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검사


목차

시야검사

  • 시신경은 안구 외부로 나와 시신경교차(optic chiasm), 시각로(optic tract), 가쪽무릎체(lateral geniculate body), 시각부챗살(optic radiation)을 거쳐 후두엽의 시각피질에 이르게 된다. 망막에 상이 맺힐 때는 실제 시야와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맺히게 되며(즉 시야를 가운데 중앙선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나눴을 때 위쪽에 위치한 시야의 물체의 상은 망막 아래쪽에 맺히게 된다), 양쪽 망막의 코쪽 절반의 신경섬유는 시신경교차에서 교차해 반대편 시각로를 형성하고, 귀쪽 절반에서 유래한 신경섬유는 교차하지 않고 같은쪽 시각로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주행경로상의 특징으로 인해 시각 경로의 어디를 침범했는지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시야결손 형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시각경로의 침범부위에 따라 나타나는 시야결손의 패턴

 이미지


OS(좌안), OD(우안), ON(시신경, optic nerve), CH(시신경교차, optic chiasm), OT(시신경로, optic tract), LGB(외측 무릎체, lateral geniculate body), ML(Meyer 고리, Meyer’s loop), OR(시각부챗살, optic radiation)

★1,2,5~9번은 꼭 알아두자!!    


 

  1. 시신경 손상 시에는 동측 눈에만 영향을 미친다. 
  2. Chiasmal lesion : bitempral hemianopia
  3. Junction of optic nerve and chiasm: ipsilateral central scotoma + contralateral superior temporal quadrantanopia(이건 반대편에서 inferonasal fiber 일부가 동측의 prechiasmal portion까지 넘어왔다가 돌아가는 부분(so called Wilbrand’s knee)이 영향을 받아서 나타나는 현상임). 이음부암점(Junctional scotoma)라고도 불림
  4. Partial interruption of optic tract : contralateral incongruous homonymous hemianopia
  5. Complete interruption of optic tract, LGB, optic radiation: contralatral total homonymous hemianopia
  6. Temporal lobe lesion: inferior retina에서 나온 신경섬유들은 temporal lobe을 거쳐서 뒤로 들어가게 된다(so called Meyer’s loop). 손상 시 superior homonymous quadrantanopia.
  7. Parietal lobe lesion: superior retina에서 나온 신경섬유들이 지나가게 되고, 손상 시 inferior homonymous quadrantanopia.
  8. Complete interruption of optic radiation : contralateral total homonymous hemianopia.
  9. Posterior occipital lesion: contralateral homonymous hemianopia를 보이나, 황반은 보존된다. 
  10. Occipital lobe에서 좀 더 뒤쪽을 국소적으로 침범하면(즉, 앞쪽이 보존되면- 앞쪽은 unpaired crossing nasal retinal fiber를 담당), temporal field 일부가 살아남아 ‘temporal crescent’를 보인다(‘unpaired’이기 때문에 한쪽 시야만 영향을 받는 것임). 
  11. 10번과 반대의 상황으로 제일 앞쪽을 국소적으로 침범하면 한쪽 시야의 temporal field일부만 침범을 받는다.

 

 

  • ‘왼쪽 위’ 시야의 상들은 실제 망막의 ‘오른쪽 아래’에 맺히게 된다. 그리고 우안 망막의 오른쪽 아래에 맺힌 상들은 시신경교차에서 교차 없이 우측 시각로로 진행하고(왜냐하면 우안 기준으로 귀쪽 망막에 맺힌 상이기 때문에), 좌안 망막의 오른쪽 아래에 맺힌 상들은 시신경교차에서 교차를 해 우측 시각로로 합류한다(좌안 기준으로 코쪽 망막에 맺힌 상이기 때문). 이후 가쪽무릎체를 거쳐 시각부챗살로 접어드는데, 시각부챗살에서는 ‘위’시야에 해당하는 신경섬유들은 관자엽 쪽으로, ‘아래’시야에 해당하는 신경섬유들은 마루엽 쪽으로 진행한다(측면에서 바라보는 모습을 보면, 관자엽 쪽의 시각부챗살 섬유들이 마루엽 섬유보다 아래에 위치해 있다). 즉, 망막에서부터 시각피질에 이르기까지 시각 신경섬유들의 상대적 위치배열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시각부챗살 경로

이미지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