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결막염의 증상
자각증상
타각증상
결막염의 원인
세균(bacteria)
클라미디아(chlamydia)
바이러스(virus)
진균(fungus)
기생충(parasite
알레르기
화학제품
세균결막염
바이러스 각결막염 (viral keratoconjunctivitis)
유행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
원인
증상
치료
급성 출혈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아폴로눈병)
원인
증상
치료
단순 포진 결막염(herpes simplex conjunctivitis)
세균 결막염: 클라미디아결막염
트라코마
봉입체결막염(inclusion conjunctivitis)
임상증상
치료
진균 각결막염(Fungal keratoconjunctivitis)
진균성 각결막염(눈진균증)
결막의 면역질환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seasonal allergic conjunctivitis, SAC)
개요
진단
치료
봄철각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개요
증상
치료
아토피 각결막염
거대유두 각결막염
결막염의 증상
우선 결막염의 여러 증상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자각증상
- 통증(할퀴거나 타는 듯한 증상), 가려움증(알레르기결막염이 있을 때 현저), 이물감, 충혈/부기(결막혈관 확장 및 삼출액), 눈곱
타각증상
결막충혈 |
|
분비물 |
|
결막부종 |
|
거짓눈꺼풀처짐 |
|
결막밑출혈 |
|
유두비대 |
|
여포 |
|
거짓막 |
|
귀바퀴앞림프절병증 |
(cf. 세균결막염에서는 귓바퀴 앞림프절 병증이 드묾) |
결막염의 원인
- 결막염은 원인 병원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세균(bacteria)
- 포도알균staphylococcus, 나이세리아Neisseria(임균, 수막염균), 폐렴사슬알균Pneumococcus, 사슬알균Streprococcus,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 헤모필루스에집티우스 Haemophilus aegyptius, 모락셀라라쿠나타Moraxella lacunata, 대장균Escherichia coli, 디프테리아균Diphtheria, 리케차(rickettsia), 발진티푸스(typhus)
클라미디아(chlamydia)
-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클라미디아Chlamydia oculogenitalis, 클라미디아림포그라눌로마티스Chlamydia lymphogranulomatis, 앵무병클라미디아Chlamydia psittaci
바이러스(virus)
-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장내바이러스 제70형enterovirus type 70, 콕사키바이러스coxackie virus A24형, 전염성 연속종바이러스molluscum contagiosum virus,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ter virus,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
진균(fungus)
- 칸디다Candida, 리노스포리듐Rhinosporidium, 콕시디오이데스Coccidioides, 스포로트리쿰Sporotrichum,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기생충(parasite
- 회선사상충Onchocerca,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 회충Ascaris, 사면발이Phthirus pubis, 갈고리촌충Taenia solium,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모낭충Demodex
알레르기
- 꽃가루, 풀, 동물의 털, 먼지 등
화학제품
- 동공수축제, IDU(indoxuridine), 산성 · 알칼리성 물질, 연기, 자외선, 대기 중 미세먼지 등
세균결막염
- 가장 흔한 안과 질환 중 하나로 보통 급성이지만 만성으로 이행
- 대부분 자연치유되며 2주 정도 지속하기도 하지만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하면 며칠 내 치유
- 임상증상: 이물감, 충혈, 눈꺼풀의 화농성 삼출물, 부종 등
- 세균결막염은 원인균에 따른 분류보다는 임상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과급성 세균결막염 | 임균, 수막알균 등 |
급성 세균결막염 | Hemophilus aegyptius |
만성 세균결막염 | 보통 포도알균 |
거짓막결막염/막결막염 | 주로 디프테리아균과 사슬알균이 원인 |
구석 눈꺼풀결막염 | 모락셀라 라쿠나타(moraxella lacunata)균과 포도알균 |
| 급성 세균각결막염 | 과급성 세균각결막염 | 만성 세균각결막염 |
원인 |
|
|
|
증상 |
|
|
|
치료 |
|
|
|
바이러스 각결막염 (viral keratoconjunctivitis)
유행각결막염(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EKC)
원인
- 아데노바이러스 8형, 19형
증상
- 충혈, 동통, 눈물, 눈부심
- 보통 양쪽 눈에 발병하는데, 한쪽 눈에만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 양쪽 눈에 발병한 경우 대개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 발병 초기: 충혈, 중등도의 통증, 눈물과다
- 결막염 발생 후 5~14일 사이에 눈부심 호소(50%)
- 이는 각막 중심부에 이차적으로 생긴 상피각막염 때문
- 각막의 지각에는 이상(-)
- 원형의 각막상피 밑 혼탁은 수 개월 또는 수 년간 지속가능, 대개는 각막에 흉터를 남기지 않고 치유된다
- 귓바퀴앞림프절 비대
- 심한 경우: 결막 거짓막, 치유 후 결막에 흉터나 결막붙음증을 남기기도 함
- 대개 3~4주 동안 지속, 발병 후 2주까지 전염성 지속
-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 어른(눈에 국한), 어린이(전신증상: 고열, 인후통, 설사 등)
치료
- 2차 세균감염 예방을 위해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치료법이 없다.
- 상피각막염 증세가 있을 때는 스테로이드 제제 점안액을 사용
- 전염성이 강하여 치료보다는 전염의 예방이 더 중요
급성 출혈결막염(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아폴로눈병)
원인
- 장 내 바이러스 제70형, 간혹 콕사키바이러스 A24형
증상
- 아프리카의 가나에서 처음 확인(1969년)된 질환으로 발생 시기가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시기와 일치해서 아폴로눈병이라고도 부른다.
- 특징: 짧은 잠복기(8~48시간)와 경과기간(5~7일)
- 자각증상(갑작스러운 통증, 이물감, 눈부심, 다량의 눈물 흘림), 타각증상(결막 충혈, 눈꺼 풀 부기, 결막 밑 충혈, 결막여포를 볼 수 있고 때로는 결막부종)
- 상피각막염 발생 가능, 귓바퀴앞 림프절병증(대부분의 환자) → EKC와 동일, 잠복기로 감별
- 열, 무력감, 전신근육통(환자의 25%)
치료
-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으며 전염 예방에 주력해야 한다.
- 직접, 간접 접촉으로 옮겨지므로 병원 내 전염도 조심해야 한다.
단순 포진 결막염(herpes simplex conjunctivitis)
- 원인 : 제1형 HSV에 대한 일차감염 – 주로 소아에 발생
- 증상 : 눈꺼풀에 포진성 물집, 결막에 여포와 거짓막을 형성
- 경과 : 결막염은 2-3주간 지속
- 치료 : 항바이러스 제제
| 유행성 각결막염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 급성 출혈성 결막염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 단순 포진 결막염 (herpes simplex conjunctivitis) |
원인 |
|
|
|
증상 |
![]() |
|
|
치료 |
|
|
|
세균 결막염: 클라미디아결막염
트라코마
-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로 인한 만성 결막염
봉입체결막염(inclusion conjunctivitis)
- 봉입체결막염은 흔히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젊은 남녀의 양쪽 눈에 발생
- 원인: Chlamydia oculogenitalis
- 감염 경로: 비뇨생식기와 손을 통해 감염되며 감염된 산도(자궁경부)를 통해 분만된 아기에게 발생하거나 불완전하게 소독 처리된 수영장에서 수영한 사람에게도 발생 가능
임상증상
- 양쪽 눈에 급성 또는 아급성 점액화농성결막염 증상을 보임
- 신생아: 심한 경우 거짓막 발생, 결막흉터 가능
- 성인: 거짓막(-), 결막흉터(-)
- 여포 발생: 아래눈꺼풀결막과 결막 구석부에 나타나고 심한 경우 위눈꺼풀결막과 각막 가장자리에서도 발생(생후 2~3개월 신생아: 결막기질에 아데노이드층이 없기 때문에 여포가 형성되지 않음)
- 귓바퀴앞림프절병증도 흔함
치료
- 어린이: 1% 테트라사이클린, 1% 에리트로마이신 눈연고, 술폰아미드 점안액: 하루 5~6회씩 14일 동안 사용
- 성인: 테트라사이클린/에리트로마이신 250-500 mg 하루 4번씩 또는 독시사이클린 100 mg 하루 2번씩: 3주 동안 경구 투여
- 환자의 배우자도 같은 결막염의 감염 여부 확인 위한 검사 필요
진균 각결막염(Fungal keratoconjunctivitis)
진균성 각결막염(눈진균증)
- 원인: Aspergillus, Candida, Fusarium
- 위험인자: 외상(절반 이상), 면역저하
- 호발: 성인 > 소아
- 증세: 회황색 원형 침윤, 각막내피반, 위상병소
- 진단: 찰과표본에서 hyphae/yeast form 발견
- 치료: 항진균제(수용성 암포테리신 점안, 니스타틴 연고)
결막의 면역질환
계절성 알레르기 결막염(seasonal allergic conjunctivitis, SAC)
개요
- 건초열 결막염(hay fever conjunctivitis)
- 대개 꽃가루, 풀, 동물성 털 등에 대한 알레르기의 병력을 가진 사람에게서 발현
- 보통 건초열 증상(알레르기비염)과 함께 가벼운 비특이성 결막염 발생
- 원인이 되는 항원을 제거하지 않으면 쉽게 재발하나, 나이가 들면서 발작 횟수나 증상의 정도 감소
진단
- 증상: 갑자기 가렵고 눈물이 많이 나며 약간 눈이 붉어진다.
- 결막부종으로 인해 눈이 눈 주위 조직 속으로 빠져 들어간다고 호소
- 신체검사
- 결막: 여포(-), 약간의 충혈, 유두비대, 심한 결막 부종(급성 발작시), 끈끈한 점액성 분비물 (눈을 비빌 때)
- 결막 찰과 표본: 약간의 호산구 발견
치료
냉찜질: 심한 가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됨
혈관수축제: 점안 시 결막 부종과 증상이 호전
항히스타민제: 경구 또는 국소 투여
비만세포안정제[크로몰린(cromolyn) 제제]: 만성적인 경우 점안
봄철각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개요
- 우리나라에서 자주 발견되는 결막염, 봄과 여름에 양쪽 눈에 발병
- 보통 사춘기 전에 발병하기 시작, 5~10년간 지속
증상
- 심한 가려움, 끈끈하고 실 같은 점액성 분비물
- 결막(우윳빛), 거대유두(giant pailla)[주로 위눈꺼풀결막], 작은 유두[아래눈꺼풀막]
치료
- 대증요법으로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치료한다.
- 스테로이드 제제(국소 또는 전신적): 가려움증을 호전시키나 단기간 사용해야 한다.
- 혈관 수축제의 점안과 냉압법도 효과가 있다.
- 예방목적으로 2% 크모몰린나트륨(cromolyn sodium)의 국소 점안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 자주 재발하거나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 추운 지방으로의 이주도 치료의 한 방법
- 이주가 힘든 경우: 바람 부는 곳을 회피하거나, 안경 등으로 항원의 접촉을 줄임, 서늘한 장소에서 생활
아토피 각결막염
- 병인 : 1형, 4형 과민반응
- 역학 : 20~40세 호발, 40세 이후 병세 다소 약화
- 경과 : 만성 아토피피부염, 비염 등 동반, 만성 경과
- 예후 : 치료 어려움, 비교적 좋지않은 예후 (반복되는 각막염 -> 주변부 표층각막염 -> 각막신생혈관 → 각막혼탁, 실명가능성)
- 치료 :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점안
거대유두 각결막염
- 원인 : 콘택트렌즈, 의안 착용시 발생
- 증상 : 가려움, 점성분비물, 충혈, 거짓안검하수
상안검결막에 중등도-거대유두(지름 1-2mm) 발생
- 치료 : 원인물질 제거가 중요 – 컨택트렌즈 재질바꾸기, 삼가기
| 계절/비계절 알레르기 각결막염 | 봄철 각결막염 | 아토피 각결막염 | 거대유두 각결막염 |
병인 |
|
|
|
|
증상 |
|
|
|
|
치료 |
|
|
|
|
참고자료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년). p134-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