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경 질환


목차

시신경(optic nerve)에 대한 이해

  • 시신경은 망막의 신경절세포(ganglion cell) 에서 시작하는 약 120만 개의 축삭(axon)으로 구성
  • 시자극을 대뇌로 전달
  • 눈 속(intraocular), 안와 내(intraorbital), 시신경관 내(intracanalicular) 두개 내(intracranial) 부위로 구분
  • 시신경은 중주신경계의 일부로서 손상되면 재생되기 어렵다.

 

시신경병증의 공통증상 또는 징후

  1. 시력 저하
  2. 색각 이상
  3. 동공 이상
  4. 시야 이상

 

시신경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평가

  • 시력검사, 시야검사
  • 빛에 대한 동공반응검사(직접 ㆍ간접대광반사)
  • 검안경을 이용한 안저검사(시신경유두의 경계, 색, 크기, 혈관, 생리적 함몰)
  • 색각검사(하디-란트-리틀러(Hardy-Rand- Rittler; HRR 검사, 100색상검사(100 hue test 등))
  • 대비감도검사
  • 두눈 빛밝기 비교검사
  • 빛간섭 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시유발전위(visual evoked potential; VEP검사) 

 

시신경(및 시각경로) 이상의 원인

  1. 신경계 자체의 염증 → Optic neuritis
  2. 허혈 → Non-arteritic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3. 뇌압상승 → Papilledema
  4. 압박 → Pituitary adenoma, Thyroid ophthalmopathy 
  5. 침윤
  6. 감염 → Neuroretinitis
  7. 중독, 영양결핍
  8. 선천이상
  9. 유전 
  10. 종양

※ 시신경위축 (Optic atrophy) : 여러 가지 질환의 결과로 시신경의 퇴행성 변화가 동반되면서 시야 및 시력에 장애를 일으키는 상태

 

 

 

시신경염(Optic neuritis)

  • 시신경의 탈수초 질환
  • 호발 연령: 20세〜50세 여자 호발
  • 시신경염과 연관된 질환
    1. 다발경화증(multiple sclerosis)
    2.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3. 광범위축삭주위뇌염(encephalitis periaxialis diffusa)=실더병(Schilder disease)

 

진단

임상 양상

  1. 갑작스러운 색각이상, 중심시야의 결손과 시력의 감퇴
  2. 눈을 움직일 때 안통 , 주로 한 눈(양측성 20%)
  3. 섬광 시
  4. 시력감소: 몇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발생. 경미한 시력감소에서 빛인지불능까지 다양. 2주 정도 시력악화 이후 서서히 호전 
  5. 색각장애: 전반적으로 색각이 떨어지는 양상
  6. 시야 변화: 중심암정, 중심부근암점, 주시점맹전암정, 활모양암점, 주변부 협착
  7. 90%에서 자연호전, 하지만 다발경화증(multiple sclerosis),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등에 동반된 경우 예후↓

Cf. 어린이의 시신경염에서는 양쪽 눈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발열 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함

 

진단 검사

  1. 시력 : 1.0부터 광각무까지 다양 
  2. 안저소견
    • 시신경 정상 또는 경도 부종
    • 시신경유두 주위에 출혈이 있거나 망막정맥이 확장되기도 함
    • 유두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유두 부위가 융기되어 있는 소견
    • 안저소견이 정상일 수도 있음

이미지이미지

3. Orbit MRI : 시신경 조영 증강 

 

치료

  1. 경과관찰: 대부분의 경우 시력은 정상 또는 거의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고 재발하기도 함
  2. 스테로이드제제
    1. 경구투여: 시력예후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했고 오히려 시신경염의 재발률↑
    2. 정맥 내 투여: 시력회복기간을 앞당겨 줌

따라서 시신경염은 치료를 하지 않거나, 치료하는 경우에는 정맥 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하게 됩니다. 경구투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참고자료

  • 대한안과학회. 안과학 제11판(2017). P343-352
  • Chen JJ, Pittock SJ, Flanagan EP, Lennon VA, Bhatti MT. Optic neuritis in the era of biomarkers. Surv Ophthalmol 2020;65(1):12–7.
  • Toosy AT, Mason DF, Miller DH. Optic neuritis. Lancet Neurol 2014;13(1):83–99.
  • Mackay DD. Should patients with optic neuritis be treated with steroids? Curr Opin Ophthalmol 2015;26(6):439–44.
  • Jenkins TM, Toosy AT. Optic neuritis: the eye as a window to the brain. Curr Opin Neurol 2017;30(1):61–6.
  • Abel A, McClelland C, Lee MS. Critical review: Typical and atypical optic neuritis. Surv Ophthalmol 2019;64(6):770–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