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눈물길의 해부와 기능
눈물길의 구성
- 눈물점(punctum), 눈물소관,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눈물의 이동 경로
생성 | 눈물샘, 덧눈물샘, 결막에서 생성 |
▼ |
|
눈물점(punctum): 눈물길의 입구 | 눈의 안쪽구석에 모여 위아래 눈물점을 통과 |
▼ |
|
눈물소관(canaliculus) | 눈물이 빠져나가는 곳 상, 하 눈물소관(upper & lower canaliculus) → 공통눈물소관(common canaliculus) |
▼ |
|
눈물주머니(lacrimal sac) | 눈물이 모여있는 곳 |
▼ |
|
코눈물관(nasolacrimal duct) | 눈물이 코로 빠져나가는 곳 → 아래콧길(inferior nasal meatus) |
눈물배출 기전
- 눈꺼풀의 눈둘레근이 눈물주머니를 당겨서 눈물배출펌프의 작동에 의해 눈물 배출
- 이 과정에서 눈꺼풀깜박임은 눈물길 내에 음압 형성에 관여하여 눈물배출을 돕는다.
- 눈물주머니 및 코눈물관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결합조직과 수축혈관계인 해면체 역시 눈물의 배출에 관여
눈물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
- 판막눈물길에는 눈물소관에서 눈물주머니, 코눈물관 및 코안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특징적인 굴곡이 있으면서 반경이 좁아지고 점막주름이 있는 해부학적 구조물 존재(판막) → 눈물 역류 방지
- 로센뮐러판막(valve of Rosenmüller)
- 크라우제판막(valve of Krause)
- 하스너판막(valve of Hasner)
- 이 기능이 약화되면 코를 풀 때 공기가 눈물점을 통해 눈으로 나오게 된다.
- 눈물길막힘이 흔하게 발생하는 위치
눈물주머니염증(dacryocystitis)
- 눈물 주머니염증은 신생아에서 발병하는 선천코눈물막힘 또는 40세 이후의 여성에 많이 발생하는 원발성 후천코눈물막힘 환자에서 눈물주머니에 눈물이 정체되면서 감염이 발생한다.
| 급성 눈물주머니염증 | 만성 눈물주머니염증 |
증상 |
|
|
원인균 |
|
|
치료 |
|
|
코눈물관 막힘
- 선천코눈물관막힘과 후천코눈물관막힘으로 구분한다.
| 선천코눈물관막힘 | 후천코눈물관막힘 |
개요 |
|
|
원인 |
|
|
증상 |
|
|
치료 |
|
|
참고자료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년), p11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