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개요
진단
증상 및 병력
신체검사
Q-angle/Clarke’s
sign
슬개압박검사(patellar compression test) / Patellar Grinding Test
영상 검사
치료
보존적 치료
운동처방
수술적 치료
슬개골 연골 연화증 (Chondromalacia Patella)
증상
진단
치료: 대개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다.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개요
- 정의가 모호한 질환
- 슬개골 저면에 있는 관절면의 반복적인 경한 자극이나 염증으로 관절연골의 변화를 초래하여, 슬개골과 대퇴골과(femoral condyles)의 관절면에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발생한다.
- 임상적인 특징으로 젊은 연령 층에, 특히 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진단
- 임상 증상, 관절경 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병력 및 신체검사를 통해 다른 병들이 아니라는 심증이 있을 때 이 병을 생각하게 됩니다.
증상 및 병력
- 슬관절을 굴곡시켜 슬개골이 대퇴 관절 면과 접하게 하고, 슬개골을 압박하면 슬개골 후면에 동통을 느끼게 된다.
- 슬관절의 무력감, 운동통을 호소하며, 언덕 아래나 계단을 뛰어 내려갈 때, 또는 체중 부하가 요구되는 무릎의 굴곡과 신전이 반복되는 동작에 통증이 시작된다.
- 슬관절을 구부린 상태로 오래 앉아 있으면 동통을 느끼게 되고, 신전시키면 통증이 없어진다. 계단이나 비탈을 오르내릴 때의 통증이나 쪼그려 앉거나 일어날 때의 통증을 호소한다.
- 슬개대퇴골 관절의 움직임은 슬개골의 외측 구조물에 구축으로 내측방향으로 운동제한을 볼 수 있다.
신체검사
- 통증/압통: 무릎의 내측, 외측 또는 슬개골하에 비특이적으로 나타나며, 슬개골하 또는 상부에 약간의 부종이 보이기도 한다.
- 염발음: 경우에 따라서 술개골하에서 염발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슬개골 앞에 손을 대고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면, 슬개골 아래에서 독특한 모래 긁는 소리 같은 것이 들릴 수도 있다.
- 관절운동범위: 대부분의 경우 정상이나 심한 경우에는 제한이 오기도 한다.
- McMuray 검사 등의 기타신체검사소견은 정상이다.
Q-angle/Clarke’s sign
슬개압박검사(patellar compression test) / Patellar Grinding Test
- 다리를 쭉 편 상태에서 슬개골을 눌러 비벼 보는 검사, 통증유발가능
- 슬개골을 누르면서 좌우로 이동시켜 보면, 염발음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검사
- 단순 X선: AP, lateral, Bilateral axial patellofemoral view
- 슬개골 정렬의 이상이나 퇴행성 변화 등의 유무를 확인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 Axial patellofemoral view: 부정정렬을 확인하는 데 유용
- MRI 등도 진단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으며 다른 병이 있는지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MRI : 연골연화증(Chondromalasia)
치료
- 대개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다.
- 선행요인들을 교정한다.
보존적 치료
초기 |
|
▼ |
|
다소 증상이 완화된 후 |
|
운동처방
- 슬개대퇴골 통증 증후군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특히 운동처방의 내용이 달라야 하며 운동 중 손상이 일어난다면 반드시 그 운동은 중지하여야 하는 것을 교육시킨다.
- 대퇴사두근의 근력강화운동, 특히 슬관절 신전의 끝 부위에서 시행하는 short arc quadriceps activity부터 시작하고 점차 근력운동의 범위를 늘리는데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적 치료
- 보존적치료로 교정이 안되고 증상이 심할 경우 수술적 치료(예: chondroplasty) 고려
슬개골 연골 연화증 (Chondromalacia Patella)
- 슬개골 관절 연골의 연화 현상을 주 병변으로 하는데, 이러한 변화는 연골의 표면 또는 심층에서 시작될 수 있다. 표면에서 시작된 경우는 골관절염이 흔히 발생하며, 심층에서 시작되면 일정 기간 후 치유되는 경우가 많다.
- 특별한 원인은 없으며 무릎을 구부리는 자세를 지속한 뒤 종종 발생하며 젊은 여자의 무릎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과 동의어로 간주하기도 하지만 Chondromalacia Patella는 무릎뼈 관절면의 병리적 변화가 있는 경우를 뜻하므로, '슬개대퇴증후군'이란 진단명과 동일하게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실제 관절경에 '연골연화증'에 해당하는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통증이 없는 경우도 흔합니다.
증상
- 젊은 연령 층에, 특히 여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 환자는 슬관절의 무력감, 운동 후 동통을 호소하며, 특히 층계를 오르내리기가 어렵다.
- 슬관절을 구부린 상태로 오래 앉아 있으면 동통을 느끼고 되고(cinema sign), 신전시키면 통증이 없어진다.
진단
-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의 진단과 유사합니다.
치료: 대개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다.
- 역시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의 치료와 유사합니다.
참고자료
- Kwon SK, Chang CB. Differential Diagnosis of Knee Pain Commonly Encountered i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2007;14(3):185.
- Earl JE, Vetter CS. Patellofemoral pain. Phys Med Rehabil Clin N Am. 2007;18:439-58
- Kim HS, Yun DH. Rehabilitation of Sports-related Knee Injury.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1):77–83.
- 정형외과학 7판 2권 p1027-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