglutinin-esterase (HE) glycoprotein
- 바이러스 입자의 세포 표면의 부착 및 유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nucleocapsid protein
- 바이러스 RNA 유전체에 결합하여 바이러스 입자 조립, 외피 형성, RNA 합성 과정에서 유전체를 안정화하고 포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 바이러스 RNA 유전체에 결합하여 바이러스 입자 조립, 외피 형성, RNA 합성 과정에서 유전체를 안정화하고 포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 수행
- spike glycoprotein (S protein)
- RNA
- 유전체로서 약 30 kb 길이의 단일 가닥 RNA를 가짐
- 바이러스 유전체인 RNA 자체가 전사체로 작용하는 양성 가닥(positive-strand) RNA 유전자에 해당
- 유전자는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 N) 단백질, 매트릭스(matrix, M) 단백질, 작은 외피(small envelope, E) 단백질, 표면 돌기(spike, S) 당단백질 등의 구조 단백질을 암호화함
코로나바이러스 생활사
코로나바이러스의 생활사
- 표면 돌기(S) 단백질의 S1 도메인을 통해 숙주세포의 수용체 상호작용
- S2 도메인을 통해 막이 융합하면서 세포 내 침투
- 탈피(uncoating)가 일어나서 바이러스 RNA 유전체의 복제가 일어나는 장소인 세포질로 방출
-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유전체의 번역 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숙주로부터 이용)
- 바이러스 복제 복합체(viral replication complex) 형성 → 전장 서열의 음성 가닥(negative strand) RNA 합성
- 합성된 음성 가닥은 양성 가닥 mRNA를 합성하기 위한 주형으로 작용
- 세포질에서 Nucleocapsid (N) 단백질과 유전체 RNA가 합체되어 나선형의 Nucleocapsid 형성
- ER과 Golgi를 거치면서 막(M), 외피(E), 표면돌기(S) 단백질 등과 합체한 후, 출아(budding)를 위해 세포내에서 이동
- 바이러스입자(virion)를 함유하는 소포(vesicle)가 세포막에 융합 → 엑소시토시스(exocytosis)를 통한 숙주 세포로부터의 유리(release)
발생현황
- 사람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일반 감기 10-15%의 원인균
- 계절성을 보여 겨울철에 가장 많이 발생
임상양상
- 잠복기: 2-4일
- 증상
- 호흡기, 위장관, 신경학적 증상을 보일 수 있음. 호흡기 감염에서 50%는 무증상 감염
- 국내자료에서 발열은 비교적 적고, 기침, 콧물, 코막힘이 상대적으로 흔한 증상. 그 외 근육통, 두통, 인후통, 가래 등도 동반
- 기타: 소화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주요 증상 | ||
상부 호흡기 감염증 증상 | ± | 하부 호흡기 감염증 증상 |
|
|
|
진단
진단을 위한 기준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경우 | |||
임상증상 | + | 진단검사 | |
|
|
|
치료
치료방법
- 대증 치료: 해열제 등 대증 치료
-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 없음
관리
- 환자 관리
- 표준주의 및 기본적 개인 위생 수칙 준수
- 증상이 있는 동안 가급적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하도록 권고
- 접촉자 관리
- 증상 여부 관찰
- 감염증상 발생 여부 관찰: 마지막 노출 후 4일간 관찰
- 주로 발열, 콧물, 인후통, 기침, 코막힘 등의 급성 호흡기 증상(이외 위장관, 신경학적 증상도 가능함)
- 예방 목적의 약물 투여(예방화학치료): 일반적으로 권장하지 않음
- 증상 여부 관찰
COVID-19 감염: 개요
정의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명칭
- 초기
- 우한 코로나바이러스(Wuhan coronavirus): 2019년 12월 중국에서 첫 환자에게 감염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처음에는 유행이 시작된 지역인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시(Wuhan) 이름을 따서 불림
- 현재
학술적 명칭 | 질환명 |
▼ | ▼ |
ICTV에서 명명 | WHO①에서 명명 |
2019-nCoV (2019 novel coronavirus) → SARS CoV-2 | Coronavirus disease-2019(약어 COVID-19) |
ICTV: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국제바이러스 분류위원회)
① WHO는 2015년 보고서를 통해서 질환과 바이러스명을 지을 때에는 국가, 경제, 사람, 동물 등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명칭은 지양하는 것으로 결정한 바 있음
COVID-19 | ||||||
‘CO’ | + | ‘VI' | + | ’D’ | + | ‘19’ |
코로나 |
| 바이러스 |
| 질병 |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처음 보고된 2019년 |
- 국내
- 초기: 공문에서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우한폐렴이라는 명칭 사용
- 현재: 코로나 19라는 명칭으로 통일해서 사용
병원체
-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 (SARS-CoV-2)
- Coronaviridae family, Betacoronavirus genus Sarbecovirus subgenus에 속함
- 전도 기능 단일 가닥(Positive-sense single-stranded) 외피 RNA 바이러스
- 30 kb, enveloped, non-segmented, (+)ss RNA
- 바이러스 입자는 1개에 직경이 대략 0.05-0.2 μm임
인간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7번째 코로나바이러스로, 사스(SARS-CoV)나 메르스(MERS–CoV)와는 다른 바이러스로 밝혀졌습니다.
COVID-19 감염: 진단
임상양상
잠복기 |
최대 잠복기는 연구마다 다양하나 최대 14일(2주)까지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접촉자들의 격리해제 기간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균배출기간을 고려해볼 때는 격리기간을 현행 2주에서 3주 정도로 연장하는 것도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습니다. |
▼ |
|
증상 발현 |
진단 초기에 증상이 경증이라 하더라도 경과에 따라 중증 폐렴, ARDS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증상 악화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치명률 |
|
진단
- Non-specific symptoms and radiological findings
- 상기도나 하기도에서 채취된 검체에서 RT-PCR 방법을 사용하여 SARS-CoV-2의 특정 유전자를 검출하여 진단
유전자 검사
-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법(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RTPCR)
검체 채집 |
하기도 검체 채취에서는 일부러 가래를 유도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유도 객담채취를 시행하게 되면 에어로졸이 발생되어 에어로졸 전파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 |
|
rRTPCR |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특이 유전자는 N, E, S, RdRp, Orf1a, Orf1ab 등으로 다양합니다. 이 가운데 어떤 유전자를 검출해낼 것인지는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은 가장 변이를 덜 일으킬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를 최소 2개 이상 검사해서 둘 다 '양성' 반응이 나타나는지를 보고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별하고 있습니다.
검사실 검사
- 질환 특이적이지는 않지만, 몇 가지 특징 존재
- 백혈구: 정상 혹은 감소. 백혈구 감별계산상 림프구의 분율이 감소한 소견이 비교적 빈번
- 급성반응기 염증물질: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 증가
영상 검사
환자의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폐침윤이 심하다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 주요 소견
- Compatible with atypical pneumonia (Unilateral < Bilateral)
- ground glass opacity (GGO), 양측 폐침윤(Bilateral patchy shadowing)
- Mainly in the lower lobes, less frequently within the right middle lobe
COVID-19 환자의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임상의들이 해석에서 주의해야 할 점
- 환자의 임상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폐침윤이 생각보다 급격히 진행된 경우가 많음
가능성: 바이러스의 폐섬모와의 높은 친화도 - COVID-19 환자의 경우 초기에 Chest X-ray상에서는 정상이나 Chest CT에서 이상소견이 확인되는 경우가 종종 있음
COVID-19가 의심되거나 확진된 경우는 증상의 경증과 관계없이 영상검사의 시행이 요구되며, 비록 X-ray에서 정상소견이라하더라도 이를 간과하지 말고 임상의의 판단에 따라 CT 검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증도 분류
- 환자의 중증도 분류는 측정 가능한 방법에 따라 현자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 가능
대한의사협회 환자 중증도 분류 기준
- 장기요양시설, 장애인 시설의 입소한 경우는 한 단계 상승
- 각 단계에서 기준 증상이 해결되고 48시간 지나면 한 단계 아래로 전원가능
구분 | 분류기준 |
무증상 | 아래조건 모두 충족 ① 의식명료 ② 50세 미만 ③ 기저질환 없음 ④ 해열제 복용없이 37.5도 미만 ⑤ 비흡연자 |
경증 | 의싱명료하며 아래조건 하나이상 충족 ① 50세 미만 ② 기저질환 없음 ③ 해열제 복용하여 38도 이하 ④ 호흡곤란을 제외한 1개 이상 증상* ⑤ 흡연자 |
중증 | 의식명료하며 아래조건 하나이상 충족 ① 해열제 복용해도 38도 초과 ② 호흡곤란 또는 영상소견상 폐렴 |
위중 | ① 의식이 떨어진 경우 ② 중증의 호흡곤란 ③ 산소포화도 90% 이하 ④ 영상소견에서 중증도의 양측성 폐렴 또는 50% 이상 폐렴 |
증상: 두통, 기침, 인후통, 가래, 피로감, 근육통, 호흡곤란
※ 출처: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본부 전문위원회(2020.3.5.)
대한의사협회에서는 무증상의 기준을 의식이 명료하고, 50세 미만이며, 기저질환이 없으며, 열도 없고, 흡연을 하지 않을 때 무증상 환자로 보고 있으며, 이중 하나라도 벗어나면 경증이나, 해열제를 복용하여도 38도를 초과하고 호흡곤란 또는 영상소견상 폐렴의 소견이 있을 경우 중증으로 간주합니다.
중증도 분류 체계 및 정의(NIH 중증도 분류 체계 참조)
중증도 분류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미국) |
(1) 무증상 | 코로나19 검사에 대해 양성 반응은 보이지만 일치하는 증상이 없음 |
(2) 경증(Mild) | 코로나19의 다양한 징후와 증상을 가지고 있지만 호흡곤란, 기타 흉부촬영 검사상 이상 소견 없음 |
(3) 중등도(Moderate) | 임상적인 평가 또는 영상검사에서 호흡기질환 소견이면서 산호포화도 94% 이상 |
(4) 중증(Severe) | 산소포화도 94% 미만, (PaO2 /FiO2) <300 mmHg, 호흡빈도 분당 30회 초과 또는 폐실질 침투 50% 초과 |
(5) 심각(Critical) | 호흡부전, 패혈성 쇼크 그리고/또는 다발성 기관 장애 |
수정된 조기경고지수(Modified Early Warning Score, MEWS)
- 중증환자용 COVID-19 환자를 분류하는 점수체계
변수 | 3 | 2 | 1 | 0 | 1 | 2 | 3 |
맥박(회/분) |
| ≤40 | 41-50 | 51-100 | 101-110 | 111-130 | ≥131 |
수축기 혈압(mmHg) | ≤70 | 71-80 | 81-100 | 101-199 |
| ≥200 |
|
호흡수(회/분) |
| ≤8 |
| 9-14 | 15-20 | 21-29 | ≥30 |
체온(℃) |
| ≤35.0 | 35.1-36.0 | 36.1-37.4 | ≥37.5 |
|
|
의식수준 |
|
|
| 정상 | 목소리 반응 | 통증 반응 | 무반응 |
※ 조기경고점수(early warning score) 환자가 급격한 위급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
- 중증도 분류에 대한 조치사항
점수 | 위험 정도 | 모니터링 빈도 | 조치 |
0-4 | 경증(저위험군) | 6-12시간 |
|
5-6 | 중등증(중등도위험군) | 1-2시간 |
|
7 이상 | 중증(고위험군) | 지속 |
|
7 이상 | 최중증(고위험군) | 지속 |
|
영국 조기경고점수(National Early Warning Score, NEWS)
변수 | 3 | 2 | 1 | 0 | 1 | 2 | 3 |
산소포화도 | ≤91 | 92-93 | 94-95 | ≥96 |
|
|
|
산소투여여부 | 예 | 예 | 아니오 | 아니오 |
|
|
|
맥박 | ≤40 |
| 41-50 | 51-90 | 91-110 | 111-130 | ≥131 |
수축기혈압 | ≤90 | 91-100 | 101-110 | 111-219 |
|
| ≥220 |
호흡수 | ≤8 |
| 9-11 | 12-20 |
| 21-24 | ≥25 |
체온 | ≤35.0 |
| 35.1-36.0 | 36.1-38.0 | 38.1-39.0 | ≥39.1 |
|
의식수준 |
|
|
| 정상 |
|
| 이상 |
5점 이상 중등도, 7점 이상 중증
세계보건기구
구분 | 분류기준 | |
경증 |
| |
중등증 | 폐렴 | 청소년 또는 어른: 폐렴 소견(발열, 기침, 호흡곤란, 빠른 호흡)은 있으나 중증폐렴 증후는 없고 실내 공기로 산소포화도 90% 이상 소아: 비 중증 폐렴 소견(기침 또는 호흡곤란과 빠른 호흡과/또는 흉부함입)과 중증폐렴 증후는 없음
|
중증 | 중증 폐렴 | 청소년 또는 어른: 폐렴 소견(발열, 기침, 호흡곤란, 빠른 호흡)은 있으며 중증폐렴 증후가 있고 실내 공기로 산소포화도 90% 미만 소아: 폐렴 소견(기침 또는 호흡곤란)과 빠른 호흡이 있음
|
위중 |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 발생: 호흡기 증상(예. 폐렴), 새로 발생 또는 악화가 1주일내 발생 흉부 영상(방사선, CT 또는 폐초음파): 체액 과부하로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양측 폐침윤, 폐엽 또는 폐 허탈, 또는 결절 폐 침윤: 호흡 부전이 심부전 또는 체액 과부하로 완전히 설명되지 않음 만약 위험요인이 존재하지 않다면 침윤/부종의 정수압 원인을 배제하기 위해 객관적 평가(예. 심초음파) 필요 어른에서 산소화 장애:
소아에서 산소화 장애: OI and OSI 참고 가능하다면 OI로 사용. 만약 PaO2 이용 못하면, OSI or SpO2/FiO2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SpO2 ≤ 97%으로 유지하도록 FiO2 조정
|
패혈증 | 어른: 급성 생명 위험 장기 기능부전이 의심 또는 확인된 감염의 조절되지 않는 반응으로 발생. 장기부전의 징후: 정신상태 변화, 힘들거나 빠른 호흡수, 낮은 산소포화도, 소변배출량 감소, 빠른 심박동, 약한 맥박, 차가운 사지 또는 저혈압, 얼룩덜룩한 피부, 응고장애의 실험실 증거, 혈소판 감소증, 산증, 높은 젖산 또는 고빌리루빈혈증 소아: 비정상 체온 또는 백혈구 수가 있는 의심 또는 확인된 염증과 2세 이상 근거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 기준 | |
패혈증 쇼크 | 어른: 용적 소생술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저혈압, 평균동맥압 ≥ 65 mmHg 와 혈청 젖산 수치 > 2 mmol/L. 유지하기 위해 혈관 수축제 필요 소아: 저혈압(연령 정상치의 SBP < 5th centile or > 2 SD) 또는 2가지 내지 3가지 증후: 정신상태 변화: 빈맥 또는 서맥(영아에서 심박동수 < 90 bpm 또는 > 160 bpm/소아에서 심박동수 < 70 bpm 또는 > 150 bpm); 연장된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2초) 또는 약한 맥박; 빠른 호흡; 얼룩덜룩 또는 차가운 피부 또는 점상 또는 자반 발진; 높은 젖산; 소변량 감소; 고체온증 또는 저체온증 |
※ 출처: Clinical Management of COVID-19 (Interim guidance) - WHO: 2020.05.27
- 고위험군은 중증으로 간주하여 병상 배정
단, 60세 이상과 흡연자인 경우는 증상에 근거하여 의사의 판단으로 종합 병원 입원, 병원 입원 또는 생활치료센터로 입소
※ 고위험군
|
65세 이상,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흡연자, 임산부, 그리고 산소포화도가 유지되지 않아 산소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중증에 포함시켜 관리하도록 합니다.
COVID-19 감염: 치료 및 예방
치료
치료방법
Inhibitors of viral RNA synthesis | |
RdRP inhibitors | Remdesivir, Falvipiravir (+ Ribavirin, Sofosbuvir) |
Protease inhbitors | Lopinavir/r (+ Darunavir) |
Entry inhibitors | |
TMPRSS2 Inhibitors | Camostat |
Fusion Inhibitors | Umifenovir |
Others | Hydroxy/chloroquine, Oseltamivir, Baricitinib |
Immunomodulators and other immune therapies | |
Corticosteroids |
|
IL-6 targeting therapies | Tocilizumab, Siltuximab |
Passive immunization | Convalescent plasma |
대한감염학회 권고안(2021년)
|
| 근거수준 | 권고등급 |
Remdesivir | 1. 산소치료가 필요하지만 인공호흡기나 ECMO 치료까지 필요하지 않는 코로나19 환자에게 렘데시비르(Remdesivir)를 사용할 수 있다. | 중등도 | B |
2. 1번에 해당되지 않는 코로나19 환자들에게 렘데시비르의 투여에 대한 권고를 보류한다. | 중등도 | I (권고보류) | |
Hydroxychloroquine +/-azithromycin | 코로나19 환자에게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HCQ) 단독 투여나 아지스로마이신(azithromycin, AZM)과의 병합 투여를 모두 권고하지 않는다. | 높음 | C |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Lopinavir/ritonavir) | 코로나19 환자에게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Lopinavir/ritonavir, LPV/r)의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 | 높음 | C |
기타 항바이러스제(Favipiravir, ribavirin, umifenovir, baloxavir marboxil 등) | 코로나19 환자에게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 리바비린(ribavirin), 우미페노비르(umifenovir), 발록사비르(baloxavir marboxil) 등 기타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약제 투여는 임상시험 외에는 권고하지 않는다. | 낮음 | C |
스테로이드(Steroid) |
| 중등도 | A |
2. 중증이 아닌 코로나19 환자(non-severe)에 대해서는 스테로이드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 | 중등도 | C | |
인터루킨-6 (Interleukin-6) 억제제(Tocilizumab, sarilumab 등) | 1.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 인터루킨-6 (Interleukin-6, IL-6) 억제제는 임상 시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 중등도 | B |
2. 경증 코로나19 환자에게 인터루킨-6 억제제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 | 중등도 | C | |
인터루킨 1 (Interleukin 1) 억제제 | 코로나19 환자에게 인터루킨-1 (Interleukin-1, IL-1) 억제제 투여에 대한 권고를 보류한다. | 낮음 | I (권고보류) |
인터페론(Interferon) | 코로나19 환자에게 인터페론(Interferon)은 임상 시험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 낮음 | B |
회복기 혈장 치료 | 코로나19 환자에게 회복기 혈장 치료에 대한 권고를 보류한다. | 낮음 | I |
정맥용 면역글로불린(Conventional intravenous immunoglobulin) | 코로나19 환자에게 일반적인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Conventional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투여는 권고하지 않는다. 다만 합병증 치료에서 적응증이 될 때에는 면역글로불린 사용을 배제하지 말아야 한다. | 낮음 | C |
예방
- 여러 가지 백신이 개발되어 있음
|
참고자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Overview]
- 질병관리본부. 2020년도 호흡기감염병(성홍열, 레지오넬라증, 급성호흡기감염증) 관리지침
- Lee SW, Kim JM.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Challenge of Public Health. Korean J Fam Pract. 2020;10(2):87-95
[COVID-19 감염: 개요]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의료기관용). 제 1-2판. 2020/12/31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지자체용). 제9-5판. 2021/1/22
- Lee SW, Kim JM.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Challenge of Public Health. Korean J Fam Pract. 2020;10(2):87-95
- Park SE.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0
- Choi SH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Children.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23
- Kim KH et al. Guideline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Respon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24-34
[COVID-19 감염: 진단]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의료기관용). 제1-2판. 2020/12/31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지자체용). 제9-5판. 2021/1/22
- Lee SW, Kim JM.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Challenge of Public Health. Korean J Fam Pract. 2020;10(2):87-95
- Park SE.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0
- Choi SH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Children.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23
- Kim KH et al. Guideline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Respon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24-34
[COVID-19 감염: 치료 및 예방]
- 대한감염학회.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 약물 치료에 관한 대한감염학회 지침(요약본)(version 2.0). 2020/12/31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의료기관용). 제1-2판. 2020/12/31
- 중앙방역대책본부ㆍ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지침(지자체용). 제9-5판. 2021/1/22
- Lee SW, Kim JM.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d the Challenge of Public Health. Korean J Fam Pract. 2020;10(2):87-95
- Park SE.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0
- Choi SH et al.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in Children.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11-23
- Kim KH et al. Guideline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Respon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Infect Vaccine. 2020 Apr;27(1):2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