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알균(Staphylococcus) 감염
개요
Staphylococcus
- Micrococcaceae 과에 속하는 균속
- 그람염색에서 포도송이 모양의 그람양성 알균으로 관찰됨
분류
- coagulase 양성 포도알균: 황색포도알균(Stapylococcus aureus)
- coagulase 음성 포도알균(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oNS): S. epidermidis
포도알균(Staphylococcus): 주요 병원성 종은 3가지
균주 | 관련질환 |
Staphylococcus aureus |
|
Staphylococcus epidermidis |
|
Staphylococcus saprophyticus |
|
Staphylococcus에서 임상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3종, 즉 S. aureus, S. epidermidis, S. saprophyticus 입니다.
황색포도알균(S. aureus) 감염
황색포도알균 특징
- 비강 내 정상 상재균(일부 사람)
- 다양한 임상 양상: 균혈증, 여러 장기 침범
- 상대적으로 감염이 발생한 조직으로부터의 제거가 어려움(→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균혈증이 지속되거나, 장기의 감염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음)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c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
- MRSA 감염의 선택적 치료제인 glycopeptide 계열의 항생제인 vancomcyin, teicoplanin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균주가 증가하는 양상
- MRSA 감염 양상변화: [과거] 주로 의료 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또는 병원 획득 감염(hospital-acquired infection 또는 nosocomial infection)에 국한 → [현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MRSA 감염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에게서 MRSA 감염(community-acquired MRSA infection) 발생
임상양상
-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임상증후군(2가지 형태)
- 황색포도알균이 분비하는 독소에 의하여 매개되는 질환
- 황색포도알균의 일반적 병인 요인(general virulence factors)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
황색포도알균에 의하여 발생하는 2가지 형태의 임상증후군 | |
일반적 병인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농 감염 | 독소 매개 질환 |
|
|
내성현황
- 페니실린 내성
- 임상에서 분리되는 황색포도알균의 90% 이상
- 내성기전: penicillinase를 생성하여 페니실린을 가수분해
효과적인 항생제
MSSA | MRSA |
|
|
사슬알균(Streptococcus) 감염: 개요
개요
사슬알균(Streptococci)의 특징
- 쌍 또는 사슬모양의 그람양성 알균, catalase 음성, 통성혐기성균
- 보통 한천배지에서는 발육이 어렵고 혈액이나 혈청 등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발육
- 포도당이나 다른 탄수화물을 분해하나 포도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생성하지 않음
- 최소 25종 이상의 세포외 물질 및 효소 생산
- 적혈구 용혈능력 → 사슬알균 분류의 중요한 기초
분류
- 만족할 만한 단일 분류방법은 없음
- 분류기준: 혈액한천 배지에서의 집락 형태, 용혈성, 세포벽 군 특이물질(group-specific substance)의 혈청학적인 특이성, 생리 생화학적 검사 및 물리 화학적 인자에 대한 저항성 등
- 적혈구 용혈에 따른 분류: ① β-용혈 사슬알균(혈액 배지에서 자란 균 집락 부위가 완전 용혈되는 경우) ② α-용혈 사슬알균(부분용혈을 보이는 경우) ③ γ-용혈 사슬알균(용혈을 보이지 않는 경우)
β 용혈성을 보이는 사슬알균
- 세포벽에 있는 다당질의 항원성(Lancefield carbohydrate C)에 의해 다시 세분화: 20가지 이상의 혈청학적군
- 군 특이 탄수화물: C-다당체(C-polysaccharide)를 함유한 산 추출물은 군 특이 항혈청과 침강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에 의해 A-H군 그리고 K-V군으로 분류 가능(Lancefield 의 분류)
β 용혈성을 보이지 않는 사슬알균
- 혈청학적으로 분류할 수 없는 균종, 생리 화학적 검사로 감별
β 용혈성을 보이지 않는 사슬알균의 감별
Species | Optochin susceptibility | Bile solubility | Bile esculin |
S. pneumoniae | (+) | (+) | (-) |
S. bovis | (-) | (-) | (+) |
Other viridans group streptococci | (-) | (-) | (-) |
주요 사슬알균
- 30여 종: S. pyogenes 외 30여 종
- 임상적으로 중요한 균종: S. pyogenes, S. pneumoniae
- 각 group의 대표적인 감염증은 다음 표와 같음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사슬알균 감염증
균종 | 군 특이물질 | 용혈성 | 서식처 | 주요 질환 |
S. pyogenes | A | 베타 | 인후, 피부 | 인후염, 농가진, 류마티스열, 사구체신염 |
S. agalactiae | B | 베타 | Female genital tract | 신생아패혈증, 수막염 |
S. dysgalactiae subsp. Equisimillis | C, G | 베타(사람 감염), 알파, none | 인후 | 인후염 |
S. pneumonia | None | 알파 | 인후 | 폐렴, 수막염, 심내막염 |
A군 사슬알균
병원체 특성: S. pyogenes
- 그람양성 알균, 사슬을 형성하면서 증식, 산소 농도가 감소된 환경에서 더 잘 증식
임상양상
S. pyogenes은 주로 사람에게 인두염과 표피의 국소 감염(농피증)뿐만 아니라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류마티스열 및 급성 사구체신염 등의 비화농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또한 다양한 침습 감염(예. 산욕열, 패혈, 성홍열, 균혈증, 단독 등)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S. pyogenes 와 연관된 질병
가장 흔한 질환(Most common) | 덜 흔한 질환(Less common) | 비화농 합병증(Nonsuppurative sequelae) |
|
|
|
인두염
성홍열
피부연조직 감염
심부연조직 감염
폐렴/농흉
균혈증, 산욕기 패혈증
질염
항문주위 피부염
사슬알균 독성 쇼크 증후군
|
치료: 어떤 항생제를 쓸 것인가?
- penicillin, cephalosporin에 높은 감수성(+)
- erythromycin, clarithromycin, azithromycin, lincomycin, clindamycin에 감수성(+)
- Aminoglycoside, sulfonamide, choloramphenicol, tetracycline은 사슬알균 감염에 사용하지 않음
폐렴알균(Pneumococcus) 감염
병원체
- 폐렴구균(S.pneumoniae: pneumococcus)
- Streptococcaceae과, 그람양성, 쌍알균 또는 짧은 알균, 협막 있음, 조건무산소성
- 카탈라제 음성
- α용혈 현상(혈액배양배지에서 성장 시)
- 거의 대부분의 폐렴알균은 피막(capsule)에 다당을 보유하며, 피막은 폐렴알균 감염의 주요 독성인자로서 항체 형성에 주요한 항원이 됨
- 다양한 혈청형①
- 피막의 항원형에 따라 90여개의 혈청으로 분류됨
- 국내 침습성 폐렴알균 감염의 흔한 혈청형: 19, 23, 6, 14형
① 혈청형은 세균의 분류나 역학 연구에 이용되는 것 뿐 아니라 백신의 제조에 중요한 의미를 지님
임상양상
- 주요 임상증상: 중이염, 폐렴, 균혈증 및 수막염 등
- 성인에서의 폐렴알균 질환 중에는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에서는 급성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및 균혈증 등이 흔함
감염 |
|
▼ |
|
잠복기 |
|
▼ |
|
폐렴 |
|
급성 중이염/부비동염 |
|
수막염 |
|
균혈증 |
|
폐렴알균에 의한 임상증상
내성현황
- 폐렴알균의 항생제 내성: penicillin, macrolides, fluoroquinolones, 다제내성
| 역학 | 내성기전 | 비고 |
β-lactam 내성 |
|
|
|
Macrolide 내성 |
|
|
|
Quinolone 내성 |
|
|
|
다제내성 |
|
|
|
진단
- 확인 진단: 검체(혈액, 뇌척수액, 관절액, 늑막액, 심낭액, 복수, 생검조직 등)에서 S. pneumoniae 분리
- 추정 진단: 검체(혈액, 뇌척수액, 관절액, 늑막액, 심낭액, 복수, 생검조직 등)에서 특이 항원 검출 또는 특이 유전자 검출
치료
- 감염부위, 중증도와 동정된 폐렴알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 투여
폐렴
참조 "Part 4 호흡기/폐렴" 참조
수막염
폐렴알균의 항생제 감수성에 따른 수막염의 확정적 치료
항생제 감수성 | 표준 치료요법 | 대체 치료요법 |
Penicillin |
|
|
MIC < 0.1 mg/L | Penicillin G 혹은 ampicillin | 3세대 cephalosporin |
MIC ≥ 0.1 mg/L | 3세대 cephalosporin |
|
Ceftriaxone/Cefotaxime |
|
|
MIC < 1 mg/L | 3세대 cephalosporin | Fluoroquinolone, cefepime, meropenem |
MIC ≥ 1 mg/L | Vancomycin + 3세대 cephalosporin | Fluoroquinolone |
부비동염/중이염
- 폐렴 알균에 의한 중이염
- amoxicillin (1st choice)
- 24-48시간 내에 항생제에 대한 적절한 치료반응이 없는 경우(고도내성 폐렴알균이나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 고려): amoxicillin/clavulanate, fluoroquinolone, ceftriaxone
- 폐렴 알균에 의한 급성 부비동염: 기본적으로 급성 중이염과 동일
- amoxicillin (1st choice)
- H. influenzae가 의심되는 경우: amoxicillin/clavulanate
예방
- 백신10가, 13가 단백 결합 백신(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13), 23가 다당 백신(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
장알균(Enterococcus) 감염
개요
병원체
- Enterococcaceae과
- 그람양성, 쌍알균 또는 짧은 사슬, 조건무산소성
- 주요 특징: ① 포자 형성(-) ② catalase(-) ③ 6.5% NaCl 포함배지에서 증식 ④ 담즙의 존재하에 esculin을 가수분해 ⑤ leucine- β-naphthylamide (LAP)와 L-pyrrolidonyl-β-naphth-ylamide (PYR)을 가수분해
- 종류: ① 적어도 약 35종(species)이 존재 ② 가장 흔히 분리되는 균종: E. faecalis (80-90%), E. faecium (5-10%)
감염 경로
- 사람 간 접촉, 병원내 감염, 오염 표면 또는 환경 노출에 의해 전파됨
- 식품에 의해 전파 가능
임상증상
- 요로감염
- 균혈증
- 감염 심내막염
- 복강 내 감염
- 피부 및 연조직 감염
- 뇌수막염
- 신생아 패혈증
- 골수염
장알균은 위장관과 비뇨생식계에 상재하고 정상인에서는 쉽게 발병하지 않으나 고위험군(노인, 면역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에서 각종 기회 감염증(요로 감염, 창상 감염, 균혈증 등)을 유발합니다.
내성현황
- 장알균은 대부분의 항생제에 고유내성을 보유한 데다 plasmid 및 transposon의 전달에 의해 쉽게 항생제 내성 획득 가능
- Enterococcus 중에서는 E. faecium의 내성률이 더 높음
- Enterococcus는 Streptococcus보다 여러 항균제에 자연내성이고, 또한 β-lactam 항균제에 대한 내성 정도도 높음
- vancomycin 내성: Vancomycin 내성 장내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치료
VRE가 아닌 경우
- penicillin 또는 ampicillin: 아직까지 요로 감염, 복막염, 창상 감염 등의 일반적인 장알균 감염증의 선택적 치료제
- penicillin 또는 ampicillin에 과민반응이 있거나 고도내성이 확인되는 경우: glycopetide 계열의 항생제(vancomycin 또는 teicoplanin), aminoglycoside (streptomycin, gentamicin)를 병합투여가능(상승적 항균효과)
- tetracycline (doxycyline), chloramphenicol: 장알균에 감수성을 보일 수 있으나 정균작용만을 갖고 있어 제한적
VRE인 경우
- Fosfomycin, nitrofurantom: VRE에 의한 단순 요로 감염
- Penicillin과 vancomycin에 대해 고도내성을 보이는 VRE (aminoglycoside 내성률이 그리 높지 않은 경우 → aminoglycoside 병합)
- ampicillin + vancomycin + gentamicin
- ciprofloxacin + rifampicin + gentamicin
- ampicillin/sulbactam + gentamicin
- triniethoprim-sulfamethoxazole + rifampicin + gentamicin
- VanB형 VRE: teicoplanin에 대해 감수성을 보이지만 치료 중 내성 출현 등의 문제(+) → 단독요법보다는 aminoglycoside 등 다른 항생제와의 병합요법 시행
aminoglycoside에 고도 내성을 보이는 ampicillin/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al 감염의 치료제
Oxazolidinone | Linezolid, tedizolid |
Streptogramin | quinupristin-dalfopristin (Q/D) |
Cyclic lipopeptide | Daptomycin |
Glycylcycline | Tigecycline |
Lipoglycopeptide | Telavancin, dalbavancin, oritavancin |
질환에 따른 제제선택
임상상황 | 1차 치료제 | 대체 치료제 |
세균혈증 |
|
|
감염심내막염 |
|
|
중추신경계 감염 |
|
|
복강 내 감염 |
|
|
피부/연조직 감염 |
|
|
요로 감염 |
|
|
참고자료
[포도알균(Staphylococcus) 감염]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45-361
- Gillet Y, Henry T, Vandenesch F. Fulminant Staphylococcal Infections. Microbiol Spectr 2018;6(5).
- 질병관리본부. 2019년도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관리지침
- Liu C, Bayer A, Cosgrove SE,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for the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adults and children. Clin Infect Dis 2011;52(3):e18-55.
- Dayan GH, Mohamed N, Scully IL, et al. Staphylococcus aureus: the current state of disease, pathophysiology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Expert Rev Vaccines 2016;15(11):1373–92.
[사슬알균(Streptococcus) 감염: 개요]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63-388
- Lynskey NN, Lawrenson RA, Sriskandan S. New understandings in Streptococcus pyogenes. Curr Opin Infect Dis 2011;24(3):196–202.
[폐렴알균(Pneumococcus) 감염]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63-388
- Henriques-Normark B, Tuomanen EI. The pneumococcus: epidemiology, microbiology, and pathogenesis. Cold Spring Harb Perspect Med 2013;3(7).
-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관리지침. 2020
- 질병관리본부. 병원체_생물안전정보집(제_234위험군). 2019
[장알균(Enterococcus) 감염]
- 대한감염학회. 감염학 개정판(2014). P399-410
- Arias CA, Contreras GA, Murray B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enterococcal infections. Clin Microbiol Infect 2010;16(6):555–62.
- O’Driscoll T, Crank CW.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al infections: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ptimal management. Infect Drug Resist 2015;8:217–30.
- Arias CA, Murray BE. The rise of the Enterococcus: beyond vancomycin resistance. Nat Rev Microbiol 2012;10(4):266–78.
- Ahmed MO, Baptiste K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A Review of Antimicrobial Resistance Mechanisms and Perspectives of Human and Animal Health. Microb Drug Resist 2018;24(5):59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