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두경부암이란?
눈, 귀, 뇌, 식도를 제외한 두부, 경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는 암
- 구강암
- 인두암: 비인두암, 구인두암, 하인두암
- 후두암
- 침샘암
- 갑상선암
- 비부비동암
- 측두골암
두경부암은 대부분 안쪽 점막을 덮고 있는 편평세포에서 시작하는데 두부와 경부에서 암이 발생하는 곳은 30군데 이상입니다. 4가지 주요 부위로 묶어볼 수 있습니다.
- 두경부암이 발생하는 4가지 주요 부위
- 구강(oral cavity): lips, buccal mucosa, anterior tongue, floor of the mouth, hard palate, upper/lower gingiva, retromolar trigone
- 인두(pharynx): 상하 높이에 따라 위로부터 아래로 다음과 같이 분류
- 비인두(Naso-pharynx)
- 구인두(Oropharynx)
- 하인두(Hypopharynx)
- 후두(larynx): supraglottic larynx, glottic larynx (true vocal cords, anterior/posterior commissures), subglottic larynx
- 비강(nasal cavity)/부비동(paranasal sinuses): maxillary, ethmoid, sphenoid, frontal sinuses
두경부암의 특징
- 7번째로 흔한 암: 폐암의 절반, 자궁경부암보다는 두 배 이상
- 고령 > 젊은 연령 / 남성>>여성
위험인자
- 흡연
- 음주
- 감염: ①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② Epstein-Barr virus (nasopharynx)
- 남성
- 고령
- Betel quid
- Premalignant lesions: leukoplakia, erythroplakia
-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or immune suppression
- Diet, including poor nutrition, low folate
- Poor oral hygiene
- Occupational exposures: wood dust, asbestos, others
- Sun exposure
- Plummer-Vinson syndrome
- Fanconi anemia
- Li Fraumeni syndrome
- Dyskeratosis congenita
※ 최근 HPV-associated oropharyngeal cancer가 젊은 층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양상
- 미국: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s - 1980년대 16.3% → 2000년대 72.7%
- oral-sex exposure 후 10-30년 정도의 latency를 가지고 발병
- 주로 HPV type 16와 연관
최근 흡연과 연관된 두경부암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HPV와 연관된 두경부암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상양상
구강암
- 입술, 잇몸, 혀 등 입안의 덩어리, 피가 나거나 같은 곳에 오래 지속되는 통증, 음식물을 씹거나 삼킬 때 불편한 증상, 귀밑이나 목의 윗부분에 생긴 혹
인두암
비인두암
- 목에 만져지는 덩이(전이된 림프절)
- 코 증상: 코막힘, 출혈 등
- 귀 증상: 귀가 멍멍함 느낌, 난청
- 뇌신경 증상: 복시, 안면의 삼차신경통 등
구인두암
- 인두부 통증, 이물감, 삼킴통, 삼킴곤란
하인두암
- 음성변화, 쉰목소리, 객혈
후두암
- 쉰목소리(애성): 후두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
- 인후두의 막연한 불편감, 삼킴 시 이물감, 목에 만져지는 혹, 목 이물감, 삼킴곤란, 통증
- 기침, 호흡곤란, 쌕쌕거림, 객혈, 체중감소, 입냄새
침샘암
- 귀주위나 턱아래에 만져지는 혹. 진행될 경우 얼굴의 통증과 안면마비
진단
- 신체검사(Physical examination): 머리와 목의 모든 피부와 점막
- 영상 검사: biopsy 시행하기 전에 시행
- 조직검사
-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highly sensitive, specific, 초기 조직학적 진단에 유용
- cervical node biopsy: complete nodal resection 필요 (∵ extracapsular metastatic spread/tumor spillage 방지)
병기(staging)
- 두경부암의 anatomic site에 따라 병기가 각각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대략 구분 가능
- early stages (I and II): smaller tumors without prominent lymphnode involvement
- Later stages (III and IV): locally advanced disease/invasion of surrounding structures/increased number of involved lymph nodes ± distant metastatic spread
- Oropharyngeal cancer staging의 경우 AJCC 8th(2017)에서 HPV status에 따라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와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로 구분
TNM 분류 |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 | |
원발암의 침윤 깊이(T)
| T1 |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 | 종양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 |
T2 | 종양의 크기가 2 cm보다 크고, 4 cm 이하인 경우 | 종양의 크기가 2cm보다 크고, 4 cm 이하인 경우 | |
T3 | 종양의 크기가 4 cm보다 큰 경우 | 종양의 크기가 4 cm보다 큰 경우 | |
T4 |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
| |
T4a |
| 종양이 편도 외의 후두, 혀의 심부근육, 경구개, 하악골 등의 주변 구조를 침범한 경우 | |
T4b |
|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 cm 이하인 경우 | |
임상적 림프절전이(cN병기)
| N0 | 경부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 경부림프절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 |
cN1 |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 병변측 경부림프절 전이가 1개 있고, 크기가 3 cm 이하인 경우 | |
cN2 | 병변 반대측 또는 양측에 전이가 1개 이상 있고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
| |
N2a |
|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측에 여러 개 있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 |
N2b |
|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측에 여러 개 있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 |
N2c |
| 경부림프절 전이가 병변 반대측에도 발견되고, 모두 크기가 6 cm 이하인 경우 | |
cN3 | 6 cm보다 큰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
| |
|
| 6 cm보다 큰 경부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
|
| 림프절 주변 조직 침습(extranodal extension)이 관찰된 림프절 전이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 |
병리적 림프절전이(pN병기) | NX | 경부림프절 전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
|
pN0 |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 |
pN1 | 4개 이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
| |
pN2 | 4개보다 많은 개수의 경부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
| |
원발전이(M) | M0 |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 원발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 원발전이가 있는 경우 |
TNM Classification에 따른 Prognostic Stages
Stage | HPV-Positive Oropharyngeal Cancer | HPV-Negative Oropharyngeal Cancer |
|
| ||
Tumor | Node | Metastasis | Tumor | Node | Metastasis | |
0 | Tis | N0 | M0 | Tis | N0 | M0 |
I | T0, T1, or T2 | N0 or N1 | M0 | T1 | N0 | M0 |
II | T0, T1, or T2 | N2 | M0 | T2 | N0 | M0 |
| T3 | N0, N1, or N2 | M0 |
|
|
|
III | T0, T1, T2, T3, or T4 | N3 | M0 | T1, T2, or T3 | N1 | M0 |
| T4 | N0, N1, N2, or N3 | M0 |
|
|
|
IV | Any T | Any N | M1 |
|
|
|
IVA |
|
|
| T4a | N0 or N1 | M0 |
|
|
|
| T1, T2, T3, or T4a | N2 | M0 |
IVB |
|
|
| Any T | N3 | M0 |
|
|
|
| T4b | Any N | M0 |
IVC |
|
|
| Any T | Any N | M1 |
치료
진행단계에 따른 치료방침
진행단계 | 치료 방침 | |
Early disease (clinical stage I–II) |
암 부위에 따른 치료방침
| |
Locally advanced disease (clinical stages III, IV-A, IV-B): resectable, unresectable로 구분 | Resectable locally advanced disease (III–IV-A) |
|
Unresectable locally advanced disease (IV-B) |
| |
Recurrent and metastatic disease treatment |
|
참고자료
- Chow LQM. Head and Neck Cancer. N Engl J Med 2020;382(1):60–72.
- Iglesias Docampo LC, Arrazubi Arrula V, Baste Rotllan N, et al. SEOM clinic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2017). Clin Transl Oncol 2018;20(1):75–83.
- Alsahafi E, Begg K, Amelio I, et al. Clinical update on head and neck cancer: molecular biology and ongoing challenges. Cell Death Dis 2019;10(8):1–17.
- Cramer JD, Burtness B, Le QT, Ferris RL. The changing therapeutic landscape of head and neck cancer. Nat Rev Clin Oncol 2019;16(11):669–83.
- Amin MB, Greene FL, Edge SB, et al. The eighth edition AJCC cancer staging manual: continuing to build a bridge from a population-based to a more “personalized” approach to cancer staging. CA Cancer J Clin 2017; 67: 93-9
- Rettig EM, D’Souza G. Epidemiology of head and neck cancer. Surg Oncol Clin N Am 2015;24(3):37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