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차두통의 종류
- 머리와 목의 외상 및 손상에 기인한 두통
- 두개 또는 경부의 혈관질환에 기인한 두통
- 비혈관성 두개내질환에 기인한 두통
- 물질 또는 물질금단에 기인한 두통
- 감염에 기인한 두통
- 항상성질환에 기인한 두통
- 두개골, 목, 눈, 귀, 코, 부비동, 치아, 입 또는 기타 얼굴 및 경부 구조물의 질환에 기인한 두통 또는 얼굴통증 (경부인성두통)
- 정신과질환에 기인한 두통
진단
- 두통은 여러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며, 심각한 뇌질환의 경고증상일 수도 있다.
벼락두통(thunderclap headache)
- 이차두통을 의심하고 적극적인 검사를 권고해야 하는 대표적인 임상양상은 벼락두통
- 갑자기 (1분 내에) 발생한 심한 두통(일생 동안 경험한 가장 심한 통증 혹은 시각아날로그척도 7 이상) 발생
- ‘머리가 터질듯이 아프다. ‘무엇인가 머리로 솟구치거나 내리치듯이 아프다'
- 원인
- 거미막하출혈, 동맥류의 전조두통(sentinel headache)
- 뇌정맥혈전증, 자발두개내압저하, 경막하출혈, 뇌내출혈, 후경사대(retrodival) 출혈, 뇌하수체출혈, 두개내외동맥박리, 제3뇌실의 콜로이드낭(colloid cyst), 수막염, 두개내동맥의 비연속적인 수축에 의한 가역뇌혈관수축증후군(reversible cerebral vasoconstriction syndrome) 등
- 일부 이차두통은 벼락두통과 같은 특징적인 임상증상이 있지만, 편두통, 긴장형두통, 군발두통처럼 나타날 수 있다.
벼락두통의 원인
이차 원인 | 원발 원인 |
|
|
ICHD-3 진단기준
이차두통의 일반적인 진단기준
|
주의점
- 이차두통과 원발두통과의 관계에 주의할 것
- 이차두통에 대한 검사에서 뚜렷한 원인이 없다면 과거에 무시되었을수 있는 두통력을 확인하고 원발두통을 진단할 수 있다.
- 원발두통이 있더라도 두통양상이나 동반증상이 바뀌면 이차두통을 고려하고 진단을 재검토하여야 한다.
- 기존의 원발두통이 이차 두통질환과 연관성을 가지고 악화되면 원발 및 이차두통의 진단을 함께 내리고 원발두통에 대한 치료도 같이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참고자료
- 대한두통학회. 한글판 국제두통질환분류 제3판 베타판. 2013년
- 대한신경과학회. 신경학 3판(2017). 제12장, p389-390
- 대한두통학회. 두통학. 2판(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