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의학의 역사(근대까지는 가볍게 읽어보기)
원시시대
- 신, 악령 등 초자연적 존재에 의해 정신질환이 생기는 것으로 이해
그리스-로마시대
- 정신질환에 대한 과학적 관찰과 실험적 탐구가 시작됨.
- 주요 인물: Alcmaeon, Heracleitos, Hippocrates, Galenos, Empedocles, Platon, Aristoteles
중세시대
- 대체로 계몽된 생각이 쇠퇴하고 종교적 주술이 다시 나타남
- 주요 인물: Augustinus(내적 성찰을 통한 탐구), Rhazes와 Avicenna(인도주의적 태도), J. Sprenger와 H. Kramer(주술적 접근)
르네상스와 자연과학의 발달
- 정신기능도 자연적 법칙에 따른다는 견해가 나타남
- 주요 인물: Paracelsus, J.L.Vives, John Weyer(최초의 정신과 의사), G. Fracastoro(매독 정의)
이성과 계몽의 시대
- 과학적 사고방법으로 접근, 하지만 정신질환자는 여전히 잔혹하게 다루어짐.
- 주요 인물: Descartes, J. Locke, D. Hartley, Philippe Pinel(18세기 이르러 인도주의적 접근)
근대
- 19세기에 이르러 정신의학이 신경과에서 분리되면서 현대 의학의 한 전문분야로서 역사가 시작됨.
- 주요 인물: J.C.Reil(psychiatry란 용어 주창), A. Alzheimer(최초로 진행성 치매 보고)
현대-20세기
- 20세기에 이르러 대형 수용소가 등장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정신장애를 주술적으로 보는 경향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성격결함 또는 도덕적 결함으로 보았다.
- 큰 조류
- 기술정신의학: E. Kraepelin(증상, 경과, 예후, 병리소견 등을 신체질병과 같은 방식으로 기술), E. Bleuler(schizophrenia를 명명)
- 역동정신의학: 정신병리의 요인으로서 뇌보다는 정신적 내지 내면적 과정과 대인관계, 환경으로부터의 영향 및 인격의 성숙, 불안과 방어기제 등을 연구
- Freud(자유연상과 꿈의 해석을 주로 한 정신분석기법 발전)
- Neo-Freudians: Freud의 성욕론을 버리고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중요성에 눈을 돌린 집단, Carl G. Jung, A. Adler, K. Horney, 문화학파, H.S. Sullivan, A. Meyer, E. H. Erikson
- 실존주의 등 철학의 영향을 받은 역동정신의학: K. Jaspers(현상학적 정신병리학; 증상이나 진단을 발견해내고 추적하는 방법), L. Binswanger, V. Frankl
- 소아정신의학: H. Emminghaus, L. Kanner, M. Klein, Anna Freud
- 기타: H. Kohut, J. Lacan
- 심리학: 행동주의 또는 학습이론으로 불리는 심리학이 발전
- 행동주의, 학습이론: Pavlov, Skinner, Watson
- 인지심리학: J. Piaget
- 생물정신의학: 1950년대 정신약물학의 발전으로 정신현상도 뇌기능으로 이해하려는 관점이 강화됨.
- 사회정신의학: 환자에 대한 단순한 인도주의적 처우에서 나아가 사회적 보장과 재활복귀에 이르는 길로 확대되고 있음.
- 횡문화 정신의학: 정신장애의 문화적 맥락과 민족적 다양성에 관한 정신의학의 한 분야
주요 인물의 핵심 주장
인물 | 주장 |
E.Kraepelin(1856~1926) |
|
E. Bleuler(1857~1939) |
|
Sigmund Freud(1856~1939) |
|
Anna Freud(1895~1982) | Sigmund Freud의 막내딸
|
M. Klein(1882~1960) |
|
Carl G. Jung(1875~1961) |
|
A. Adler(1870~1937) |
|
H.S. Sullivan(1892~1949) |
|
E. H. Erikson(1902~1994) |
|
J. Lacan(1901~1981) |
|
Erich Fromm(1900~1980) |
|
J. Piaget(1896~1980) |
|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1장(정신의학의 개념과 그 역사), 3장(인간행동에 대한 정신사회적 이론)
- 정신분석에로의 초대(이무석), 354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