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ithium
적응증
- 양극성 기분장애: 양극성 기분장애의 조증 삽화와 우울증 삽화 모두에 치료효과와 예방효과
- 분열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증, 항우울제 단독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우울증에도 효과 있음
- 급속 순환형 양극정 장애에는 치료효과 미흡
용법
- 급성기: 1.0~1.5mEq/L
- 유지기: 0.6~1.2mEq/L
- 3~6개월마다 혈중 creatinine과 갑상샘기능 확인
부작용
- 신장, 갑상샘, 심장 독성
- 신장손상
- 갑상샘호르몬 합성 과정 방해
- 심장에 hypokalemia에 의한 가역적인 T-wave 변화
- 파킨슨증후군
- 가역적인 백혈구 증가증
- 임신 시 복용하면 Ebstein's anomaly 등 기형아 우려있어 첫 3개월간 금기, 모유를 통해서도 영아에게 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 기타 체중증가, 소화기계 장애, 다뇨증, tremor, 등
독성
- 혈중농도가 1.5mEq/L 이상이 되면 복통, 구토, 설사, 진전, 운동실조가 나타나고, 건반사 증가, 무도병 같은 운동장애, 국소신경 증상, 의식장애, 경련 등이 나타날 수도 있음. 심하면 혼수로 이어지고, 부정맥이 나타나 사망할 수도 있음 → 치료: 리튬 투여 중단, 위세척, 수액공급, 전해질 유지, sodium lactate와 aminophylline 등을 이용한 소변의 알칼리화
항뇌전증제
- 현재 기분안정제로 널리 사용되는 항뇌전증제는 valproate와 carbamazepine(최근 안전성 문제로 valproate 선호)
- Valproate
- 적응증
- 경련성 질환
- 양극성 장애의 조증과 우울증 치료에 모두 유효
- 부작용
- 위장관계 부작용
- 신경계 부작용 : 진정, 운동실조, 구음장애, 진전 등
- 드물게 혈소판 감소증
- 부작용 중 가장 심각한 것은 간독성
- 임신이나 수유 중인 여성에게도 권장되지 않음
- 적응증
- Carbamazepine
- 적응증
- 경련성 질환
- 조증과 양극성 장애 예방 및 치료(부작용으로 최근 사용빈도 감소)
- 부작용
- 10~15%에서 피부발진, 기타 운동협응장애, 졸음, 현기증, 운동실조 등
- 혈액학적 이상 → 백혈구감소증(환자의 약 10%), 드물게 재생불량성 빈혈
- 임신, 수유 시 금기
- 정기적 검사
- 혈액검사
- 심전도검사, 간기능검사, 신기능검사
- 적응증
- Lamotrigine
- 적응증 : 양극성 장애 유지기, 양극성 장애 우울증 삽화 예방에 효과
- 부작용 : 피부발진, Steven-Johnson 증후군
- Valproate
기타 기분안정제
- 항정신병 악물
- olanzapine, risperidone, quetiapine, ziprasidone, aripiprazole
- 급성 조증 초기 정신병적인 증상, 흥분과 초조, 폭력적인 행동 조절 목적 (lithium 등의 기분안정제는 급성 조증 시 약 1 ~2주 후부터 효과가 나타난다.)
- 칼슘통로차단제: verapamil, diltiazem, nimodipine 등
- 일부 benzodiazepine: clonazepam, lorazepam
- clonidine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5장(생물학적 치료) 833-838p
- Synopsis of Psychiatry 10th. 1059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