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력조사
- 신원, 주소, 현병력, 과거병력, 가족력, 개인력 등 파악
정신상태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 MSE): 각각의 내용은 앞의 증상론 참고
- 외모, 전반적 태도 및 행동
- 사고의 과정
- 사고의 내용
- 지각
- 감정반응
- 인지기능
- 판단과 병식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 인지기능 장애(주로 치매)의 선별검사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 Folstein 등이 1975년에 개발한 도구
- 장점: 비교적 적용이 쉽다. 짧은 시간(5-10분) 내 간단하게 시행 가능. 연습효과가 적어서 질병의 진행과정 동안 반복 측정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있다.
국내에는 여러 버전의 MMSE가 표준화되어 사용 중
- MMSE-K: Korean version of MMSE (1989)
- K-MMSE: Korean MMSE (1997)
- MMSE-KC: MMSE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 assessment battery (2002)
- MMSE-DS: Korean version of MMSE for Dementia Screening
-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 (K-MMSE): 인지 장애의 평가에 주로 많이 쓰임
1. 시간 지남력(5) | 년(1), 월(1), 일(1), 요일(1), 계절(1) |
2. 장소 지남력(5) | 나라(1), 시/도(1), 현재 장소명(1), 몇층(1), 뭐하는 곳(1) |
3. 기억 등록(3) | 비행기(1), 연필(1), 소나무(1) |
4. 주의 집중과 계산(5) | 100-7(1)-7(1)-7(1)-7(1)-7(1) |
5. 기억 회상(3) | 비행기, 연필, 소나무 |
6. 언어(8)
|
|
7. 보고 그리기(1) | 겹친 오각형 따라 그리 |
30점 -24점: 정상
20-23점: 인지 기능 장애 의심
19점 이하는 확실한 인지 기능 장애
다양한 국내 버전이 존재하는 이유는 영어로 된 원 검사를 한국어로 번안하는 과정에서 각기 다른 필요에 의해 나름의 customization을 했기 때문입니다.(문맹자, 교육수준 고려 등).
1989년 처음으로 국내 버전으로 표준화가 되어 사용된 MMSE-K는 교육수준은 떨어지고 문맹이 많은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하여 원문을 그대로 번역하여 쓰지 않고, 쓰기, 읽기, 항목이 없고, 7을 빼는 항목이 없는 등 여러 항목에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하였습니다. MMSE-K의 수정한 문항의 타당성 여부와 수정된 문항으로 인한 비교 연구에의 제한점 등으로 인해, 1997년 원안을 비교적 충실하게 변안한 K-MMSE가 현재 표준화되어 치매환자의 검사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MMSE 비교
- MMSE의 기본적인 목적에는 다들 부합하지만 세부적인 문항 내용이나 채점 방법에 있어서는 약간씩 차이를 보입니다.
| 항목 | Folstein MMSE | MMSE-K | K-MMSE | MMSE-KC |
동일 | Time orientation/3 word recall/Copy design | ||||
차이 I | 3 word registration | Name 3 object | 물건이름 3가지 예) 나무/자동차/모자 | 비행기 연필 소나무 | 나무/자동차/모자
|
Naming | Pencil, watch | 연필, 시계 | 볼펜, 시계 | 열쇠, 도장 | |
3 commend obey |
|
|
|
| |
차이 II | Place orientation | State/county/town/hospital/floor | 주소와 현재장소: 시도/구군/면동/무엇하는 곳/이곳의 이름 | 나라/도시/무엇하는 곳/장소명/층수 | 도시/구군/읍면동/층수/장소이름 |
Att.&cal | Serial 7's Alt. spell 'WORLD' backward | 100-7 Alt. '삼천리강산' 거꾸로 말하기 | 100-7 | '삼천리강산' 거꾸로 말하기
| |
Repetition | No ifs, ands or buts | 간장 공장 공장장 | 백문이 불여일견 | 간장공장공장장 | |
읽기 쓰기 | Reading | Close your eyes | 옷 세탁 이유 주민등록증 분실물 | 눈을 감으세요 | 옷 세탁 이유 주민등록증 분실물 |
Writing | Write a sentence | 한문장쓰기(기분, 날씨) | |||
의식수준 평가 | + | + | - | - | |
채점 | 틀림/맞음 | 틀림/맞음 | 틀림/맞음 | 틀림/맞음/평가안됨 |
The characteristics of validat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in Korea.
|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1989) |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1997) | MMSE-KC(2002) |
특징 | 문맹자를 위해 부분변경 | 원안에 충실하게 번안 점수와 교육 수준을 고려 | MMSE-K를 연령, 교육 연한을 고려한 진단규준표 제시 |
지남력(10점) |
| 시간지남력(5점) |
|
장소지남력(5점) 피검자의 주소와 현재 위치를 같이 사용 | 장소지남력(5점) '여기가 무엇을 하는 곳인가' 피검자의 주소는 묻지 않음 | 장소지남력(5점) MMSE-K와 동일
| |
기억등록(3점) | 나무, 자동차, 모자 | 비행기, 연필, 소나무 | 나무, 자동차, 모자 |
기억회상(3점) | 나무, 자동차, 모자 | 비행기, 연필, 소나무 | 나무, 자동차, 모자 |
주의집중 및 계산(5점) | 100-7(5회): 피검자가 실시 못하는 경우'삼천리강산'을 거꾸로 말하도록 하고 채점 | 100-7만 시행: '단어 거꾸로 말하기' 과제는 난이도 차이로 배제함 | 계산항목 없음 '삼천리강산'을 거꾸로 말하도록 하고 채점 |
언어능력(8점) | 연필, 시계 오른손으로 받는다/반으로 접는다/무릎 위에 놓는다 '간장공장공장장'한 번 언급 일기/쓰기 과제 대신 <이해><판단>과제제시 | 시계, 볼펜 '종이를 뒤집은 다음/반으로 접어서/저에게 주세요' '백문이 불여일견'2번까지 일고 행동하는 것으로 보며, 간단한 문장 쓰기 요구 | 열쇠, 도장 MMSE-K와 동일
|
시각구성(1점) |
| Interlocking Pentagon copy |
|
일반적으로 총점 23을 인지기능장애의 평가기준점(절단점)으로 삼는다.
- 23-30점: 인지적 손상 없음(no cognitive impairment)
- 18-23점: 경도의 인지기능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 0-17점: 분명한 인지기능장애(severe cognitive impairment)
신체적 평가 : 자세한 내용 생략
신경학적 진찰 및 검사
실험실 검사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7장(정신의학적 평가)
- 심리검사의 이해, 최정윤 지음 82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