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건성안
정의
원인
눈물이 부족한 경우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한 경우
진단
치료
건성안을 유발하는 약제
쇼그렌증후군
특징
증상
진단
세극등검사
결막의 찰과표본
쉬르머검사
눈물막파괴시간
건성안
정의
- 눈물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이 너무 과도하게 증발하여 노출된 눈꺼풀틈새 내의 안구 표면이 손 상되고 눈의 불쾌감, 이물감, 건조감 같은 자극 증상을 일으키는 눈물막의 질환을 총칭
원인
눈물이 부족한 경우
- 노화 현상으로 인한 눈물 분비의 감소, 쇼그렌 증후군, Stevens-Johnson 증후군 등
눈물막이 과도하게 증발한 경우
- 눈꺼풀염, 마이봄샘염, 눈깜빡임장애 등
진단
- 병력, 임상검사, 검사실 검사를 이용한다.
- 세극등검사: 각결막의 건조 상태, 눈물띠의 높이와 부유물, 점액가닥, 각막실모양체의 관찰로 진단
- 쉬르머검사와 눈물막 파괴시간 측정, 로즈벵갈 염색 상태 등을 관찰
- 검사실검사: 결막의 찰과 표본에서 술잔세포의 수를 측정하거나 락토페린 효소를 측정(건성안에서는 감소)
치료
• 증상의 정도에 따라 인공 눈물을 사용하거나 원인 질환을 치료
• 각막이 손상될 정도로 심한 경우: 눈물점(lacrimal puntum)을 막아 눈물 배출을 차단
• 가습기를 사용해 건조한 상태를 피하며 특수 안경을 착용하여 눈물의 증발을 막는 것이 바람직
건성안을 유발하는 약제
- Antihistamines
- Antidepressants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tricyclic antidepressant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 Anticholinergics
- Diuretics (thiazides, carbonic anhydrase inhibitors, potassium-sparing)
-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Oral Contraceptives (estrogen, progestin, estrogen/progestin)
- Narcotics (opioids)
- Antiparkinsonian agents (dopamine agonists, anticholinergics, selective monoamine oxidase B inhibitors)
- Beta-blockers
- Antipsychotics (phenothiazines)
- Anxiolytics (benzodiazepines)
쇼그렌증후군
특징
- 건성각결막염, 반복적인 침샘의 종, 입안마름증(xerostomia)과 류마티스관절염 등이 나타나는 자가면역질환. 중년 이후 여성에게 호발
증상
- 눈의 건조감. 그 밖에 눈부심(photophobia), 이물감(foreign body sensation), 작열감(burning sensation) 등을 호소함
- 대개 증상이 심하지는 않으며 육안으로 볼 때 이상소견도 별로 없는 것이 특징
진단
세극등검사
- 아래눈꺼풀테에 눈물띠가 전혀 없거나 군데군데 소실(가장 특징적인 소견)
결막의 찰과표본
- 술잔세포들 감소
쉬르머검사
- 눈물분비 감소
눈물막파괴시간
- 짧아짐
참고자료
- William Yao et al. Dry Eye Syndrome: An Update in Office Manage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 124, No 11, November 2011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년), p11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