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암(Head & Neck cancer)


목차

개요

두경부암이란?

눈, 귀, 뇌, 식도를 제외한 두부, 경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는 암

  1. 구강암
  2. 인두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3. 후두암
  4. 침샘암
  5. 갑상선암
  6. 비부비동암
  7. 측두골암

두경부암은 대부분 안쪽 점막을 덮고 있는 편평세포에서 시작하는데 두부와 경부에서 암이 발생하는 곳은 30군데 이상입니다. 4가지 주요 부위로 묶어볼 수 있습니다. 

 

  • 두경부암이 발생하는 4가지 주요 부위
    1. 구강(oral cavity): lips, buccal mucosa, anterior tongue, floor of the mouth, hard palate, upper/lower gingiva, retromolar trigone
    2. 인두(pharynx): 상하 높이에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다음과 같이 분류
      1. 비인두(Naso-pharynx)
      2. 구인두(Oropharynx)
      3. 하인두(Hypopharynx)
    3. 후두(larynx): supraglottic larynx, glottic larynx (true vocal cords, anterior/posterior commissures), subglottic larynx
    4. 비강(nasal cavity)/부비동(paranasal sinuses): maxillary, ethmoid, sphenoid, frontal sinuses

이미지

 

두경부암의 특징

  1. 7번째로 흔한 암: 폐암의 절반, 자궁경부암보다는 두 배 이상
  2. 고령 > 젊은 연령 / 남성>>여성 

 

위험인자

  1. 흡연
  2. 음주
  3. 감염: ①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② Epstein-Barr virus (nasopharynx)
  4. 남성
  5. 고령
  6. Betel quid
  7. Premalignant lesions: leukoplakia, erythroplakia
  8.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or immune suppression
  9. Diet, including poor nutrition, low folate
  10. Poor oral hygiene
  11. Occupational exposures: wood dust, asbestos, others
  12. Sun exposure
  13. Plummer-Vinson syndrome
  14. Fanconi anemia
  15. Li Fraumeni syndrome
  16. Dyskeratosis congenita

 

※ 최근 HPV-associated oropharyngeal cancer가 젊은 층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양상

  1. 미국: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s - 1980년대 16.3% → 2000년대 72.7%
  2. oral-sex exposure 후 10-30년 정도의 latency를 가지고 발병
  3. 주로 HPV type 16와 연관

최근 흡연과 연관된 두경부암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HPV와 연관된 두경부암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상양상

구강암

  • 입술, 잇몸, 혀 등 입안의 덩어리, 피가 나거나 같은 곳에 오래 지속되는 통증, 음식물을 씹거나 삼킬 때 불편한 증상, 귀밑이나 목의 윗부분에 생긴 혹

 

인두암

비인두암
  • 목에 만져지는 덩이(전이된 림프절)
  • 코 증상: 코막힘, 출혈 등
  • 귀 증상: 귀가 멍멍함 느낌, 난청
  • 뇌신경 증상: 복시, 안면의 삼차신경통 등

 

구인두암
  • 인두부 통증, 이물감, 삼킴통, 삼킴곤란

 

하인두암
  • 음성변화, 쉰목소리, 객혈

 

후두암

  • 쉰목소리(애성): 후두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
  • 인후두의 막연한 불편감, 삼킴 시 이물감, 목에 만져지는 혹, 목 이물감, 삼킴곤란, 통증
  • 기침, 호흡곤란, 쌕쌕거림, 객혈, 체중감소, 입냄새

 

침샘암

  • 귀주위나 턱아래에 만져지는 혹. 진행될 경우 얼굴의 통증과 안면마비

 

 

 

진단

  1. 신체검사(Physical examination): 머리와 목의 모든 피부와 점막
  2. 영상 검사: biopsy 시행하기 전에 시행
  3. 조직검사
    1.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highly sensitive, specific, 초기 조직학적 진단에 유용
    2. cervical node biopsy: complete nodal resection 필요 (∵ extracapsular metastatic spread/tumor spillage 방지)

 

 

 

병기(staging)

  • 두경부암의 anatomic site에 따라 병기가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대략 구분 가능
    1. early stages (I and II): smaller tumors without prominent lymphnode involvement
    2. Later stages (III and IV): locally advanced disease/invasion of surrounding structures/increased number of involved lymph nodes ± distant metastatic spread 
  • Oropharyngeal cancer staging의 경우 AJCC 8th(2017)에서 HPV status에 따라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와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로 구분

TNM 분류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

원발암의 침윤 깊이(T) 


 

T1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

T2

종양의 크기가 2 cm보다 크고, 4 cm 이하인 경우

종양의 크기가 2cm보다 크고, 4 cm 이하인 경우 

T3

종양의 크기가 4 cm보다 큰 경우

종양의 크기가 4 cm보다 큰 경우

T4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T4a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T4b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 cm 이하인 경우

임상적 림프절전이(cN병기) 


 


 


 


 

N0

경부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경부림프절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cN1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 cm 이하인 경우

cN2

병변 반대측 또는 양측에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N2a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측에 여러 개 있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N2b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측에 여러 개 있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N2c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반대측에도 발견되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cN3

6 cm보다 큰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6 cm보다 큰 경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림프절 주변 조직 침습(extranodal extension)이 관찰된 림프절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병리적 림프절전이(pN병기) 

NX

경부림프절 전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pN0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pN1

4개 이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pN2

4개보다 많은 개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원발전이(M)

M0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M1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TNM Classification에 따른 Prognostic Stages

Stage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

 

 

Tumor

Node

Metastasis

Tumor

Node

Metastasis

0

Tis

N0

M0

Tis

N0

M0

I

T0, T1, or T2

N0 or N1

M0

T1

N0

M0

II

T0, T1, or T2

N2

M0

T2

N0

M0

 

T3

N0, N1, or N2

M0

 

 

 

III

T0, T1, T2, T3, or T4

N3

M0

T1, T2, or T3

N1

M0

 

T4

N0, N1, N2, or N3

M0

 

 

 

IV

Any T

Any N

M1

 

 

 

IVA

 

 

 

T4a

N0 or N1

M0

 

 

 

 

T1, T2, T3, or T4a

N2

M0

IVB

 

 

 

Any T

N3

M0

 

 

 

 

T4b

Any N

M0

IVC

 

 

 

Any T

Any N

M1

 

 

 

치료

진행단계에 따른 치료방침

진행단계

치료 방침

Early disease (clinical stage I–II)

  1. surgery
  2. radiotherapy(external or brachytherapy)

암 부위에 따른 치료방침

  1. oral cavity: surgery > radiotherapy
  2. Oropharyngeal carcinoma: surgery or radiotherapy
  3. hypopharynx: surgery or radiation
  4. laryngeal cancer: Radiotherapy or transoral laser microsurgery(TLM)

Locally advanced disease (clinical stages III, IV-A, IV-B): resectable, unresectable로 구분

Resectable locally advanced disease (III–IV-A)

  1. Surgical resection +
    1. radiotherapy or 
    2. adjuvant chemoradiotherapy: high-risk pathological features(extracapsular lymph node extension and/or affected margins)
  2. Chemoradiation treatment
    수술의 candidates가 되지 못하거나 수술을 거부한 경우
  3. Induction chemotherapy (ICT)
    ICT에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 있어 standard locoregional treatment (radiotherapy, chemoradiotherapy, bioradiotherapy)가 확립되어 있지는 않다.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disease (IV-B)

  1. Concomitant chemoradiotherapy
  2. Concomitant radiotherapy + cetuximab 
  3. Induction chemotherapy → locoregional treatment

Recurrent and metastatic disease treatment

  1. chemotherapy
  2. best supportive care
  3. Inmunotherapy with nivolumab or pembrolizumab


참고자료

  • Chow LQM. Head and Neck Cancer. N Engl J Med 2020;382(1):60–72.
  • Iglesias Docampo LC, Arrazubi Arrula V, Baste Rotllan N, et al. SEOM clinic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2017). Clin Transl Oncol 2018;20(1):75–83.
  • Alsahafi E, Begg K, Amelio I, et al. Clinical update on head and neck cancer: molecular biology and ongoing challenges. Cell Death Dis 2019;10(8):1–17.
  • Cramer JD, Burtness B, Le QT, Ferris RL. The changing therapeutic landscape of head and neck cancer. Nat Rev Clin Oncol 2019;16(11):669–83.
  • Amin MB, Greene FL, Edge SB, et al. The eighth edition AJCC cancer staging manual: continuing to build a bridge from a population-based to a more “personalized” approach to cancer staging. CA Cancer J Clin 2017; 67: 93-9
  • Rettig EM, D’Souza G. Epidemiology of head and neck cancer. Surg Oncol Clin N Am 2015;24(3):379–96.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