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원인 및 감별진단
- 두통질환의 분류: 국제두통질환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ICHD) 3판(2013년)
- 원발두통(primary headache)
- 이차두통(secondary headache)
- 뇌신경통과 기타 안면통
[+ 부록(appendix)]
진단적 접근
- 대부분의 두통은 구조적인 원인질환에 의한 경우보다 두통 자체가 질환인 경우가 흔하다.
- 병력청취, 신체검사, 신경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두통의 분류체계에 적합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이차성 두통 가능성도 염두에 둘 것
병력
- 두통의 진단의 90% 이상은 병력청취에 의하여 이루어져 뇌 영상진단이나, 실험실적 검사에 의하여 두통의 원인질환을 진단하게 되는 경우는 드물다.
- 병력청취는 몇 가지 심각하고 위험한 질환(거미막하출혈, 뇌종양, 뇌막염, 소뇌출혈 등)의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필수적이다.
- 병력청취는 환자의 입을 통한 증상의 표현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대부분의 두통[(편두통(classic/common migraine), 군발두통(cluster headache), 신경통(major neuralgias) 등]을 확진할 수 있는 특정한 실험실적인 검사 방법은 거의 전무하다.
- 주요 병력청취 항목
- 두통의 발현시기
- 두통의 위치
- 두통의 발생, 기간, 특성, 강도
- 빈도 및 경과
- 두통과 동반되는 증상들
- 두통의 유발 요인
- 두통의 완화 요인
- 과거력
신체검사
- V/S: 고혈압, 고열 여부
- HEENT: 안구증상, 두피의 감각저하 여부, 부비동 압통, 외이도관찰, 경동맥/관자동맥 촉진, 턱관절압통, 경추부 운동제한 여부/압통 여부 등
- 뇌신경계: 사지의 편마비, 감각이상 여부, 심부건반사(비대칭 여부): 거미막밑출혈, 뇌농양, 뇌종양 등에는 편마비나 편측의 감각이상 등 편측성의 신경학적 결손 발생 가능
- 뇌막자극징후: 뇌막염, 뇌염, 거미막하출혈, 뇌종양 등
- 기타 신체검사: 피부의 병변, 발진, 색소침착이나 탈색 등
진단적 검사
- 대부분 특수 검사는 필요하지 않아 병력 청취/신체검사만으로도 진단 가능
- 필요하면 뇌 CT/MRI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두통진단에 있어 위험소견(red flags)
Red flag | 고려할 질환 |
갑작스럽게 발생한 두통 | 거미막하출혈, 동정맥기형의 출혈, 종괴병변(특히 posterior fossa) |
악화되는 양상의 두통 | 종괴병변, 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 약물 과사용 |
전신증상을 동반한 두통(발열, 경부강직, 피부발진) | 뇌수막염, 뇌염, 라임병, 전신감염, 콜라겐혈관병(collagen vascular disease), 동맥염 |
국소 신경학적 징후/증상 (전형적인 시각조짐, 감각조짐의 형태가 아님) | 종괴병변, 동정맥기형, 콜라겐혈관병 |
시신경유두부종(Papilloedema) | 종괴병변, 거짓종양(pseudotumor), 뇌염, 뇌수막염 |
기침, 노작(exertion), 발살바조작에 의해 유발되는 두통 | 거미막하출혈, 종괴병변 |
임신 중 혹은 산후에 발생한 두통 | Cortical vein/cranial sinus thrombosis, 경동맥박리(Carotid dissection), 뇌하수체졸증(Pituitary apoplexy) |
암 환자에서 새로운 유형의 두통 발생 | 전이 |
두통(primary headache) 진단 흐름도
위험한 두통(2차 두통)의 감별
- 이차 두통: 원발 두통에 비해 흔하지 않아도 놓치면 위험하다.
- 자세한 병력 청취 및 신경학적 검진을 통해 감별진단 후 적절한 검사를 진행할 것(SNOOP4)
이차 두통의 일반적인 진단기준
|
이차 두통의 감별포인트: SNOOP4
|
참고자료
- Kim BK. What is the New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 rd Edition ? Korean Journal of Headache 2013;14(2):51–7.
- :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Cephalalgia 2004;24:1–160.
- Headache Classification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3 rd edition beta. Cephalalgia 2013;33:627-808.
- 대한두통학회. 한글판 국제두통질환분류 제3판 베타판. 2013년
- Lipton RB, Bigal ME, Steiner TJ, Silberstein SD, Olesen J. Classification of primary headaches. Neurology 2004;63(3):427–35.
- Institute for Clinical Systems Improvement. Health Care Guidel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adache. 2013
- Dodick DW. clinical clues and clinical rules: primary versus secondary headache. Adv Stud Med. 2003;3:550-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