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질환의 원인
- 특정 소인(유전, 성, 나이, 기질적 뇌손상 등)을 가진 사람에게 스트레스(유발인자)
- 정신적으로 건강한 경우 → 대응전략과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극복
- 적응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기질적 문제 or 감당 못할 스트레스) → 비적응적 행동, 정신질환
방어기제 개요
- 자아' → '이드', '초자아', 그리고 외부세계의 갈등을 조정
- 이 과정에서 '자아'는 갈등으로 인해 내면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어하기 위한 기제를 작동시킴.
예) 갑자기 기억상실을 보이는 사람의 증상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욕망이 내면의 갈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억압'하는 방어기제를 사용했기 때문
방어기제 종류
- '욕구'와 '현실 원칙'의 갈등에서 어느 쪽이 우세한 지에 따른 스펙트럼으로 정리(일반적인 분류 방식을 따르지 않고 필자가 자의적으로 분류함)
욕구 | ~ | 현실원칙 |
욕구를 참지 못해 충동적인 행동 양식 |
| 현실 원칙을 너무 강하게 지켜 죄책감 |
![]() |
Cf. 유머, 승화, 이타주의 등 일반적으로 성숙한 방어로 불리는 기제들은 '욕구'와 '현실 원칙' 모두 어느 정도 만족시키는 양상을 보입니다.
Cf. 프로이트는 정신 치료에서 '이드가 있는 곳에 자아가 있게 하라'는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욕구를 지나치게 억압하기 때문에 정신 질환이 나타난다고 본 것입니다.
Cf. 서로 헷갈리는 방어기제는 가까이 배치하였습니다.
방어기제 | 설명 |
| 1. 내면의 욕구가 우세 |
| 1.1. 내면의 욕구를 참지 않고 행동으로 표현 |
행동화 acting out |
|
수동공격성 행동 passive-aggressive behavior |
|
| 1.2. 욕구로 인해 왜곡된 인식 |
성화 sexualization |
|
왜곡 distortion |
|
공상 fantasy |
|
조현성 공상 schizoid fantasy |
|
| 1.3. 무의식적 감정이나 사고가 자신을 지배하도록 놓아둠 |
건강염려 hypochondriasis |
|
반복강박 repetition compulsion |
|
| 1.4. 흡수 |
동일시 identification |
|
함입 incorporation |
|
내재화 introjection |
|
| 2. 내면의 욕구를 건강하게 해소 |
| 2.1. 내면의 욕구를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범위에서 표현, 혹은 자신에게 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억제(성숙한 방어기제) |
유머 humor |
|
승화 sublimation |
|
금욕주의 asceticism |
|
이타주의 altruism |
|
| 3. 내면의 욕구 통제가 우세 욕구 어느 정도 인정 ~ 욕구 강하게 억제 |
| 3.1. 욕구 어느 정도 인정 |
| 3.1.1. 현실부정 혹은 책임전가 → 욕구를 실현시키지는 못하지만 욕구가 실현된 것처럼 느낌 |
부정 denial |
|
상징화 symbolization |
|
대치 substitution |
|
전치 displacement |
|
투사 projection |
전치와 투자가 종종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치: A라는 이유로 화가 났을 때 전혀 연관 없는 대상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 투사: A라는 이유로 화가 났을 때 그와 연관된 대상에게 화풀이를 하는 것 |
외부화 externalization |
|
합리화 rationalization |
|
지식화intellectualization |
|
분리(분단, 분열) splitting |
|
고립(격리)isolation |
|
해리 dissociation |
|
차단blocking |
|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
|
| 3.1.2. 신체 증상으로 나타남 |
신체화 somatization |
|
전환conversion |
|
| 3.1.3. 발달 과정의 장애 |
퇴행 regression |
|
고착 fixation |
|
| 3.2. 욕구 강하게 억제 |
| 3.2.1. 욕구가 표출되지 않도록 통제 → 본인이 어떤 욕구를 갖고 있는지 알고 있다. |
억압 repression |
|
억제suppression |
|
참기 inhibition |
|
통제 controlling |
|
예기 anticipation |
|
| 3.2.2. 화살을 본인에게 돌림 |
자신에게 향함 turning against self |
|
보상 compensation |
|
상환 restitution |
|
취소 undoing |
|
각종 질환별 방어기제
|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6장(정신병리학) 175-177P, 8장(의사-환자 관계) 217-21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