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굴절과 조절
굴절 (Refraction)
- 눈물층과 각막에서 굴절 à 방수 통과 à 수정체에서 굴절 à 유리체 통과 à 망막에 맺힘
- 굴절의 결정 요인 : 안구면의 곡률반경, 각 매체간 굴절률 차이, 안축장
- 굴절 이상 : 근시/원시/난시, 굴절부등, 수정체없음증
- 굴절검사 후 안경, 콘택트렌즈, 굴절교정수술(라식, 라섹 등), 인공수정체 수술 등
조절 (Accomodation)
-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볼 때 수정체의 굴절력을 증가시켜 조절
- 조절 이상 : 노안(Presbyopia) – 노화로 인한 수정체 탄력성 감퇴로 조절력이 계속 감소
- 40세 이후로 주로 근거리(약 25~30cm 전방) 작업에 장애가 생김
- 정시 – 근거리 시력 저하/ 근시 – 안경을 벗거나 도수를 낮출 때 보상 / 원시 – 노안을 더 빨리 느낌
- 원시(굴절 이상) vs 노안(조절 이상) – 둘 다 볼록렌즈 안경을 처방
노안과 원시의 차이점

노안
정의
-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성이 감퇴하여 조절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근거리(약 25~30 cm) 작업에 장애가 생긴 눈
- 정시: 40대부터 근거리 시력 감소
- 근시: 원거리 교정 안경을 벗거나 도수를 낮춤으로써 노안 보상 가능
- 원시: 조절력 감퇴로 인해 근점이 더 멀어지게 되어 노안 현상을 정시나 근시보다 빨리 느끼게 됨
노안과 원시
|
치료
- 원거리 교정렌즈가 필요 없는 정시 환자: 돋보기용 안경 별도 처방
- 교정안경이 있는 비정시 환자: 하나의 안경으로 원거리와 근거리를 모두 잘 볼 수 있게 하는 이중 초점렌즈(bifocal lens)나 다초점렌즈(multifocal lens)를 처방
참고자료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년). p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