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의
과거의 정의 | → | 새로운 정의 |
정상보다 높은 안압(21 mmHg) 때문에 시신경손상과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질환 |
| 최근 녹내장성 시신경손상의 원인으로 높은 안압 이외의 다른 여러 요소들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시신경의 특징적인 변화와 이에 따른 시야장애가 초래되는 진행성 시신경병증 (progressive optic neuropathy)으로 정의되고 있다. |
진단
- 조기 진단이 중요- 일찍 발견해서 치료할수록 시각기능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
- 다음과 같은 소견이 있을 때는 녹내장을 의심해야 한다.
- 안압이 21 mmHg 이상일 때
- 안압이 상승하지 않았어도 두 눈의 안압 차이가 5 mmHg 이상일 때
- 유두함몰비(cup-disc, C/D비)가 0.6 이상일 때
- 두 눈의 C/D비 차이가 0.2 이상일 때
- 녹내장 가족력이 있을 때
- 급성 녹내장의 증상이 있을 때
안압 측정
- 정상 안압: 10~21 mmHg (평균 15 mmHg), 두 눈의 차이 3 mmHg 이하
시신경유두검사
- 검안경검사
- 시야 변화가 나타나기 전에 녹내장성 시신경유무함몰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
- 녹내장성 유두함몰 시 나타나는 소견
- C/D비가 0.6 이상
- C/D비의 두 눈 차이가 0.2 이상
- 수직난원형함몰(vertical oval cup)
- 부분 또는 전체 유두주위위축(partial or complete peripapillary atrophy)
- 시신경테패임과 시신경유두출혈이 있을 때
- 영상분석
- 시야측정
- 녹내장의 진단, 예후, 치료에 필수적인 검사
- 녹내장이 의심스러울 때는 항상 시야검사를 시행할 것
- 녹내장성 시야 결손
- 시신경유두의 손상 때문에 발생
- 특징적인 시야 결손 - 시신경유두로 이어지는 시신경섬유의 주행이 일정하기 때문
- 초기 시야 결손: 주시점 주위 시야의 결손과 코쪽 시야 결손(시신경유두에서 가장 먼저 손상 되는 부위가 위·아래쪽으로, 이곳으로 들어오는 시신경섬유들에 해당)
- 녹내장성 시야 결손의 종류
- 중심부근암점(central scotoma)
- 코쪽계단(nasal step)
- 활모양암점(arcuate scotoma)
- 부채꼴 시야결손(sector shaped scotoma)
개방각 녹내장
치료
- β-blocker (timolol maleate)
- pilocarpine
- epinephrine
- carbonyl anhydrase inhibitor
- α2흥분제(apraclonidine hydrochloride)
-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
폐쇄각녹내장
증상
급성 발작이 일어나기 전 | 급성 발작 증상① |
|
|
① 증상에 대한 오해로 내과나 신경외과를 찾다가 치료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음
치료
급성기 치료: 응급치료 필요
- 필로카르핀(pilocarpine) 2%: 30분 동안 2~3회 정도 한 방울씩 투여
- 동공조임근이 동공수축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 만니톨(mannitol) 20% 정맥주사 혹은 글리세롤(glycerol) 1 mL/kg을 오렌지주스나 생리식 염수에 섞어 50% 용액을 만들어서 경구 투여
- 아세타졸아미드(acetazolamide) 50 mg 경구 투여 후 250 mg을 6시간마다 투여
응급치료로 안압이 조절된 후 → 앞방각경검사 시행
- 주변홍채앞유착이 적은 경우 → 레이저홍채절제술
- 주변홍채앞유착이 심한 경우 → 섬유주절제술
참고자료
- 안과학 제11판(2017년). p275-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