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비부비동염의 분류 및 정의
다른 의미로 진단기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부비동염의 유형별 정의: 급성 비부비동염
급성 비부비동염 유형 | 정의 |
급성 비부비동염(Acute rhinosinusitis) |
|
바이러스 비부비동염(Viral rhinosinusitis) |
|
급성 세균 비부비동염(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 |
|
비부비동염의 유형별 정의: 만성/재발성 비부비동염
만성/재발성 비부비동염 유형 | 정의 |
만성 비부비동염(Chronic Rhinosinusitis) |
|
재발성 급성 비부비동염(Recurrent acute rhinosinusitis) |
|
진단
※ 임상에서 고민되는 것은 다음 2가지 이다.
- 감기나 알레르기 비염인가? 아니면 급성 비부비동염인가?
- 급성 비부비동염이라면 바이러스성인가? 세균성인가?
비부비동염의 진단기준
major symptoms | minor symptoms |
purulent anterior nasal discharge purulent or discolored posterior nasal discharge nasal congestion or obstruction facial congestion or fullness facial pain or pressure hyposmia or anosmia fever(for acute sinusitis only) | headache ear pain, pressure, or fullness halitosis dental pain cough fever fatigue |
치료
- ABRS을 포함해서 성인 급성 부비동염의 약 85%는 항생제 치료없이 7-15일 이내에 증상이 호전된다고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을 임상적으로 감별하기 어렵기 때문
- ABRS의 일부에서 심각한 합병증(세균 뇌수막염, 뇌농양, 안구 주위 조직 감염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
- 만성 부비동 질환과의 연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
- 어떤 항생제를 선택할 것인가? 1차 항생제: amoxicillin(±clavulanate)
항생제 | 용법 | |
선호되는 항생제 | amoxicillin | 500-875mg bid |
amoxicillin/clavulanate | (amoxicillin 기준) 500mg bid or 875mg bid | |
대체 항생제
| cefpodoxime proxetil | 200mg bid |
cefdinir | 300mg bid or 600mg qd | |
cefuroxime | 250-500mg bid | |
levofloxacin | 500mg qd | |
moxifloxacin | 400mg qd |
참고자료
- Chow AW, Benninger MS, Brook I, et al. IDS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acute bacterial rhinosinusitis in children and adults. Clin Infect Dis 2012;54(8):e72–112.
- Rosenfeld RM, Piccirillo JF, Chandrasekhar SS,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update): adult sinusit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5;152(2 Suppl):S1–39.
추가로 참고한 reference
- 질병관리본부.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