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멜라닌세포 유래의 악성 종양: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
임상분류
Clark’s Classification): 모양, 발생양상, 분포의 특성에 따라 4가지 임상조직학적 아형으로 분류
Bastian’s New Classification: 유전자적 특성과 일광노출을 연관지은 새로운 분류
진단
흑색종과 양성 종양을 감별하는 포인트 ABCDE
A(asymmetry)
B(border irregularity)
C(color variation)
D(diameter)
E(evolution)
병리조직검사
병기: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TNM 병기 8판(2018)
치료
멜라닌세포 유래의 악성 종양: 악성흑색종(malignant melanoma)
임상분류
Clark’s Classification): 모양, 발생양상, 분포의 특성에 따라 4가지 임상조직학적 아형으로 분류
- 말단흑색점흑색종(Acral lentiginous melanoma, ALM)
- 결절흑색종(Nodular melanoma, NM)
- 표재확산흑색종(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SSM)
- 악성흑색점흑색종(Lentigo maligna melanoma, LMM)
▲ Nodular melanoma (NM) | ▲ Superficial spreading melanoma (SSM) |
▲ Acral lentiginous melanoma (ALM) | ▲ Lentigo maligna melanoma (LMM) |
Bastian’s New Classification: 유전자적 특성과 일광노출을 연관지은 새로운 분류
- 비만성일광손상흑색종(non-chronically sun-damaged melanoma)
- 만성일광손상흑색종(chronically sun-damaged melanoma)
- 말단흑색종(acral melanoma)
- 점막흑색종(mucosal melanoma)
진단
흑색종과 양성 종양을 감별하는 포인트 ABCDE
A(asymmetry)
- 절반을 나누어 볼 때 비대칭
B(border irregularity)
- 경계가 불규칙
C(color variation)
- 균일하지 않은 색조
D(diameter)
- 직경이 6mm 이상 시
E(evolution)
- 검은 점이 새로 생기거나 이미 있던 색소모반의 모양, 크기, 색조가 변하거나 가려움, 따가움 또는 통증이 생기거나 출혈, 궤양, 딱지 형성 같은 표면 상태의 변화를 보이거나 혹은 위성병터가 나타날 경우
병리조직검사
- 일정량의 주위 정상피부를 포함하여 병터를 완전히 절제생검
- 병변이 크거나 손발바닥과 얼굴과 같은 부위는 절개생검이나 펀치생검 시행
생검의 깊이는 환자의 예후와 향후 치료 방침 결정적적인 침윤 수준 및 종양의 두께(Breslow 두께)를 평가하기 위해 최소 모든 피부 부속기가 침범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피하지방층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병기: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TNM 병기 8판(2018)
- 이전 병기체계와 비교 시 큰 변화를 보임
- T 병기의 변화
- Breslow 두께에 따라 1, 2, 4 mm의 cut-off value로 구분되던 것을 1 mm 이하를 <0.8 mm와 0.8-1 mm로 세분
- <0.8 mm의 경우 궤양의 유무에 따라 T1a와 T1b로 구분
- N병기의 변화
- 전이가 확인된 림프절 개수에 따라 1, 2-3, 4개 이상으로 하여 N1, N2, N3로 분류를 기본으로 한 것은 변화가 없으나 전이된 림프절 내의 종양세포의 침윤정도는 삭제
- 미세위성병변, 위성병변과 intransit metastasis의 의미를 강조하여 전이된 림프절 개수의 기준보다 한 단계씩 상향조정
- M 병기의 변화
- M1: 원위부 피부, 피하지방층, 비국소부위 림프절의 침범, M2: 폐 전이, M3: 중추신경계를 제외한 기타 원격 전이, M4: 중추신경계 전이로 구분
- 각각에서 lactic dehydrogenase의 상승 유무에 따라 Mxa 또는 Mxb로 구분
When T is… | And N is… | And M is… | Then the pathological stage group is… |
Tis | N0b | M0 | 0 |
T1a | N0 | M0 | IA |
T1b | N0 | M0 | IA |
T2a | N0 | M0 | IB |
T2b | N0 | M0 | IIA |
T3a | N0 | M0 | IIA |
T3b | N0 | M0 | IIB |
T4a | N0 | M0 | IIB |
T4b | N0 | M0 | IIC |
T0 | N1b, N1c | M0 | IIIB |
T0 | N2b, N2c, N3b or N3c | M0 | IIIC |
T1a/b-T2a | N1a or N2a | M0 | IIIA |
T1a/b-T2a | N1b/c or N2b | M0 | IIIB |
T2b/T3a | N1a-N2b | M0 | IIIB |
T1a-T3a | N2c or N3a/b/c | M0 | IIIC |
T3b/T4a | Any N≥N1 | M0 | IIIC |
T4b | N1a-N2c | M0 | IIIC |
T4b | N3a/b/c | M0 | IIID |
Any T, Tis | Any N | M1 | IV |
치료
- 조기 진단 및 완전 절제술
- 감시림프절생검(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 림프절 침범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암세포가 퍼질 때 처음으로 침범하는 림프절(감시림프절)만을 선택적으로 채취한 후 조직검사를 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
- 감시림프절: 피부 흑색종 병변 주위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여 동위원소가 림프관을 따라가다가 처음으로 축척되는 림프절
- 면역요법 및 항암화학요법
참고자료
- 대한피부과학회. 피부과학 제6판(2014). p807-813
- Gershenwald JE, Scolyer RA, Hess KR, Sondak VK, Long GV, Ross MI, Lazar AJ, Faries MB, Kirkwood JM, McArthur GA, Haydu LE, Eggermont AMM, Flaherty KT, Balch CM, Thompson JF; for members of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Melanoma Expert Panel and the International Melanoma Database and Discovery Platform. Melanoma staging: evidence-based changes in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eighth edition cancer staging manual. CA Cancer J Clin 2017;67:472-492.
- Lee S-J, Lee SJ. Cutaneous melanom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8;61(11):6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