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회전근개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회전근개질환과 연관된 구조물
견봉하 공간(subacrimial bursa), 점액낭(bursa)
회전근개(rotator cuff)에 대한 이해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이란?
회전근개 질환의 범주
충돌증후군을 어떻게 볼 것인가?
원인/병태생리
자연 경과
회전근개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회전근개질환과 연관된 구조물
견봉하 공간(subacrimial bursa), 점액낭(bursa)
회전근개(rotator cuff)에 대한 이해
- 회전근개는 관절상완관절을 감싸고 있는 근육: 극상근(supraspinatus), 극하근(infraspinatus), 견갑하근(subscapularis), 소원형근(teres minor)
-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제공한다.
혈압을 잴 때 쓰는 BP cuff 처럼 약간 부피가 있고 튼튼한 띠 모양을 지칭합니다.
어깨의 견갑골에서 상완골두로 향하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형근이 origin은 다르나 insertion 부위에서는 서로 엉겨 분명 한 경계 없이 하나의 띠 모양을 만들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회전근개 질환(rotator cuff disease)이란?
회전근개 질환의 범주
범주(1)
범주(2)
|
회전근개 병변은 서로 별개의 질환이 아니고, 연장선상에 있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지 점액낭(bursa)의 자극만 있는 충돌 증후군 ~ 회전근개 건의 병변 ~ 견관절의 관절병
충돌증후군을 어떻게 볼 것인가?
회전근개질환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 ↔ | 회전근개질환과는 별도로 구분 |
|
|
원인/병태생리
- 회전근개 질환, 회전근개 파열은 급성 외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는 특별한 외상력 없이 어깨통증으로 발현
- 위험요인
- 나이, 비만, 당뇨, 흡연,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 가족력 등
- 작업환경 위험요인: 힘을 주며 어깨 굴곡을 유지하는 경우, 어깨의 반복적인 움직임, 손을 어깨위로 올린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
고전적인 개념 | → | 현재의 개념 |
|
|
내부적 요인 | → | 회전근개질환 |
| ||
+ | ||
외부적 요인 | ||
견봉하 충돌
내부 충돌
|
자연 경과
- 전층 파열의 경우
- 증상이 있는 전층파열의 50%는 2년 내에 크기가 증가한다.
- 전층파열이 있을 경우 주기적 검사가 권고된다.
- 부분층 파열의 경우: 전층파열에 비하여 악화 속도가 느리다.
참고자료
- Lewis JS. Rotator cuff tendinopathy. Br J Sports Med 2009;43: 236-241.
- Lee HJ. Differential diagnosis of common shoulder pai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4;57(8):653.
- Greenberg DL. Evaluation and treatment of shoulder pain. Med Clin North Am 2014;98:487-504.
- Park JY, Choi JH. Treatment of pain around the shoulder joint. J Korean Med Assoc 2005;48:1206-1214.
- Neer CS 2nd. Impingement lesions. Clin Orthop Relat Res 1983;173:70-77.
- Lee SU. Rotator cuff disease: pathology, pathophysiology, and natural course. J Korean Assoc Pain Med 2007;6:59-65.
- Factor D, Dale B. Current concepts of rotator cuff tendinopathy. Int J Sports Phys Ther 2014;9:274-288.
- Seitz AL, McClure PW, Finucane S, Boardman ND 3rd, Michener LA. Mechanisms of rotator cuff tendinopathy: intrinsic, extrinsic, or both?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1;26: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