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임상소견
증상
- 30-50세 사이의 남자에 호발하고 제4-5 요추간 및 제5 요추-제1 천추간에 호발한다.
- 후측방 탈출이 60% 이상이고, 정후방이 30%, 측방이 10% 정도로 발생하며 동시에 두 곳 또는 그 이상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 주 증상은 요통 및 방사통으로 천장 관절이나 둔부, 서혜부, 대퇴부로 방사되는 관련통과 이환된 신경 근을 따라 방사되는 대퇴 신경통 및 좌골 신경통으로 구분한다.
- 관련통은 그 증상이 주로 양측 하지의 근위부로 방사되나 대개 무릎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고, 신경통은 무릎을 지나 발끝까지 방사되는 특징을 갖는다.
- 하지통은 요통이 생긴 후 수일부터 수주 후에도 나타날 수도 있다.
- 하지만 처음부터 요통과 하지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고, 하지통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징후
- 누워서 하지직거상 검사를 시행하면 요추 또는 천추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이 나타나고 더 이상 들어올리기 힘들어지는데 60도 이내이다.
- 정상적인 사람은 70도 이상 들어올릴 수 있다.
- 돌출된 추간판 물질로 신경이 심하게 눌릴수록 각도의 제한이 심하다.
- 하지 직거상 검사는 추간판탈출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민감도는 80%이지만 비특이적이다.
- 다시 말하면 추간판탈출증이 없어도 제한이 있을 수 있다.
- 돌출된 추간판 물질로 신경이 심하게 눌리는 환자에서 근력이 약해지거나 , 감각이 둔해지거나, 반사 기능이 떨어지는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 가장 흔한 신경학적 소견은
- 발목과 엄지의 족배굴곡이 약해지고(L5)
- 발목건 반사가 감소하거나 족저굴곡이 감소하고(S1)
- 발의 감각이 둔해진다(L4,L5,S1).
신경근 | 반사 | 운동검사(근력저하) | 감각검사(감각저하) | |
영향받는 근육 | 근력저하 소견 | |||
L3 | Patellar(Knee jerk)![]() |
|
|
|
L4 | Patellar(Knee jerk)![]() |
|
|
|
L5 | None |
|
|
|
S1 | 아킬레스건 반사(ankle jerk)![]() |
|
|
|
S2 | S1과 동일 | S1과 동일 | S1과 동일 |
|
치료
- 치료 목적: 통증 경감, 움직임과 기능 개선, 삶의 질 향상
- 침상 안정
- 급성기가 시작될 무렵에는 3-4일 정도 침상 안정을 취한다.
- 침상에 누워있는 동안 환자의 고관절과 슬관절은 다소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며 엎드려 있지 않도록 한다.
- 치료방법
- 보존적 치료(80-90%의 환자가 보존적 치료로 대개 2개월 이내에 호전)
- 물리치료, 주사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5-10%)
- 수술(3-5%)
수술의 적응증
|
예방
- 올바른 자세 교육(무엇보다 중요)
- 적절한 요추전만 유지
- 물건을 들때에는 몸에 붙여서 들도록 하고, 95도 유지하도록 한다.
- 오래 서 있을 경우: 한쪽 발을 낮은 상자 같은 곳에 올려놓아서 요추전만증을 유지하도록 한다.
- 운동요법: 우선 허리굴곡 운동은 추간판의 간격을 뒤쪽으로 넓혀 주고 추간공과 척추후관절을 넓혀 주며, 복근과 둔근을 강화시켜 주고 요천추관절을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 요추전만증을 유지하는 운동: 수영이나, 골프, 승마 등
- 허리에 좋지 않은 운동: 라켓볼, 테니스 등
참고자료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7판(2013). p865-874
- 가정의학 개정4판(2013), 182장, P1643-1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