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 질환


목차

성대 결절(vocal nodule)

역학 및 원인 

  •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발생 
  • 6~7세 경의 남아 혹은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 교사 등에서 호발 

 

진단 

  • 증상: 음성 남용이나 상기도 감염 후 애성이 자주 재발 
  • 신체검사 및 진단검사 
    • 발성 시 마찰이 가장 많은 부위인 막성 성대의 중간지점에 넓은 기저부를 가진 하얗고 두꺼워 진 성대 점막이 관찰된다. 
    • 성대낭의 감별 필요(성대낭: 주로 편측성,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상에서 성대 진동이 중단) 

 

치료 

  • 소아의 성대 결절: 음성 치료 효과 우수, 원칙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후두유두종(laryngeal papilloma) 

  • 후두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 발생 연령에 따라 소아형(juvenile type)과 성인형(adult type)으로 분류 
  • 병리 조직학적: 양성 종양, 임상적: 악성(병변 위치, 다발성, 높은 재발률과 치료의 어려움 때문) 

 

임상양상 

  •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 소아에서 호발

소아형 

성인형 

  • 대부분 5세 이하에서 발생 
  • 애성이 가장 흔한 초기 증상으로 다발성으로 발생 
  • 크기가 크고 성장 속도가 빨라 기도폐쇄, 호흡곤란 등을 야기 재발이 흔치 않지만 자연 소멸되는 경우가 드묾 
  • 치료를 하더라도 자주 재발하고, 저절로 퇴화하는 경향 
  • 소아에 비하여 단발성 
  • 크기가 크지 않아 호흡곤란보다는 애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음 

 

진단 

  • (병력)점점 심해지는 애성/천명 + (후두내시경검사)유두종 확인 → 진단가능 
  •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음

 

치료 

  • 어떤 치료도 성공적이지 못함 
  • 수술이 주된 치료임 
    • CO₂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 미세수술, microdebrider를 이용한 미세수술 
    • 수술적 제거 후 성인형의 40%, 소아형의 80%에서 재발 

 

 

 

후두암(laryngeal cancer)

개요

역학

  • 두경부 종양 중 가장 흔한 암(전체 두경부암의 약 1/3) 2017년 국내 전체 발생암 중 0.5%
  • 호발연령: 50〜70대 (2017년: 60대(33.5%) > 70대(29.9%) > 50대(21.6%)
  • 남:여: 15:1 (대부분 담배를 피우는 남자에게서 발생하고 여자에서는 매우 드묾)

 

위험인자

후두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두경부암은 호흡이나 음식 섭취와 관련된 해부학적 파이프(상부 기도소화관) 내부를 싸고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합니다. 이 부위에 가해지는 담배, 심한 음주 등의 유해자극에 의해 상피세포가 암화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1. 흡연: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2. 음주
  3. 영양: 영양부족, 비타민 부족
  4. 직업적 요인: 석면 노출

 

종류

조직학적 분류

  • 편평상피암(m/c): 후두암의 대부분을 차지(95-98%)
  • 육종, 선암, 신경내분비 종양 등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 후두의 중앙에 위치한 성문부를 기준으로 성문상부암(supraglottic), 성문암(glottic), 성문하부암(subglottic)으로 구분
  • 경성문암(transglottic): 위 3가지 영역 중 둘 이상에 걸쳐있는 경우

이미지

 

발생부위

발생빈도

증상

림프절전이

예후

성문상부암(supraglottic)

35-40%

이물감 통증

흔하다

보통

성문암(glottic)

60-65%

쉰목소리

드물다

좋다

성문하부암(subglottic)

< 1%

호흡곤란

흔하다

나쁘다

 

임상증상

  • 쉰목소리(애성): 후두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
    1. 부위별 양상: ① 성문암 -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 ② 성문상부암, 성문하부암: 늦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임(성대근이나 피열연골 등을 침범한 뒤에야 음성변화 발생). 이 부위에서는 인후두 불편감 등이 초기에 나타남
      • 40세 이상의 흡연남성에서 특별한 원인 없이 쉰목소리가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후두암을 강력히 의심힐 것!!
  • 인후두의 막연한 불편감, 삼킴 시 이물감, 목에 만져지는 혹, 목 이물감, 삼킴곤란, 통증

다른 증상 없이 목에서 혹이 단단하게 만져지는 경우가 후두암에서 나타나는 최초의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 기침, 호흡곤란, 쌕쌕거림, 객혈, 체중감소, 입냄새

 

진단

  • 후두 내시경 검사
  • 신체검사: 경부 진찰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경부 림프절 전이 여부 파악)
  • 조직검사(확진검사): 대부분 전신마취하에서 현수후두경검사(suspension laryngoscopy)와 함께 시행
  • CT, PET-CT: 원발병변, 경부전이, 원격전이 평가

 

치료 

치료방법

  1. 수술적 치료
    1. 경구강 레이저 후두 절제술(Transoral Laser Surgery)
    2. 후두부분절제술(partial laryngectomy): 후두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병변 부위를 절제하는 경우(→ 후두보존 술식)

      Vertical partial laryngectomy

      • Cordectomy (transoral CO2 laser, laryngofissure)
      • Frontal partial laryngectomy
      • Lateral partial laryngectomy
      • Frontolateral partial laryngectomy

      Horizontal partial laryngectomy

      • Epiglottectomy
      •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Extensive partial laryngectomy

      • Supracricoid partial laryngectomy
    3. 후두전절제술 (total laryngectomy)
      = 국소적으로 진행한 후두암에 대하여 기능 보존을 위한 다양한 수술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최근 들어 다양한 내시경적 수술기법과 방사선, 항암 치료 등으로 그 수술빈도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 초기암: 단독요법으로 시행 / 국소진행암: 병용치료 - 수술 + RT or CTx + RT(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특수방사선 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IMRT), 토모치료, 양성자치료 등
  3. 항암치료: 주로 방사선치료와 더불어 concurrent chemoradiotherapy로 시행

방사선 치료와 수술요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음성 및 연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방사선 치료나 레이저 후두절제술이 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진행상태에 따른 치료원칙

  1. 초기(stage 1, 2) : 수술(후두보존수술, 레이저수술) 혹은 방사선치료 단독치료
  2. 진행(stage 3, 4): 독요법보다는 병용요법 시행: 수술+방사선치료 or CTx+RT(concurrent chemoradiotherapy)

후두의 중요한 기능인 목소리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발견을 하여 최대한 후두기능을 보존하는 치료를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학 2009년 2권-4편(두경부외과)-1장 p1689-1719
  • Joo YH, Sun DI, Kim CS, Cho KJ, Cho SH, Kim MS. The Role of Conservation Laryngeal Surgery in Locally Advanced Laryngeal Cancer.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0(10):924–8.
  • Obid R, Redlich M, Tomeh C.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19;31(1):1–11.
  • Tomeh C, Holsinger FC. Laryngeal cancer.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2):147–53.
  • Salvador-Coloma C, Cohen EEW. Multidisciplinary Care of Laryngeal Cancer. Journal of oncology practice 2016;12(8):717–24.
  • Kim KH. Advanced Laryngeal Cancer: Surgical and Non-surgical Management Options.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3):204–9.
  • Lee KD, Kim SW. Transoral Laser Surgery for Laryngeal Cancer.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3):210–9.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