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옴
병원체: 옴진드기
분류 및 임상증상
일반옴
딱지옴(Crusted scabies)
결절옴(Nodular scabies)
잠행옴(Scabies incognito)
개옴(Canine scabies)
진단
임상양상
진단적 검사
광유(mineral oil)법
Dermoscopy
치료
치료 원칙
치료옵션
이 감염증
머릿니(Pediculus humanus capitis)
사면발이(Pthirus pubis): 성병의 하나로 감염
옴
병원체: 옴진드기
- 한국에서 보고된 종(3종): 사람옴진드기(Sarcoptes scabiei scabiei), 개옴진드기(S. canis), 돼지옴진드기(S. scabiei suis)
- 주로 성접촉이 아닌 사람간의 밀접한 접촉을 통해 발생 (예. 가족 간, 단체활동)
- 개인적인 물건을 공유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음 (예. 의복, 침구류)
치료
- 치료 원칙
- 항옴진드기제 국소도포
- 알레르기반응으로 유발된 피부염 치료: 항히스타민제 +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 피부발진이 심하여 국소도포제 만으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제 경구투여(1~2주)
- 2차 세균감염이 있는 경우: 항생제 투여
- 가족은 물론 신체접촉이 있었던 모든 사람이 함께 치료를 받을 것
- 치료방법: lindane, crotamitone
- 치료 원칙
분류 및 임상증상
- 분류: 일반옴, 딱지옴, 결절옴, 잠행옴, 개옴 등
일반옴
- 잠복기: 2~6주이지만, 재감염은 즉시 (1~3일 이내) 증상을 일으킴
- 굴(burrow): 맨눈으로 발견 가능
- 옴진드기 굴은 회색 내지 암갈색의 굴곡이 있는 5 mm 정도의 선상 병소
- 부위: 손 (손샅, 손가락 옆면), 손목의 굽히는 부위, 겨드랑이, 허리, 유두륜, 배꼽주변 부위, 남성 생식기
- 굴이 시작된 부분에는 작은 인설이 있으며 옴진드기가 있는 쪽(blind end)에는 미세한 융기가 발견되며 굴 하부에서는 작은 수포 또는 농포가 형성되기도 한다.
- 심한 야간 가려움증
- 옴진드기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발생: 각질층 내에 굴 생성(주간 야간) -> 진드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소화액)에 의한 알레르기반응 → 가려움증
- 옴진드기가 소멸된 후에도 소양증은 수 주간 계속될 수 있다.
- 피부병변
- 주요 병변: 홍반성 반/구진, 결절, 고름피부증(성기), 은색 피부선(평균 0.5㎝), 굴(burrow)
- 병변 부위: 하복부, 넓적다리 내측, 겨드랑이, 성기 주변 등
- 병변의 분포는 굴의 분포와 일치하지 않는다.(옴의 대부분의 피부증상은 옴진드기의 배설물, 소화액 등에 대한 지연과민반응으로 발생하기 때문)
▲ burrow | ▲ burrow |
▲ 성기의 구진 | ▲ 손가락 옆면의 구진 |
딱지옴(Crusted scabies)
- 동의어: 노르웨이옴(Norwegian scabies)
- 손/손목, 발, 팔꿈치폄쪽 부위, 두피, 귀 및 손톱 밑에 과다각화증 현상을 보이는 건선모양 병변이 특징적
- 노인에서는 두피에 지루피부염과 유사한 양상으로 딱지옴 발생가능
결절옴(Nodular scabies)
- 옴의 임상적 변형. 소양증이 심한 홍반성 또는 적갈색의 구진이나 결절이 생기는 경우
- 옴의 증상이 소실된 후에도 결절 지속
- 호발부위: 음낭, 남자성기, 겨드랑이
잠행옴(Scabies incognito)
- 옴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장기간 부신피질호르몬제를 복용하거나 국소 도포하게 되는 경우 → 가려움증은 완화되지만 옴진드기의 수는 증가하여 주위 사람이 모르는 사이에 계속 옴진드기를 전파하는 상태
- 굴: 손, 손목, 음낭 등의 부위에 수백 내지 수천 개에 분포
- 딱지옴에서와 같은 과다각화증은 볼 수 없다.
개옴(Canine scabies)
- 개옴진드기에 의하여 발생
- 숙주 특이성: 사람 피부에서는 굴을 만들지 않으며 감염원이 소실되면 자연 치유가능
진단
- 특징적인 야간의 가려움증과 옴진드기 굴의 발견, 가족력등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현미경하에서 옴진드기의 충체나 알 또는 배설물(scybala)을 확인하면 확진가능
임상양상
- 손가락 사이 및 음낭과 남자성기에 심한 가려움증이 있을 경우 진단에 도움이 된다.
- 확대경을 이용하여 주의 깊게 관찰할 것: 유충 또는 약충으로 인하여 아주 작은 굴, 구진 또는 수포가 형성되기 때문
- 유아/소아, 노인: 특히 손바닥, 발바닥에서 옴진드기 굴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
- 노인: 비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노인에서 흔히 발생되는 단순가려움증, 건성습진 등과 감별이 쉽지 않다.
- 잠행옴이나 딱지옴에서는 가려움증이 경하거나 없으며 개옴에서는 굴이 발견되지 않는다.
진단적 검사
광유(mineral oil)법
- 검사방법: 1) 광유 한 방울을 굴 위에 떨어뜨린다. 2) 외과용 칼로 6-7회 굴을 가로질러 문지른 후 각질세포 조각들이 포함된 광유를 긁어모아 유리슬라이드 위에 놓는다. 3) 덮개유리를 덮은 다음 광학현미경으로 관찰. 주의) 칼로 피부를 문지를 때에는 적혈구가 약간 섞일 정도의 세기로 하는 것이 좋다.
- 장점: 광유의 점성에 의하여 충체, 굴의 모든 내용물을 손실 없이 수집가능. 살아 움직이는 충체 검출 가능
- 주요 소견: 20-30 μm 크기의 갈색 타원형 배설물
Dermoscopy
- 생체 내 표면현미경(surface microscopy) = ‘epiluminescence microscopy’
- 장점: 검사 시 협조가 어려운 경우(영아, 소아) 유용
- 10- 20배로 확대하여 피부병소 관찰. 사진촬영 가능
- 주요 소견: 1) 갈색으로 보이는 삼각형 모양의 옴진드기앞부분(hang glider sign); 2) 공기방울과 분비물로 차있는 굴로 이루어진 ‘제트기와 비행구름(jet with condensation trail)’
치료
치료 원칙
- 항옴진드기제 국소도포
- 알레르기반응으로 유발된 피부염 치료: 항히스타민제 +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 피부발진이 심하여 국소도포제 만으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스테로이드제 경구투여(1- 2주)
- 2차 세균감염이 있는 경우: 항생제 투여
- 가족은 물론 신체접촉이 있었던 모든 사람이 함께 치료를 받을 것
옴환자 치료에 있어 유의할 사항
|
치료옵션
옴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
치료방법 | 제형 | 용법 | 특징 | 금기 | 비고 |
Permethrin | 5% cream
|
|
|
|
|
Lindane | 1% 겔, 크림, 샴프제 |
|
|
|
|
Benzyl benzoate | 20-25% 수용액
|
|
|
|
|
Crotamiton | 10% 연고, 크림, 겔 제제 |
|
|
|
|
Ivermectin | Pills |
|
|
|
|
임상양상 혹은 상황에 따른 항옴진드기제의 선택
임상상황 | 추천치료 | 대체치료 | 추가 치료 | 비고 |
전형적인 옴 | permethrin 5% 혹은 benzyl benzoate 2회 도포 | 경구 ivermectin, 200 µg/kg (1일차, 14일차) 2회 복용 |
| 무증상 접촉자도 모두 동시에 치료받을 것 |
가피화된 옴(Crusted scabies) | permethrin 혹은 benzyl benzoate 여러 번 도포 + 경구 ivermectin 수회 복용 |
| 각질용해제 사용 | 옴 감염의 전파 조절 |
소아 < 2세 | Permethrin 혹은 benzyl benzoate (도포한 지 12시간을 넘기지 말것) | Ivermectin: 15kg 미만 소아에서는 금기 | 얼굴 치료(입과 눈의 제외) | 옴결절 치료: crotamiton |
임산부 | Permethrin, benzyl benzoate (도포한 지 12시간을 넘기지 말것), sulfur | Ivermectin: 금기 |
|
|
2차감염된 옴 | 경구 ivermectin이 선호된다. | 국소치료 전 항생제 투여 |
| 사슬알균후 신후신염, 패혈증 가능성 증가 |
- 우리나라에서는 lindane과 crotamitone을 사용할 수 있는데 lindane의 신경독성으로 crotamitone을 많이 처방한다.
이 감염증
머릿니(Pediculus humanus capitis)
- 충체나 서캐를 보고 진단가능
- 서캐와의 감별: 머리카락 뿌리집의 각질 잔여물인 털원주(hair cast) → 잡아당기면 머리카락을 따라 이동이 되고, 서캐인 경우 잘 떨어지지 않는다
- 치료: lidane, permethrin, pyrethrin, malathion
사면발이(Pthirus pubis): 성병의 하나로 감염
- 치료: permethrin 1% 로션 혹은 5% 로션, 0.33% pyrethrin-piperonyl butoxide 샴푸, Lindane 1% 로션 또는 크림, Crotamiton 10% 연고
참고자료
- Cho BK. Reemerging skin disease caused by arthropods I: scabie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5):511–20.
- Monsel G, Chosidow O. Management of scabies. Skin Therapy Lett 2012;17(3):1–4.
- Gunning K, Pippitt K, Kiraly B, Sayler M. Pediculosis and scabies: treatment update. Am Fam Physician 2012;86(6):535–41.
- 질병관리본부/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성매개감염 진료지침 요약본. 2016.
- Huh S. Chemotherapeutic drugs for common parasitic disea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3;56(6):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