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고의 장애
- 사고 : 목적을 향한 생각들의 흐름
- 사고는 크게 사고형태, 사고과정, 사고내용을 나눌 수 있으면 각각의 장애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사고의 양상 | ▶ | 사고장애 | |
사고형태 | 정상적 사고형태란 이성과 논리에 따른 합리적 사고이다. | ▶ | 사고형태의 장애 |
사고과정 | 연상의 속도와 방식을 의미 | ▶ | 사고과정의 장애 |
사고내용 | 사고의 과정이 생각을 담고 있는 그릇이라면 그 안에 담기는 것이 내용 | ▶ | 사고내용의 장애 |
사고형태의 장애
- 자폐적 사고, 백일몽, 마술적 사고 → 무의식적, 본능적 욕구에 따른 것으로 현실을 무시한 비논리적 사고
- 구체적 사고 : 은유의 사용이 없고 의미의 뉘앙스를 이해하지 못하는 일차원적 사고(추상적 사고와 반대)
사고과정의 장애
- 사고의 비약(flight of ideas): 한 생각에서 다른 생각으로 계속 연상이 빨리 진행되며 목적에 도달하지 못함
- 사고의 지체(retardation) : 사고의 시작과 진행이 느린 것
- 사고의 보속증(perseveration) : 한 관념이 지속적으로 반복 표현됨
- 사고의 우원증(circumstantiality) : 많은 불필요한 묘사를 거친 후에 말하고자 하는 목적에 도달함
- 사고의 이탈(tangentiality) - 우원증과 달리 결국 본래 질문에 대한 답변에 도달하지 못함
- 지리멸렬(incoherence) : 사고진행이 와해되어 논리적 연결이 없고 의미론적으로도 파괴된 언어
- 사고의 부적절성(irrelevance): 논리적이지만 앞뒤 문맥과 맞지 않는 표현 구사 (cf. '지리멸렬'과의 차이점은 '지리멸렬'은 논리적이지 않다는 점)
- 사고의 차단(blocking) : 연상의 진행이 갑자기 중단되는 것(조현병에서 볼 수 있다.)
- 신어증(neologism): 환자가 자기만 뜻을 아는 독특하고 새로운 말을 조합하거나 창조하는 것
- 음향연상(clang association): 음에 따라 새로운 관념이 연상되는 것(사람, 사슴, 사랑…)
- 압축: 여러 개념을 하나로 융합시키는 것
- 엉뚱한 대답 : 질문에 맞지 않는 대답을 하는 경우
- 헛소리: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단어
- 음송증(verbigeration) : 단어나 짧은 문장을 반복해서 발성하는 것
사고내용의 장애
- 사고 경향(though trend)(=과잉결정적 사고(overdetermined idea)): 비정상적인 믿음, 강력한 감정요소에 의해 결정됨
- 망상(delusion) : 불합리하며 잘못된 생각 또는 신념, 전개가 논리적일 때는 체계화된 망상이라 하고, 내용이 괴상할 때는 괴이하다(bizarre)고 표현함
- 과대망상 : 자신이 '위대하다, 전능하다'라고 믿는 망상
- 피해망상 : 누군가 자신을 해치려 한다는 망상
- 관계망상 : 주변의 일이 자기 자신과 관련되고 있다는 망상
- 자책망상 : 죄의식과 자기징벌을 내용으로 하는 망상
- 조종망상 : 자신이 타인에 의해 또는 미지의 존재에 의해 조종당한다는 망상
- 질투망상 : 오셀로 증후군, 자신의 배우자나 사랑하는 사람이 부정하다고 믿는 망상
- 연애망상 : 누군가 자기를 몹시 사랑하고 있다고 믿는 망상
- 빙의 망상 : 귀신, 악령, 동물이 자신의 몸속에 들어와 지배한다는 망상
- 빈곤망상 : 자신은 가진 것이 없다는 망상
- 신체망상(somatic delusion): 자신의 장기 일부가 남과 다르게 되있다고 믿거나, 장기가 썩어 들어간다고 믿는 망상
- 병망상 : 중병에 걸렸다는 망상
- 허무망상 : 자신은 죽었다, 뇌가 없다는 등의 망상
- 공상적 거짓말 : 공상을 사실로 믿고 거짓말하는 것
- 자아광 : 자기 자신에게 병적으로 집착하는 것
- 단일광 : 하나의 병적 현상에 집착하는 것
- 대양적 느낌 : 자신이 무한한 힘의 존재와 신비적으로 합일하였다는 느낌
- 사고전파(thought broadcast): 다른 사람들이 모두 알 수 있도록 자신의 생각이 방송된다고 믿는 망상
- 사고주입(thought insertion): 누군가가 자신의 머릿속에 생각을 주입시킨다는 망상
- 사고유출(thought leakage): 자신의 생각이 외부로 유출된다는 망상
- 강박사고 : 의식적으로 원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오르는 것
- 공포증 : 어떤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불합리하게 무서워하며 피하려는 상태
- 건강염려증 : 신체건강에 대해 과도한 관심을 갖는 것
언어장애
일반 증상론
- 언어 압박(pressure of speech) : 말이 많고 빠르며 중단시키기 어려운 상태, 주로 조증상태에서 보임.
- 다변증(logorrhea) : 말이 많으나 논리적일 수도 있음
- 언어 빈곤(poverty of speech) : 말과 언어적 행동 감소
- 억양장애(dysprosody)
- 발음장애(dysarthria)
실어증(aphasia)
- 운동성 실어증 : Broca's aphasia, 언어이해는 하나 자발적으로 말로 표현하기에 장애가 있어 말하는 것이 줄어들고 무언에 가깝게 된 상태
- 지각성 실어증 : Wernicke's aphasia,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 말이 유창하게 나오나 지리멸렬하여 word salad라고도 함
- 전도성 실어증 : Broca영역과 Wernicke 영역을 연결하는 arcuate fasciculus의 장애, 절(phrase)을 반복하지 못함
- 어의성 실어증 : 말이나 문장의 전체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생각을 언어로 엮지 못함
- 문장적 실어증 : 단어들을 올바르게 연결하지 못함
- 명칭 실어증 : 물건의 이름을 말하지 못함
- 총체적 실어증 : 운동성, 지각성 실어증 둘 다 있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