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요골두 아탈구란?
언제 발생하나?
병태생리
진단
병력
진단적 검사
X선 검사
언제 시행하나?
초음파
치료
도수 정복
회외전(supination) 방법
과회내전(hyperpronation) 방법
개요
요골두 아탈구란?
- 응급실로 내원하는 6세 이하 소아의 주관절부 손상 중 가장 흔하다.
- 특히 1세와 3세사이의 소아에서 호발한다.
언제 발생하나?
- 전형적으로 팔이 회내전되고 신전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견인될 때 호발
- 부모가 갑자기 아이의 팔을 잡아당기거나 들어올릴 때 발생
병태생리
- 요골두가 원윈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며 일과성으로 아탈구된 후 윤상인대의 근위부가 요골두와 상완소두 사이에 끼기 때문
진단
- 대개 임상적으로 진단한다.
병력
- 팔을 잡아당긴 병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
- 비전형적인 병력을 보이거나 원인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진단적 검사
- 전형적인 병력을 가진 경우에는 대개 방사선 촬영이나 초음파 검사가 불필요하다.
X선 검사
언제 시행하나?
- 방사선 촬영에 대해서는 논란이 존재한다.
- 한 연구에서는 5세 이상이고 설명이 안되는 주관절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며 직접적인 비견인성 외상의 병력이 있을 경우 시행
- 또 다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만 방사선 촬영을 시행할 것을 제시
- 비전형적인 병력을 가진 경우
- 변형 혹은 외상성 피부병변을 가진 경우
- 6세 이상인 경우
- 요골두 아탈구가 의심되어 도수 정복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할 경우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는 경향 존재
초음파
- 아직 진단을 위해 표준화된 기준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 여러 검사에서 진단을 위한 여러 가지 소견을 제시하고 있다.
- J-sign
- hook sign
치료
- 비교적 간단한 술기로 후유증이 없이 쉽게 치료될 수 있다.
도수 정복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다.
회외전(supination) 방법
- 고전적인 방법
- 팔목을 회외전(supination)시킨 후 팔꿈치를 굴곡시키는 방법
과회내전(hyperpronation) 방법
- 시술자가 한손으로는 환자의 팔꿈치를 90도가 되게 잡고, 다른 손으로는 손목을 회내전시킨다.
- 환자와 보호자들을 놀라고 두렵게 하는 기존의 방법보다 덜 고통스러운 술기
- 회외전 방법보다 성공률이 더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연구 회외전 방법과 회내전 방법은 최종 성공률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과회내전 방법은 한번 시도에서 회외전 방법보다 성공률이 높았다. 요골두 아탈구 환자의 도수 정복 시 우선적으로 과회내전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 |
참고자료
- Lee JI et al. A comparison of two methods in the reduction of radial head subluxations.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5):325–30.
- Dixon A, Clarkin C, Barrowman N, Correll R, Osmond MH, Plint AC. Reduction of radial-head subluxation in children by triage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CMAJ 2014;186(9):E317–23.
- Choung W, Heinrich SD. Acute annular ligament interposition into the radiocapitellar joint in children (nursemaid’s elbow). J Pediatr Orthop 1995;15(4):454–6.
- Scapinelli R, Borgo A. Pulled elbow in infancy: Diagnostic role of imaging. Radiol Med 2005;110(5-6):655–64.
- Macias CG. Radial head subluxation. Acad Emerg Med 2000;7(2):207–8.
- Dohi D. Confirmed specific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pulled elbow. J Pediatr Orthop 2013;33(8):829–31.
- Sohn Y, Lee Y, Oh Y, Lee W. Sonographic finding of a pulled elbow: the “hook sign.” Pediatr Emerg Care 2014;30(12):919–21.
- McDonald J, Whitelaw C, Goldsmith LJ. Radial head subluxation: comparing two methods of reduction. Acad Emerg Med 1999;6(7):715–8.
- Macias CG, Bothner J, Wiebe R. A comparison of supination/flexion to hyperpronation in the reduction of radial head subluxations. Pediatrics 1998;102(1):e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