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사회적 이론


목차

정신분석학 - Freud와 Neo-Freudian

개관

  • 정신분석은 실제 치료를 위해 고안된 방법(사변적, 철학적 차원의 분석이 아님)
  • 개념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있음

 

정신분석학의 발전

제 1기

  • 감정-정신 외상 이론(affect-trauma theory): 어렸을 때 받은 정신적 외상의 후유증 → 정상적으로 표출되지 않고 무의식에 의해 억압되고 왜곡된 형태로 나타남

1기에는 피부가 벗겨지면 살짝만 스쳐도 아프듯이 마음도 상처를 입으면 병적인 후유증이 남을 수 있음에 주목했습니다.

 

제2기

  • 3가지 이론
    1. Discharge 가설: 정신적 외상이 꼭 실제로 발생했던 게 아닐 수도 있음
    2. 욕망이론(drive theory): 무의식 표출 vs. 막으려는 갈등이 존재
    3. 지형학적 이론(topographical theory): 무의식계 + 전의식계 + 의식계
  • 이론 다듬어서 2가지 이론으로 정리
    1. 무의식 이론: 인간의 마음 대부분이 무의식
    2. 정신결정론: 모든 행동, 감정, 생각은 선행사건 때문
  • 치료 원칙: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증상이 소실될 것(ex. 꿈의 분석)

2기에는 무의식이 인간의 마음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리고 인간의 모든 행동, 감정, 생각 등은 과거의 선행사건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았습니다. 선행사건은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무의식적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제3기

  • 구조 이론: 이드(id) / 자아(ego) / 초자아(superego)
    Cf)지형학적 이론(무의식 / 전의식 / 의식의 층위로 설명)으로는 무의식적 갈등의 기원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의 무의식적 죄책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세련된 설명방식이 필요합니다.
    1. 이드: 지형학적 이론의 무의식에 해당하는 부분, 본능적 욕망을 포함하는 부위로서 유전적이고 체질적인 요소도 포함. 쾌락 원칙에 의해 작동 → dual instinct theory 확립: 공격 본능, 성적 본능
    2. 자아: 외부세계의 영향으로 이드에서 분화해서 발달하는데, 자기를 보존하고, 이드의 압력, 외부세계의 압력, 그리고 초자아의 압력에 동시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나가는 것이 그 주된 기능 → 자아의 주요기능으로서 방어기제를 생각
    3. 초자아: 아동기에 부모와의 오이디푸스 갈등을 겪으면서 형성, 양심과 자아이상으로 구성
  • 치료 원칙: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작업보다는 이드가 있는 곳에 자아가 있게 하라는 식(자아의 기능을 강화하는 쪽의 방향), 방어기제의 해석이 분석치료에 중요한 요소가 됨.

3기에는 무의식적 욕망과 의식적 이성의 대립 구도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현상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쾌락의 원칙에 따르는 '이드', 이상을 추구하는 '초자아', 현실을 살아내는 '자아', 이 세 가지로 마음을 기능적으로 분류하여 설명했습니다. '자아'는 쾌락과 양심 사이의 갈등, 그리고 외부 세계와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데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 프로이트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드'가 있는 곳에 '자아'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드'를 억제하여 갈등을 증폭시키는 '방어기제'를 분석하는 게 치료의 핵심이었습니다.

 

제4기

  • Neo-Freudian
    1. 분석심리학 - C.G.Jung
      • 무의식의 존재는 인정하나 Freud의 성욕설, 생물학적 환원주의 비판
      • 무의식을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으로 구분하여 설명.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을 탐구.
      • 인격 성숙이란 무의식적인 것들이 의식화되어 가는 과정.
      • 자기(self)는 정신의 전체성을 의미하며 인격 성숙이 나아가는 방향, 정신의 전체성에서 벗어날 때 신경증에 걸림.
      • 치료 원칙: 무의식의 의식화를 통한 자기실현
    2. 자아심리학 - Anna Freud
      1. 정통 정신분석학은 자아의 기능 중 억제에만 집중함. 하지만 자아는 갈등과 무관한 기능도 담당. 특히 외부세계에 대한 반응도 있다.
      2. 치료원칙: 자아의 발달, 손상, 강화 등이 대상
    3. 개인심리학 - Alfred Adler
      • 정통 분석학의 지나친 유아성욕론 강조에 반대
      • 인간은 자기실현을 위해 합목적적으로 추구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
      • 유아 시절의 열등의식을 극복하고 권력을 쟁취하려는 권력의지를 통해 인격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봄
    4. 대인관계 정신분석학 - H. S. Sullivan
      • 인격이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류에 의해 형성됨
      • 치료 원칙: 불안과 불안이 발생하게 된 대인관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5. 애착이론 - John Bowlby: 안전한 애착형성 경험은 평생에 걸쳐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게 하는 능력을 결정함
    6. 대상관계이론 - M. Klein
      • 대상과의 상호관계에서 욕망이 비롯됨, 내부의 욕망 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의해 욕망이 나옴.
      • 치료원칙: 치료 대상은 대상과의 관계에서 이루어진 환자의 내면세계
    7. 정신사회적 발달 - Erik Erikson: 인격이 소아기뿐만 아니라 성인기를 포함하는 전 생애를 통해 발달

Freud 이후 무의식 이론과 정신결정론 등 핵심적인 전제는 인정하지만 세부적인 설명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많은 이론들이 나왔습니다. 주로 정신이 어떻게 발달하는 지에 대해 이견을 보이는데, 성욕 때문에 발생하는 내면의 갈등을 겪으며 정신이 발달함을 설명하는 Freud와 달리 자아실현, 사회적 교류, 애착 관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격 발달을 설명하게 됩니다.

 

 

 

학습이론

  • 학습이론: 인간의 심층적 내면적 동기 보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 심리의 발달을 설명=행동주의 심리학
  • 학습이론의 기본 이론
    1. 고전적 조건화(파블로프의 개)
      • 학습을 통해 '조건 반응' 습득
      • 치료원칙: 이 원리를 이용해 '탈감작법'이 나옴
    2. 조작적 조건화(스키너의 강화 이론)
      • 보상(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이 학습에 영향을 줌
      • 치료원칙: 학습 과정을 통해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인지심리학 - Jean Piaget

  • 인지: 지식을 얻고 조직하고 사용하는 과정
  • 인지적 조직화(cognitive organization)
    • 적응(adaptation)의 두 가지 과정이 핵심
      1. 동화(assimilation): 이미 확립된 자신의 지식체계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받아들임
      2. 조절(accommodation): 개체가 환경으로부터 현실적 요구에 직면하였을 때 기존의 인지체계를 변화시키고 재조정함으로써 자신의 지식을 환경에 적응시킴
  • 인지발달단계는 앞 장 '생애주기와 정신건강' 참고
    • 어릴 때의 경험이 인지기능의 성숙에 중요
  • 치료 원칙: 자동적 사고 또는 비적응적 사고를 교정하는 인지치료(A. Beck)

인간의 심리와 행동의 근원을 '무의식'에서 찾은 '정신분석학'과 달리 '학습이론'은 그 근원을 '학습'에서 찾고, '인지심리학'에서는 '인지체계'에서 찾습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에 대한 증오심의 원인을 정신분석학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설명하고, 학습이론은 반복된 체벌로 설명하고, 인지심리학은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 인지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식입니다.


참고자료

  • 신경정신의학 제2판, 25장(정신사회심리학적 치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장(인간행동에 대한 정신사회적 이론)
 
 
PC
화면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