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피부곰팡이증dermatomycosis
머리백선(Tinea capitis)
원인
증상
치료
몸백선 (Tinea corporis)
원인
증상
치료
발백선 (tinea pedis)
원인
증상
치료
손발톱백선(Tinea unguium)
원인
증상
치료
샅백선증(Tinea cruris)
원인
증상
치료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
원인
증상
진단
치료
피부곰팡이증dermatomycosis
- 피부곰팡이증은 진균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피부질환을 총칭하며 표재 곰팡이증과 심재곰팡이증으로 구분된다.
- 표재 곰팡이증은 표피와 피부부속기를 침범하여 발생하고, 심부곰팡이증은 진피와 피하지방층을 침범한다.
표재 곰팡이증(superficial mycosis)의 백선(dermatophytosis, Tinea)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백선은 피부사상균(dermatophytes)에 의해 피부와 부속기에 감염을 일으키는 피부의 표재성감염의 총칭입니다.
머리백선(Tinea capitis)
원인
- M. Canis가 가장 흔한 원인균
증상
- 무증상의 보균상태, 비염증성 탈모, black-dot ringworm형 탈모 및 염증성 두부백선 등의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주로 초등학교에 다니는 나이 또래의 남아에서 호발하며 드물게는 성인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염증이 심하게 나타나는 염증형과 염증이 경미한 비염증형이 있다.
- 치료가 늦어지거나 방치하면 영구탈모를 남길 수 있으므로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치료
- 반드시 항진균제를 내복해야 한다.
- 성인은 1일 griseofulvin 250-500mg, itraconazole 200mg, 또는 terbinafine 250mg을 1-3개월간 사용하거나 균 음성 후 최소한 2주간 더 사용해야 한다.
- 염증이 심한 경우는 탈모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에 corticosteroid를 병용하며, 국소적으로 KMnO4로 습포를 해준다.
- Selenium sulfide 샴푸를 사용하면 2주내에 균배양 음성이 되며 균의 전파를 줄일 수 있다.
몸백선 (Tinea corporis)
원인
- T. Rub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
증상
- 목, 팔, 다리, 몸통 등에 0.5~10cm 크기의 윤상형 병소(annular lesion)가 특징이며 단일 병소가 발생하나 원인균에 따라 다발성ㅇ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
- 전형적인 병소는 경계가 뚜렷하고, 경계부는 구진이나 소수포로 둘러싸여 분명한 경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계부의 안쪽에는 구진이나 소수포가 치유되어 인설이 덮힌 색소반이나 정상피부색깔이 중앙부에 나타나며, 주위로 전파되어 크기가 커진다.
치료
- 단일 병소이거나 병소가 광범위하게 퍼져있지 않으면 국소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 국소 도포할 때는 병변뿐만 아니라 경계를 넘어 8-10cm까지 도포해야 하며 4주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발백선 (tinea pedis)
원인
- T.Rub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
증상
- 임상적으로 지간형, 소수포형 및 각화형으로 구분한다.
- 지간형: 발백선 중 가장 흔한 병형이며 4번째 발가락과 5번째 발가락 사이인 제4지간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다음으로 제3지간이다.
- 소수포형: 발바닥이나 발 옆에 소수포가 산재하여 발생하고 융합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 각화형: 발바닥 전체에 걸쳐 정상피부색의 각질이 두꺼워지며 긁으면 고운 가루처럼 떨어진다.
만성적으로 경과하고 난치성이며 자각증상이 별로 없다.
치료
- 항진균제를 사용하기 전에 급성 염증이나 2차 감염이 있으면 습포를 하고 항생제와 corticosteroid를 사용하여 치료한 후 진균에 대한 치료를 하여야 한다.
- 각질층의 비후가 심하면 salicylic acid(2-6%)나 요소연고를 사용하여 각질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 그 외 각종 항진균제를 1일 2회씩 병변과 그 주변부에 발라준다.
- 국소치료로 호전되지 않으면 griseofulvin, itraconazole, terbinafine을 6-12주간 내복하면서 검사를 병행하여 그 경과를 관찰하고, 진균검사에서 균 음성임을 확인하여야 한다.
손발톱백선(Tinea unguium)
원인
- T.Rub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
증상
- Zaias는 손발톱곰팡이증을 4형으로 분류하였는데, 원위부 조갑하형, 근위부 조갑하형, 백색 표재형, 칸디다 감염 손발톱곰팡이증으로 분류하였다.
- 원위부 조갑하형: 조갑판의 원위부와 측면에서 시작하여 조갑하에서 감염을 일으켜 조갑상의 표피가 염증과 증식으로 근위부 조갑하형 흰색 내지 황색 혹은 황갈색을 띠고 조갑하에서 각질이 비후되어 혼탁해지며 광택을 잃고 조갑박리가 생기고, 더 진행되면 부스러져서 정상 손발톱의 형태를 잃게 된다.
- 근위부 조갑하형: 근위조잡주름으로부터 감염되어 조갑하로 침범되어 발생한다. 그러므로 원위부는 정상이지만 근위부의 손발톱이 희게 변색한다.
치료
- 국소치료제가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손발톱에 침투되어 균을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남아 있어야 하는데 국소 항진균제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경구 항진균제를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 Grisefulvin, fluconazone, itraconazole, terbinafine 등 항진균제를 3-12개월간 경구투여해야 한다.
- 치료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외과적으로 또는 40% 요소연고를 사용하여 병변 손발톱을 제거한 후 치료한다.
- Itraconazole은 계속 요법과 주기요법으로 치료한다.
- 계속요법: 1일 200mg을 사용하는데 손톱감염에는 8주간, 발톱감염에는 12주간 경구투여한다.
- 주기요법: 4주 중 1주간만 치료하는 데 1일 400mg씩 1주간 복용하고 3주간 쉬고, 다시 복용하는 방법으로, 손톱감염에는 2주기(8주), 발톱감염에는 3주기(12주) 경구투여한다.
샅백선증(Tinea cruris)
원인
- T. Rubrum이 가장 흔한 원인균
증상
- 고샅부에 경계가 분명한 고리나 반월형의 병터가 특징적이다. 이 병터들이 치유되면서 중앙에 비늘과 색소침착을 남긴다.
- 고샅부위와 넓적다리 안쪽에 양측성으로 발생하나 샅, 볼기까지 퍼지는 예도 있다.
치료
- 몸백선증에 준하여 치료한다. 때로는 국소 항진균제가 접촉피부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예방을 위해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하고 통풍이 잘되고 밀착되지 않는 내의를 입는다.
- 항진균제를 국소 도포할 때는 병변뿐만 아니라 경계를 넘어 8-10cm까지 도포해야 하며 4주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어루러기(pityriasis versicolor)
원인
- M.Globosa를 위시한 Malassezia 효모균
증상
- 활동이 왕성한 2대~40대 성인에서 발생. 고온다습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에 호발. 만성적인 경과(여름에는 악화, 가을과 겨울에는 호전)
- 가슴, 등, 겨드랑이, 목 등 피지선이 많이 분포된 체간 상부나 두피에 다양한 크기의 연한 황토 색, 적갈색 인설반 발생, 때로는 융합하여 거대반을 만들기도 함
- 일광 노출 부위(특히 안면)에서는 저색소침착반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흔함 → 백반과의 감별 어려움
- 진찰 시 손톱이나 검사용 수술칼로 병소를 긁어 가는 인설이 일면 어루러기 가능성 높음
- 자각 증상은 거의 없으나 경미한 소양감을 호소하는 수도 있음
진단
- 우드(Wood)등검사: 황갈색 내지 황금색 형광
- 직접 도말 검사(KOH smear): KOH용액과 파커잉크의 혼합액 검사(인설에 점적): 짧은 균사와 둥근 아포가 혼재(‘Spaghetti 와 meatballs’)
- 진균 배양
치료
- 국소제제
- 25% sodium thiosulfate용액, 2.5% selenium sulfide, clotrimazole, 2% ketoconazole 연고 및 샴푸
- 국소제제를 환부에 바른 뒤에는 최소 10분 간 놔둔 뒤 씻어내며, 2주 간 매일 시행 →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1달에 한두 번 정도 시행
- 경구제제
- ketoconazole (매일 200 mg 7일간), fluconazole (400 mg 단일용량) 또는 itraconazole (매일 200~400 mg 3-7일간)
참고자료
- 대한피부과학회. 피부과학 6판(2014). 14장 p420-430, p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