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aget 인지발달단계
단계 | 시기 | 특징 |
감각운동기 | 출생~2세 | - 만짐, 움직임 등과 같은 지각과 행동을 통해 대상물에 대한 개념을 가짐
- 대상영속성(자신과 상관없이 대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개념)
- 18개월이 넘으면 상징화 과정
|
전조작기 | 2~4세 | - 직관적 수준의 사고를 하고 아직 논리적이거나 연역적이지 않음.
- 물활론적 사고: 무생물에 생명이 있다 생각
- 인과관계 이해 못함: 직관적 수준의 사고(예. 컵을 깨뜨려도 자기 실수인 줄 모름)
- 도덕적 실재론: 행위의 옮고 그름을 원인, 의도가 아닌 결과(질보다 양)에 의해 판단을 하게 되는 사고(예. 의도적으로 컵을 1개 깨뜨린 것보다 실수로 컵을 2개 깬 것이 더 나쁘다 판단)
- 나쁜 행동을 하면 벌 받는 것을 당연하다고 생각
- 자기중심성: 타인을 위해 자기 행동을 변경하지 못함
- 꿈의 실재론: 꿈이 실제로 일어난 것이라고 믿음
|
구체적 조작기 | 5~10세 | -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고 제한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나 예외를 이해할 줄 모름.
- 보존개념 습득[양과 길이에 대한 개념을 먼저(6~7세) 습득하고 면적 개념은 나중에(9~10세) 생김]
- 사물의 가역성(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성격 - 예. 물과 얼음)과 수량의 개념을 이해
- 삼단논법이 나타남
|
형식적 조작기 | 11세 이후 | - 추상적 사고, 연역적 사고, 이상과 현실에 대한 개념 발달
- 가설연역적 사고 발달: 문제에 부닥쳤을 때, 가설을 세우고 논리적이고 검증 할 수 있는 연역적 추론을 함
|
욕구와 감정의 정신분석을 창시한 Freud와 달리 '발생론적 인식론'을 주장함. 발생론적 인식론이란 생물학적 및 선천적 요소를 기초로 추상적 사고의 발달을 연구하는 것이다.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장(인간행동에 대한 정신사회적 이론) 111~113 p
- 최신정신의학 제5판 119 p (대상영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