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대 결절(vocal nodule)
역학 및 원인
진단
치료
후두유두종(laryngeal papilloma)
임상양상
진단
치료
후두암(laryngeal cancer)
개요
역학
위험인자
종류
조직학적 분류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임상증상
진단
치료
치료방법
진행상태에 따른 치료원칙
성대 결절(vocal nodule)
역학 및 원인
-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발생
- 6~7세 경의 남아 혹은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 교사 등에서 호발
진단
- 증상: 음성 남용이나 상기도 감염 후 애성이 자주 재발
- 신체검사 및 진단검사
- 발성 시 마찰이 가장 많은 부위인 막성 성대의 중간지점에 넓은 기저부를 가진 하얗고 두꺼워 진 성대 점막이 관찰된다.
- 성대낭의 감별 필요(성대낭: 주로 편측성, 후두 스트로보스코피 상에서 성대 진동이 중단)
치료
- 소아의 성대 결절: 음성 치료 효과 우수, 원칙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음
후두유두종(laryngeal papilloma)
- 후두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 발생 연령에 따라 소아형(juvenile type)과 성인형(adult type)으로 분류
- 병리 조직학적: 양성 종양, 임상적: 악성(병변 위치, 다발성, 높은 재발률과 치료의 어려움 때문)
임상양상
-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 소아에서 호발
소아형 | 성인형 |
|
|
진단
- (병력)점점 심해지는 애성/천명 + (후두내시경검사)유두종 확인 → 진단가능
-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음
치료
- 어떤 치료도 성공적이지 못함
- 수술이 주된 치료임
- CO₂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 미세수술, microdebrider를 이용한 미세수술
- 수술적 제거 후 성인형의 40%, 소아형의 80%에서 재발
후두암(laryngeal cancer)
개요
역학
- 두경부 종양 중 가장 흔한 암(전체 두경부암의 약 1/3) 2017년 국내 전체 발생암 중 0.5%
- 호발연령: 50〜70대 (2017년: 60대(33.5%) > 70대(29.9%) > 50대(21.6%)
- 남:여: 15:1 (대부분 담배를 피우는 남자에게서 발생하고 여자에서는 매우 드묾)
위험인자
후두암을 포함한 대부분의 두경부암은 호흡이나 음식 섭취와 관련된 해부학적 파이프(상부 기도소화관) 내부를 싸고있는 상피세포에서 발생합니다. 이 부위에 가해지는 담배, 심한 음주 등의 유해자극에 의해 상피세포가 암화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흡연: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 음주
- 영양: 영양부족, 비타민 부족
- 직업적 요인: 석면 노출
종류
조직학적 분류
- 편평상피암(m/c): 후두암의 대부분을 차지(95-98%)
- 육종, 선암, 신경내분비 종양 등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 후두의 중앙에 위치한 성문부를 기준으로 성문상부암(supraglottic), 성문암(glottic), 성문하부암(subglottic)으로 구분
- 경성문암(transglottic): 위 3가지 영역 중 둘 이상에 걸쳐있는 경우
발생부위 | 발생빈도 | 증상 | 림프절전이 | 예후 |
성문상부암(supraglottic) | 35-40% | 이물감 통증 | 흔하다 | 보통 |
성문암(glottic) | 60-65% | 쉰목소리 | 드물다 | 좋다 |
성문하부암(subglottic) | < 1% | 호흡곤란 | 흔하다 | 나쁘다 |
임상증상
- 쉰목소리(애성): 후두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
- 부위별 양상: ① 성문암 -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 ② 성문상부암, 성문하부암: 늦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임(성대근이나 피열연골 등을 침범한 뒤에야 음성변화 발생). 이 부위에서는 인후두 불편감 등이 초기에 나타남
- 40세 이상의 흡연남성에서 특별한 원인 없이 쉰목소리가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후두암을 강력히 의심힐 것!!
- 부위별 양상: ① 성문암 -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 ② 성문상부암, 성문하부암: 늦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임(성대근이나 피열연골 등을 침범한 뒤에야 음성변화 발생). 이 부위에서는 인후두 불편감 등이 초기에 나타남
- 인후두의 막연한 불편감, 삼킴 시 이물감, 목에 만져지는 혹, 목 이물감, 삼킴곤란, 통증
다른 증상 없이 목에서 혹이 단단하게 만져지는 경우가 후두암에서 나타나는 최초의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 기침, 호흡곤란, 쌕쌕거림, 객혈, 체중감소, 입냄새
진단
- 후두 내시경 검사
- 신체검사: 경부 진찰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경부 림프절 전이 여부 파악)
- 조직검사(확진검사): 대부분 전신마취하에서 현수후두경검사(suspension laryngoscopy)와 함께 시행
- CT, PET-CT: 원발병변, 경부전이, 원격전이 평가
치료
치료방법
- 수술적 치료
- 경구강 레이저 후두 절제술(Transoral Laser Surgery)
- 후두부분절제술(partial laryngectomy): 후두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병변 부위를 절제하는 경우(→ 후두보존 술식)
Vertical partial laryngectomy
- Cordectomy (transoral CO2 laser, laryngofissure)
- Frontal partial laryngectomy
- Lateral partial laryngectomy
- Frontolateral partial laryngectomy
Horizontal partial laryngectomy
- Epiglottectomy
- Supraglottic partial laryngectomy
Extensive partial laryngectomy
- Supracricoid partial laryngectomy
- 후두전절제술 (total laryngectomy)
= 국소적으로 진행한 후두암에 대하여 기능 보존을 위한 다양한 수술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최근 들어 다양한 내시경적 수술기법과 방사선, 항암 치료 등으로 그 수술빈도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 초기암: 단독요법으로 시행 / 국소진행암: 병용치료 - 수술 + RT or CTx + RT(concurrent chemoradiotherapy)
- 특수방사선 치료: 강도변조방사선치료 (IMRT), 토모치료, 양성자치료 등
- 항암치료: 주로 방사선치료와 더불어 concurrent chemoradiotherapy로 시행
방사선 치료와 수술요법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음성 및 연하 기능을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방사선 치료나 레이저 후두절제술이 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진행상태에 따른 치료원칙
- 초기(stage 1, 2) : 수술(후두보존수술, 레이저수술) 혹은 방사선치료 단독치료
- 진행(stage 3, 4): 독요법보다는 병용요법 시행: 수술+방사선치료 or CTx+RT(concurrent chemoradiotherapy)
후두의 중요한 기능인 목소리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기발견을 하여 최대한 후두기능을 보존하는 치료를 시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자료
-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학 2009년 2권-4편(두경부외과)-1장 p1689-1719
- Joo YH, Sun DI, Kim CS, Cho KJ, Cho SH, Kim MS. The Role of Conservation Laryngeal Surgery in Locally Advanced Laryngeal Cancer.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50(10):924–8.
- Obid R, Redlich M, Tomeh C.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Oral Maxillofac Surg Clin North Am 2019;31(1):1–11.
- Tomeh C, Holsinger FC. Laryngeal cancer.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22(2):147–53.
- Salvador-Coloma C, Cohen EEW. Multidisciplinary Care of Laryngeal Cancer. Journal of oncology practice 2016;12(8):717–24.
- Kim KH. Advanced Laryngeal Cancer: Surgical and Non-surgical Management Options.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3):204–9.
- Lee KD, Kim SW. Transoral Laser Surgery for Laryngeal Cancer. Hanyang Medical Reviews 2009;29(3):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