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반적 요령
- 가능한 한 면담 초기에 치료적 관계(rapport) 확립: 환자가 의사를 신뢰하고 치료에 협조할 수 있도록 치료적 관계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
- 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확인: 환자가 호소하는 불편인 chief complaint와 의사로서 포착해야 할 환자의 chief problem을 잘 구별하여 기록해 두어야 함. 가능한 환자의 말을 그대로 기록하도록 한다.
- 주소를 이용하여 감별진단 목록 생각
- 세부적인 질문으로 감별진단 정리
- 애매모호한 대답에 대해서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질문: 환자가 돌려 말하는 경우 명확화해야 하고, 과도하게 말하는 경우는 가지치기가 필요함
- 사고의 연상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30초 이상은 자유스럽게 이야기 하도록 함: 중간에 의사가 질문하여 끊기면 자유로운 연상이 제한 될 수 있다.
- 열린 질문과 닫힌 질문을 섞어서 사용
- 질문이나 대답이 어렵거나 당황스러워도 질문하기를 두려워 말라: 물어보기 두려울수록 더 물어봐야 한다. 성 문제나 살의 등의 껄끄러운 주제도 필요하다면 과감히 물어보아야만 한다.
- 자살사고에 대해 질문하라: 구체적으로 물어보는 것이 중요(구체적인 계획이 있을수록 위험이 높다.)
- 면담 끝 무렵에는 환자에게 질문할 기회를 주어라.
- 첫 면담 종료 시에는 가능한 신뢰와 희망을 주어라.
특수한 면담
응급상황
- 자살, 외상 등의 응급면담은 빠르게 능률적으로 시행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냄
- 다른 의사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락통로를 만들어두어야 함
비협조적인 환자
- 환자의 표정, 주변환경에 대한 반응, 외적 자극에 대한 반응, 환자가 보이는 특별한 움직임이나 행동 등을 관찰
- 보호자 등의 진술 참조
심한 정신병적 환자와의 면담
- 망상 같은 사고장애, 흥분, 병식 결여, 판단장애 같은 증상으로 면담이 어려움
- 지지적(supportive) 면담이 필요
- 전체 면담을 구조화해서 환자가 무엇을 질문받을 것인지,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 알려줌
- 괴이한 증상에 대해 웃지 말아야 하고, 정중한 태도를 취하되 너무 친밀한 태도는 삼간다
- 망상을 틀렸다고 매도하지 않되, 동조하지도 않는다. 망상의 밑바닥에 있는 느낌과 공포 또는 희망에 초점을 맞추도록 한다.
난폭한 환자
- 언어적 의사소통 가능한지, 현실감각에 장애 있어서 면담 불가능한지 판단
- 단독으로 면담하지 않음 : 안전요원이나 경찰관이 같이 있는 것이 좋다
- 어느 정도 공감적인 관계가 이루어질 때까지 결박 상태 유지
- 난폭 행동은 할 수 없음을 명확히, 단호하게 말해주어야 한다
자살 가능성 환자와의 면담
- 자살의도는 직접적, 구체적으로 물어본다.
- 섣불리 모든 것이 다 잘될 것이라고 안심시키지 않는다.
- 자살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면 입원 시키거나 기타 보호책 마련해야 함
성적으로 유혹하는 환자
- 환자가 원하는 것은 성관계가 아니라 좀더 친밀한 인간 관계임.
- 병으로 인한 신체상 변화에 따르는 열등감 극복을 위해서일 수 있음.
- 대응
- 습관적으로 치근대는 환자: 유혹은 무시하고 치료에 전념
- 갑자기 성적인 유혹을 시작한 경우: 감정 이입하여 왜 그런지 캐봄.
- 여의사의 경우: 무시하거나, 진료를 몇 분 쉬었다 재개할 수 있음.
참고자료
- Synopsis of Psychiatry 10th. 7 p
- 최신정신의학 제6판, 7장(정신의학적 평가), 8장(의사-환자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