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발뇌신경마비
여러 개의 뇌신경이 동시에 침범된 경우 병터가 뇌줄기 안에 있는지 혹은 바깥에 있는지를 먼저 구별해야 한다.
병터가 뇌줄기 안에 있는 경우 | ↔ | 병터가 뇌줄기 바깥이나 두개골 기저에 있는 경우 |
뇌신경뿐만 아니라 몸통과 팔다리로 연결된 긴 감각 및 운동경로를 동시에 침범할 가능성이 높다. | 병이 진행함에 따라 몇 개의 이웃한 뇌 신경을 순차적으로 침범하지만 감각 및 운동경로를 침범할 가능성은 낮다. |
해면 정맥동증후군(cavernous sinus syndrome)
해면정맥동(cavernous sinus)을 침범하여 주로 인접 뇌신경 마비를 유발하여 안구운동마비, 안면 감각이상을 흔히 보이는 질병을 광범위하게 해면정맥동증후군(cavernous si-nus syndrome)이라고 한다.
해면정맥동에 대한 이해
- 정맥총(venous plexus), 경동맥, 뇌신경, 교감신경섬유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다.
원인: 원인 질환이 다양
- 흔한 원인: 외상에 의한 혈전증, 응고항진상태, 주변 조직의 감염, 종양, 외상, 비감염성 염증 질환, 육아종질환, 결합조직병, 경동맥해면정맥동루(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 수막종, 인두암종, 육아종병, 속목동맥류(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 감염 등
당뇨, 장기이식(organ transplantation), 후천성면역결핍증 및 면역저하 환자에서는 즉각적인 치료를 요하는 세균감염, 코대뇌털곰팡이증(rhinocerebral mucormycosis) 등에 의한 진균감염이 원인 경우가 많아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임상양상
- 동안신경(CN3), 도르래신경(CN4), 외전신경(CN6) → 안구운동장애
- 삼차신경(CN5)의 제1분지인 눈신경(ophthalmic nerve) → 얼굴과 두피의 감각저하
- 반대쪽 정맥동으로 전파되기 쉬우므로 증상이 양쪽에서 나타날 수 있다.
-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질환의 진행 경과가 빠른 경우 종괴의 팽창이나 염증의 파급에 의해 인접 속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을 침범하여 혈전, 폐색, 동맥류 등이 발생하여 뇌경색 및 뇌출혈이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
- 세균에 의한 해면정맥동혈전증이 의심되는 경우: 조기에 광범위 항생제 투여
- 경동맥해면정맥동루, 경동맥류: 수술
참고자료
- 대한신경과학회. 신경학 3판(2017). 제3장, p51-59 ; 제8장, 237
- Choi YJ et al. Cavernous Sinus Syndrome Complicating Occlusio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by Necrotizing Sinusitis.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2013;12(4):145-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