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제
항균제의 작용기전에 의한 분류
작용기전 | 분류 |
세포벽 합성억제 | D-ananyl-D-alanine synthetase: Cycloserine Lipid carrier의 활성화 억제: Bacitracin, fosfomycin Disaccharide pentapeptide유리 억제: Vancomycin Cross-linking of peptidoglycan: B-lactam 항생제 |
세포막 투과의 변화/세포막 터뜨리기 | Polymyxin, lipopeptide(daptomycin), amphotericin B, azole, nystatin |
단백 합성 억제 | |
30S 리보솜에서 억제하는 항생제 | Aminoglycoside, tetracycline, glycylcycline |
50S 리보솜에서 억제하는 항생제 | Macrolide, lincosamide, chloramphenicol, streptogramine |
기타 | Mupirocin① |
핵산합성 억제 | |
DNA 합성 억제 | DNA gyrase: quinolone |
RNA 합성 억제 | DNA-dependent RNA polymerase: rifampin |
엽산합성억제 | Sulfonamide, trimethoprim, pyrimethamine |
① tRNA 합성효소에 isoleucine과 경합 → isoleucyl tRNA의 양적인 고갈 유발 → 단백 합성 억제
- B-lactam 항생제
- penicillin
- cephalosporin
- monobactam
- carbapenem
- B-lactamase inhibitor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증식의 여러 단계에 작용
- 바이러스의 세포 부착
- 칩입 / 껍질벗김(uncoating)
- 유전체 복제
- 단백질 합성
- 바이러스 입자의 조합/ 방출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증식의 각 단계에 작용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나타냅니다.
작용 기전이나 항바이러스제의 구조에 따른 분류
- nucleoside 유도체
- Non-nudeos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NNRTI)
- Nucleoside analogu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NRTI)
- nucleotide 유도체
- neuramidase 억제제
- amantadine
- oligonucleotide
- phosphonic acid
- 인터페론
- Protease inhibitors(PI)
- 세포 내 침투 억제제(fusion & entry inhibitor)
- integrase 억제제
항진균제
- 크게 4개의 계열로 분류
Fungal cell membrane | 1. Polyene antifungals
2. Azole antifungals |
Fungal cell wall | 3. Glucan synthesis inhibitors : Echinocandins |
DNA/RNA Synthesis | 4. Antimetabolites |
항기생충제/항원충제
기생충/원충에 사용하는 약제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
구충제(anthelminitcs) | 연충증에 사용하는 약제 | 연충: 선충, 흡충, 조충 |
항원충제/항말라리아제 | 원충에 사용하는 약제 | 원충: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톡소포자충, 리슈만편모충, 말라리아원충 등 |
체외 기생충 | 머릿니치료제(제거제), 옴진드기치료제(제거제) | 머릿니, 옷니, 사면발이, 옴진드기 등 |
참고자료
- 대한감염학회. 항생제의 길잡이 3판(2008)
- 대한감염학회. 항생제의 길잡이 4판(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