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종류
적응증
부작용
기타 새로운 항우울제
Venlafaxine
Duloxetine
Bupropion
Mirtazapine
Trazodone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종류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기전
적응증
부작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종류
- Fluoxetine, Sertraline, Paroxetine, Citalopram, Fluvoxamine
적응증
- 주요우울증, 감정부전장애 등의 우울증(TOC)
- 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섭식장애, 비만, 월경 전 불쾌장애 등
부작용
- TCA에서 문제 되는 항콜린부작용, 기립성 저혈압, 체중증가, 심장독성 거의 없음, 하지만 serotonin 증후군 주의
- 위장관계 부작용
- 중추신경계 부작용 : 두통, 불면, 악몽, 진전, 발한
- 체중증가
- 성기능장애
- 세로토닌증후군 : SSRI 사용 시 MAOI, 리튬 등을 병용할 때 드물게 혈중 serotonin 농도가 독성 수준으로 상승하여 나타날 수 있음. 증상은 설사, 좌불안, 심한 격정, 고열, myoclonus, 심하면 섬망, 혼수, 사망에 이를 수도 있음
- SSRI 중단증후군 : 장기간 사용하다가 중단하면 현기증, 무력감, 오심, 두통 등, 대개 3주 내 저절로 호전
기타 새로운 항우울제
Venlafaxine
- SNRI(serotonin norepinephrine receptor inhibitor
- 적응증: 중증의 우울증 환자(항우울효과 빨리 나타남)
- 부작용: 오심, 졸음, 구갈, 어지럼, 신경과민, 변비, 무력증, 불안, 식욕부진, 성기능장애, 위장관계 부작용 등
Duloxetine
- SNRI
- 적응증 : 우울증, 당뇨병성 말초신경성 통증
- 부작용 : 오심, 구갈, 불면, 성기능장애, 혈압상승
Bupropion
- DNRI(Dopamine-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 적응증: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니코틴, 코카인 중독, 섭식장애
- 장점 : 진정작용, 체중증가, 성기능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음. TCA 또는 SSRI와 달리 양극성 우울증에서 조증 전환이 매우 적음
- 부작용 : 두통, 불면, 오심, 불안정 등
Mirtazapine
- SNRI로 분류되나 수용체 작용상의 특징 때문에 NaSSA(noradrenergic and specific serotonergic anti-depressant)로 불리기도 함
- 부작용: 졸음, 구갈, 식욕증가, 체중증가, 현기증
Trazodone
- serotonin modulator → 5-HT의 재흡수 차단 뿐 아니라 장기투여 시 시냅스후 5-HT2 수용체 차단
- 항우울효과 다소 약해 비교적 많은 약 사용해야 함, 수면제로도 쓰임
- 부작용 : α1-아드레날린성 수용체와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으로 인한 졸음과 기립성 저혈압
삼환계 항우울제(TCA; tricyclic antidepressants)
종류
- 3차 아민 삼환계 항우울제: Imipramine, Amitriptyline
- 2차 아민 삼환계 항우울제: Nortriptyline, Protriptyline, Desipramine
- 4환계 항우울제: Amoxapine, Maprotiline
작용기전
-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의 재흡수 차단
- 히스타민 수용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차단효과
적응증
- 주요우울장애, 감정부전장애, 양극성 우울증, 2차성 우울증
- 조현정동장애, 만성 조현병, 기타 정신질환에 동반되는 우울증상
Cf. 정신병적 장애의 환각, 망상, 적대적 행동 등을 악화시킬 우려 있음
부작용
- 항콜린작용(진정, 구갈, 변비, 배뇨장애, 시력장애 등) → 녹내장, 전립선 비대 있을 때 금기
- 심혈관계 → α1-아드레날린성 차단으로 심계항진, 기립성 저혈압, 심전도상 변화
- 체중증가
- 성기능 장애
- 양극성 장애에서 조증 유발, 조현병 환자에서 증상 악화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기전
- 시냅스에서 MAO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시냅스에서의 아민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높임
적응증
- 비전형적 우울증 - 불안이나 공포증 등 동반, 오후에 기분 악화되고 잠이 많고 감정 변동이 심하고 과식하는 경향
- 공포증, 공황장애에도 사용됨
부작용
- 항콜린성, 항히스타민성 작용 거의 없다.
- α1-아드레날린성 차단효과는 강해 기립성 저혈압
- 기타 구갈, 변비, 성기능장애, 황달, 부종 등
※ 성기능 관런 항우울제
- 삼환계 항우울제 : 발기부전, 지연사정(∵anticholinergic effect) → anticholinergic effect의 차이에 따라 성기능 관련 부작용 정도도 다양하다. 항콜린 작 용이 가장 적은 desipramine의 경우 성기능장애도 가장 적다.
- SNRI(venlafaxine), SSRI: 남녀 모두에서 성욕 감소, 오르가즘 도달에 문제 야기(∵serotonin ↑) → cyproheptadine(antihistamine with antiserotonergics), methylphenidate(adrenergic effect)로, 부작용을 역전시킬 수 있다.
- razodone : 드물게 priapism 발생 가능(∵α1 adrenergic antagonsim)
- MAOI : 발기부전, 지연 및 역류 사정, 오르가즘 감소(∵biogenic amine)
- bupropion : 성기능 부작용이 거의 없다(성욕 증가시키기도. ∵DA활성과 NE 생산↑).
참고자료
- 최신정신의학 제6판, 35장(생물학적 치료) 838-846p
- Synopsis of Psychiatry 10th. 1089 p
-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3th 646~649 p