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경(Otoscope) 사용법
이경의 선택
자세
검사 방법
정상 고막 소견
제(umbo)
추골병(handle of malleus)
추골 단돌기(short process of malleus)
긴장부(pars tensa)
이완부(pars flaccid)
고막 관찰법
이경(Otoscope) 사용법
이경의 선택
- 이경은 외이도를 확대시키고 수평이 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외이도에 들어갈 수 있는 것 중 가장 큰 것으로 선택한다.
자세
- 환자를 진료 의자에 앉힌 후 환자의 머리를 검사자보다 조금 낮게 하고 환자의 머리를 뒤로 약간 제친 후 필요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관찰한다.
검사 방법
- 외이도를 일직선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
성인 | 유소아 |
|
|
- 이경을 넣을 때나 고정시킬 때는 왼손으로만 하고 오른손은 여러 조작을 해야 함
우측귀 검사 | 좌측귀 검사 |
|
|
- 이경이 골성 외이도에 닿으면 동통 호소하므로 연골성 외이도까지만 조심해서 넣어야 함
- 전자식 이경은 휴대 광원과 확대경을 함께 갖추고 있어 광원을 얻기 힘든 때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양손을 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정상 고막 소견
- 정상 고막 색상 : 진주빛 나는 회백색
- 추골 단돌기, 추골병, 광추(Cone of light) 등이 고막 관찰에 도움 준다.
제(umbo)
- 가장 많이 함몰된 중심부
추골병(handle of malleus)
- 고막 상부에서 약간 후하방으로 고막 안쪽에 부착
- 고막을 통하여 비치어 볼 수 있다.
추골 단돌기(short process of malleus)
- 추골병의 상부 전방에 있는 백색 돌기
긴장부(pars tensa)
- 고막의 대부분을 차지
이완부(pars flaccid)
- 추골추벽(malleolar fold) 상부에 위치
- 긴장부보다 얇게 보인다.
고막 관찰법
- 고막 임상소견 표시 위한 위치 구분 : 추골병(handle of malleus)에 선 긋고 이 선과 직각으로 제(umbo)를 가로지르는 선 그어 전상부, 전하부, 후상부, 후하부 4개 부분으로 구분

- 고막 전 하부에 위치한 광추 찾고 이곳에서 제(umbo) 찾은 후 전상방으로 추골병 따라 올라가면 추골단돌기 나타남. 이와 같이 고막 확인 후 이경 조심스럽게 돌리면서 고막의 이완부(Pars flaccid) 특히 그 상연의 병변 여부 자세히 관찰해야 하며 고막 가장자리에 위치한 건륜(annulus)을 따라 고막의 변연성 천공 여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