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미색비강진(장미색잔비늘증, pityriasis rosea)
임상양상
진단
치료
편평태선
임상양상
진단
치료
벗음피부염(박탈피부염, exfoliative dermatitis)
원인
선행피부질환
약물
악성 질환
임상양상
피부 증상
전신 증상
치료
장미색비강진(장미색잔비늘증, pityriasis rosea)
- 원인 불명의 급성 혹은 아급성의 염증성 질환. 15∼40세에 호발
임상양상
- 흔히 인설이 있는 분홍색의 원발진이 선행한 후 1∼2주일 뒤에 이차발진 발생
- 전구증상(약 5%): 두통, 식욕부진, 권태감, 발열, 관절염
| 전형적 장미색비강진(약 80%) | 비전형적 장미색 비강진(약 20%) |
원발진 |
|
|
▼ |
|
|
이차발진 |
|
|
진단
- 처음 내원 당시 이미 이차발진이 발생하여 오는 경우가 많다.
- 전형적 장미색비강진(반상형 장미색 비강진): 임상적 관찰만으로 진단가능
- 다른 아형(구진형, 농포형, 수포형, 부종형, 자반형 등)의 경우: 다른 질환과 감별진단 필요. 피부병리조직검사 시행
- 원발진의 감별진단: 체부백선, 윤상홍반증
- 이차발진의 감별진단: 2기 매독, 동전모양습진, 지루피부염, 물방울 건선, 어루러기, 태선양 비강진, 약진, 바이러스발진
치료
- 보통 6∼8주 후에 자연 소실되므로 증상이 없으면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증상에 따라 스테로이드 제제 국소 도포나 약물 투여, 광선 치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편평태선
-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
- 피부와 점막에 발생하여 다양한 임상 소견 발현
임상양상
- Lichen Planus 병변의 6가지 특징(6 'P')
- Planar (flat-topped)
- Purple
- Polygonal
- Pruritic
- Papules
- Plaques
피부 편평태선(Cutaneous lichen planus): 피부에 발생하는 편평태선 | 구강 편평태선(Oral lichen planus): 구강 점막 또는 입술에 발생하는 편평태선 |
|
|
진단
- 다른 구진인설질환과의 감별
- C형간염의 선별검사 필요(대조군에 비해 C형간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약 5배 높다.)
- 치료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지속되는 경우: 동반되는 상피세포암 등을 감별하기 위해 조직검사 시행
치료
- 재발/ 만성경과설명
- 피부편평태선
- 스테로이드: 국소/전신/병변내 주사
- 기타: 항히스타민제, 레티노이드, 자외선광선치료, 면역억제제 등
- 점막 편평태선
- 증상이 없으면 치료 불필요
- 증상이 있는 경우: 증상조절; 국소스테로이드, 경구스테로이드(까짐이 심한 경우)
벗음피부염(박탈피부염, exfoliative dermatitis)
- 동의어: 홍색피부증
- 전신의 거의 모든 피부가 붉어지고 각질과 박탈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질환
- 대부분은 선행하는 질환이 있으나 선행질환과 관계가 없을 수 있다.
- 40세 이상의 남성에게 호발
원인
- 선행피부질환 50%, 원인불명 약 20%, 약물 10~15%, 악성질환 10%
선행피부질환
- 건선(m/c), 아토피피부염, 습진, 약물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지루피부염, 모공홍색잔비늘증, 정체피부염, 다형홍반, 전신편평태선, 낙엽상천포창, 전신피부진균증, 옴 등
약물
- 알로퓨리놀, 설파제, 페노바비탈, 이소니아지드, 페니토인, 시메티딘, 리튬, 금, 퀴니딘, 칼슘통로차단제 등
악성 질환
- 악성림프종(호지킨병)
임상양상
피부 증상
- 전신 피부: 밝은 홍반, 앏은 표면(광택), 낙설, 홍반
- 탈모증, 손발톱은 쉽게 부서지고 불규칙한 성장이 관찰된다.
- 손발바닥 과다각화증(약 80%)
전신 증상
- 전신 림프선병증(50% 이상)
- 기타 증상: 부종, 미열, 빈맥, 빈혈, 간염 등
치료
- 원인이 되는 선행질환에 따라 시행: 건선, 모공홍색잔비늘증 등이 원인: 레티노이드(isotretinoin), 면역조절제(methotrexate, azathioprine, cyclophosphamide)
- 일반적으로 낮은 농도의 국소스테로이드 도포와 스테로이드 복용으로 치료한다.
- 기타: 광화학요법, 대증요법
참고자료
- 대한피부과학회. 피부과학 6판(2014). P314-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